|
저 개인적인 생각은 혜수님께서 직접 본인이 다니는 클럽의 코치와 함께 라켓 선택 및
줄의 강도를 선색하시는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하며 아래 글이 도움이 되고저 가져와 봅니다.
배드민턴라켓고르는법
1. 주봉20
주봉20으로 시작을 해서 주봉20은 가격대비 성능을 가리자면 안정감이 있고 탄력은 떨어지나 괜찮은 편이다.
2. 프로에이스 플래트넘 110과 120
110 라켓은 요넥스의 머슬파워100과 겉모습 색상이 같다. 클리어나 스매싱 할 때 소리가 경쾌하고 정말 좋다. 약간의 헤드밸런스로 좋다. 120은 110보다는 가볍다 별다른 특징은 없다. 가벼워서 저가대의 라켓으로 동호인들이 많이 쓴다.…….
3. 모아301 과 305
모아301은 라켓은 가볍기는 한데 왠지 둔탁한 느낌이 든다. 튼튼한 라켓을 좋아하는 동호인 즉,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좋다. 모아305는 301보다는 조금 더 가벼우며 샤프트가 슬립하다. 그래서 조금 더 부드럽다. 파워는 조금 301보다는 적은 것 같은데 여자 분들이 쓰기에 조금 더 괜찮은 것 같다.
4. 주봉1300
주봉1300을 손에 쥐었을 때는 바로 이거구나 감이 왔다. 이븐 밸런스이며 샤프트가 부드러우면서도 공수를 겸비한 라켓의 올라운드 플레이어, 클리어 좋고. 제가보기에는 초보자 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1300이 잘 맞으신다면 타 라켓을 쓰시는 것보다 같은 라켓을 한 자루 더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아모텍 700
이 라켓은 헤드가 너무 무겁다. 그리고 요넥스 라켓의 단점인 너무 딱딱 하다는 것이다. 공격 파워는 좋다.
6. 주봉1800
주봉 라켓의 특징인 샤프트가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좋다. 헤드헤비로 공수는 물론 너무 좋다. 드라이브와 리시브 능력이 좋다. 공수겸비용으로는 정말 좋다.
7. 아모텍800
아모텍800은 공격형인데 기존의 700보다는 가벼우면서도 안정감이 있다. 샤프트는 700보다는 조금 슬림하고 그래서 괜찮다. 수비 형은 가볍고 그런데 샤프트 탄력은 없다.
8. 타토 파워5000
이 라켓은 주봉13000처럼 이븐밸런스로 그러나 1300보다는 공격 성향이 조금 더 있다. 그래서 공수 겸비용인데 반해서 파워가 좋으며 타구감이 너무 좋다. 5000은 이븐밸런스로 공격 성향이 강하며 주봉의 1300과 동급의 라켓으로 보시면 될 것 같다.
9. 프로에이스 ABS1000
이것은 완전 공격형인데 넘 딱딱하고 들었을 때 공격 성향만 있다. 헤드만 무겁기만 하다 장단점이 없다.
10. 주봉머슬100
이 라켓은 샤프트가 슬림형이다. 그러나 샤프트에서 나오는 파워는 떨어진다. 그런데 반해서 헤드가 무겁다. 그래서 손목 힘이 없으면 사용이 힘들 듯…….
11. 요넥스 mp99, mp100
이 라켓은 동호인들 층에서는 많이 사용하는데 단점은 라켓이 약하다는 것이 흠이다, 파워와 컨트롤은 괜찮다. 이븐밸런스이면서 샤프트가 조금 뻣뻣하다 색상은 노란색으로 디자인 면에서 인기가 많다.
mp100은 99보다는 샤프트가 조금 부드럽고 이븐 밸런스다. mp99와 비교해서 별다른 특징은 없다 색상이 빨간색인 점.
99는 조금 헤드헤비이다 그래서 남자들한테 좋을 듯.
12. 칼톤 F3와 F2
칼톤 제품은 손잡이가 짧고 헤드가 다른 라켓보다는 작다는 것이다. 샤프트는 길이는 길다. 동호인들이 칼톤 제품을 사고 중고로 제일 많이 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스매싱과 안정적인 플레이를 하기에는 좋다. F2는 F3보다는 헤드 쪽이 더 무겁다 완전 공격형 라켓이다.
F4는 F2에비해서 더 무거우며 그다지 좋은 라켓은 아니다.
13. 카슨109
일단 전체적으로 샤프트나 헤드가 슬림하면서 그러나 견고하고 단단하다. 샤프트는 부드러우면서 드라이브 ,리시브 능력 좋고요, 스매싱은 손목스냅을 잘 쓰면 정말 최고이다.
스매싱을 할 때 코트에 감겨 들어간다고 할까요. 정말 좋아요. 올라운드형 라켓이며 컨트롤이 좋다. 쓰시려면 3U(85-89)g에 290-295mm 밸런스로 사용 하세요. 그리고 손잡이 그립이 얇아서 좋다. 샤프트의 탄력과 컨트롤이 정말 최고입니다.
14.타토 컨트롤 C2
이 라켓은 이븐 밸런스라고 하는데 약간의 헤드헤비인 것 같다. 겉보기에는 라켓이 딱딱하고 둔해 보이나 사용하시면 그렇지 않다. 공격력 정말 좋고, 드라이브, 리시브 정말 좋다.
빠른 드라이브와 그립을 얇게 쓰시는 분들은 정말 좋은 듯. 완전 올라운드형 동호인 들게 강력추천…….
샤프트 탄력 또한 좋다. 스매싱 파워는 환상이다. (체육관이 큰 곳에서는 위력을 더 발휘합니다)
15. 주봉 1600
이 라켓은 주봉의 1300과 1800의 중간인데 그 대신에 헤드가 조금무거우면서 가볍다 별다른 특징은 없다.
16. 주봉2004 공수형
공격형은 완전히 아모텍800을 복사해 논듯하다. 헤드모양이나 전체적으로 샤프트도 뻣뻣하고 그렇다. 수비 형은 가볍기는 한데 그 대신에 헤드가 즉 얼굴모양이 작다는 것이다.
17. 타토 S10 과 F7
일단 두 라켓은 c2와 모양 무게 같아요. F7은 C2의 단점이라던 도색부분을 조금 더 좋게 했다는 것 밖에는 차이가 없다. s10은 C2의 전 모델이다. 동호인들로써 검증이 된 라켓은 C2다. 요즘 C2와 F7중에서 고민하신다면 C2를 쓰세요. S10은 C2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며 똑같다. 이븐 밸런스이며 파워 좋고, 샤프트 또한 같다.
그 이외는 3가지제품은 이름만 변형 되어 가고 있는 인 것 같다.
18. 주봉 1900
일단은 모양은 1300과 비슷하며. 샤프트 면은 부드럽다. 탄력이 좋다. 약간의 헤드헤비 이면서도 클리어나 스매싱을 했을 때 파워가 좋다. 1800 보다는 감이 훨씬 좋다. 1300과1800의 중간인데 1300과1800의 장단점을 보안한 라켓인 것 같다.
그리고 샤프트의 나무 그립 밑 부분을 요넥스처럼 캐슬을 만들어서 그립을 잡을 때 훨씬 좋아 졌다. 동호인들 1800과 1900에서 고민 하신다면 둘 다 좋지만 1900을 한번 써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19. 모아401
이번에 나온 모아401은 일단 샤프트의 탄력과 파워를 좋게 했다.
모아의 장점인 라켓의 강도를 좋게 했으며 가벼우며 클리어나 리시브와 컨트롤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20. 모아405
405는 401보다는 더 샤프트의 부드러움이 좋다. 그리고 주봉의 1600과모양이나 생김새가 비슷하다. 여자분 들이 치기엔 좋은 것 같다.
21. 모아501
일단 샤프트의 탄력은 401과 비슷하지만. 401보다는 파워와 공격력이 조금 더 좋아 진 것이 501이다. 완전 헤드헤비이며, 주봉의 1900, 타토c2와 흡사하다. 501을 사용 하실 때는 손목의 힘과 무거운 라켓이므로 힘이 있는 분들이 사용해야 할 것 같다.
22. 요넥스 T-10
티텐은 일단 공격 보다는 클리어나 리시브가 좋은 라켓이다. 샤프트는 요넥스 라켓 중에서는 유연성은 괜찮다. 파워도 좋고 왜 티텐 티텐하는가 쳐보니 알 것 같다.
3U에 85-89g으로 사서 쓰고 있는데 느낌은 예전에 치었던 주봉의 1800과 비슷한 것 같다 .
요넥스에서 최근에 나온 나노 8000보다는 파워 면에서 조금 떨어지는 것 같다. 그러나 주봉1900.카슨109 보다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그리고 조금 무겁고 라켓이 약하다는 것이 흠이다.
23. 나노 8000과 7000
일단 8000 - 샤프트가 가늘며 헤드와 전반적으로 얍삽하게 생겼다. 가벼운데 비해서 샤프트의 탄력은 조금 괜찮다. 그리고 가벼운 대신 샤프트가 가늘면서 파워보다는 빠른 수비와 드라이브를 주특기를 사용 하시는 분들이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 파워를 싫으시려면 손목 스냅을 동반해야 한다. 티텐 보다는 파워가 좋다 (라켓 밸런스가 헤드라이트라서)
7000 - 8000보단 와이드 바디 형태 이며 파워가 좋으며 클리어가 좋다. 그러나 어딘가 모르게 둔한 감이 있다. 아모텍 700보다는 가볍다 .
24. 하이텍LPT 007
라켓이 가볍다는 것은 느껴진다. 그러면서도 헤드헤비의 라켓이므로 공격지향적인 라켓이다. 샤프트의 유연성은 나노8000과 비슷하고, 클리어 스매시에서 소리하난 경쾌하다 . 같은 동급의 나노8000,카슨 109보다는 성능 면에서 괜찮다.
수비 시에는 빠른 것 같은데 유연성 있는 라켓을 사용하신 동호인들은 잘 맞지 않으리라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주봉1900, 바볼랏, 코멧, 고센5300, 모아501, 타토C2, 칼톤F2 등을 사용하는 분들은 사용해도 좋을 것 같다.
25. 카슨106
우선 109와 비교해서 도색처리를 하지 않은 무광이다. 무게3U,밸런스290-295로써 109같다.
그러나 라켓의 샤프트의 탄력은 109보다는 약간 덜한 것 같다 ,컨트롤위주의 라켓인데 사람들이 109를 많이 사용하다보니 그늘에 가려진 것 같다.
26. 나노 9000X(선수용)
샤프트는 비교하자면 주봉의 1900과 모아 501의 중간 탄력 한마디로 타토 C2 정도의 탄력이라면 될 것 같네요. 무게는 줄 매고 해서 92g 정확히 밸런스는 보통라켓들이 285mm이잖아요, 290-+5 그러니까 285-295mm 사이, 나노 8000 보다는 조금 헤드가 무겁게 느껴지고 주봉1900의 무게감, 그립은 G5 그리고 손잡이 삼각캐슬에 보증인증스티거 마크가 종이.
동호인들이 제일 생각하는 탄력과 파워에 대해서 설명 - 일단 8000이 샤프트가 슬림이었다면 9000은 일반 보편적인 라켓의 굵기 mp99 같다.
나노8000이 줄 매지 않은 라켓의 무게가 88g, 007 라켓은 86g 줄의 무게가 4g 나노9000 은 88g 가벼우면서 공격 지향적이며 파워와 수비리턴이 좋다.
27. 고센3700, 5700, 5300
3700과 5700은 두 제품 모두다 무게는 같다. 라켓의 밸런스는 209-295 이며. 3700은 푸른색, 5700은 붉은색이다. 비교해서 말하면 카슨109처럼 샤프트가 유연하며 컨트롤 라켓이다. 그립은 타 라켓의 비해서 얇다. 그립싸이즈가 G2이며 ,3U 85-88g 이다.
5300은 일단 생김새가 계란형으로 헤드가 작고 손잡이 그립도 가늘며 샤프트의 탄력은 칼톤 f3 된다고 할까, 파워풀한 경기를 하시는 동호인들에게 좋을듯하다.
28. 바볼랏 - 코멧, 니트로 ,솔라
바볼랏 라켓의 특징은 하나의 그로메이트에 하나의 스트링만 들어간다는 것이 특징이다.
*** 라켓의 그립싸이즈 ***
그립의 끝에서 약 5cm 정도 떨어진 곳의 둘레를 잰 수치인데요. G2는 90mm, G3는 87mm, G4는 84mm, G5는 81mm 로 각 단계별로 3mm씩 차이가 난답니다. 숫자가 높아질수록 두께는 얇아지는 것이죠.그리고 2U, 3U는 무게를 나타내는 것인데요. 이것은 무게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2U는 90~94g, 3U는 85~89g 이런 식으로요. 무게역시 숫자가 높아질수록 가벼워집니다.
***** 라켓을 헤드헤비와 이븐밸런스로 만드는 비법 *****
일단 라켓을 그립에서 나옵니다. 그립을 다 벗기고 얇게 감으면 헤드가 조금 무거워 집니다. 헤드가 약간 무거우시면 그립을 조금 많이 감으세요. 이왕이면 끝부분에 조금 많이 감으세요.
두껍게 감으시면 조금이나마 헤드가 가벼워지죠. 그렇지만 개인의 손 크기가 있으니 라켓을 사실 때 남들이 좋다고 그거 사시지 말고 라켓을 사실 때 그립 사이즈와 라켓의 헤드헤비인가, 이븐인가 잘 알고 사시면 좋을듯합니다. 그러면 자기만의 명검이 됩니다.
@ 줄 스트링 @
1. BG65 : 이 줄은 일반적으로 라켓을 구매하면 보편적으로 매어오는 줄인데 줄이 질기고 오래가난 반발력이 없다.
2. BG70 :이 줄은 65보다는 부드러우면 탄성 좋고 라켓에 잘 매면 좋은 스트링이 될 것이다.
3. BG80 : 이 줄은 가늘면서 탄력이 좋으나 줄이 손쉽게 끊어진다는 점에서 이 줄을 사용하면 스트링 값이 만이들것이다.
현재 사용 중인 라켓은 나노8000, 나노9000, LPT007 3가지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파워풀한 경기를 하는 저는 샤프트의 유연성을 겸비하면서 파워 좋고 컨트롤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한다.
파워 면 : LPT007 > 주봉1900 > 티텐 > 카슨109 > 나노8000
컨트롤 : 카슨109 > 주봉1900 > 나노8000 > 티텐 > LPT007
무게감 : 주봉1900 > LPT007 > 티텐 > 나노8000 > 카슨109
라켓의 단단함 : LPT007 > 카슨109 > 주봉1900 > 나노8000> 티텐
라켓의 유연성 : 카슨109 > 주봉1900 > 나노8000 > 티텐 > LPT007
참고하세요.
라켓을 고르실 때 파워와 라켓을 오래쓰기를 원하시면 샤프트의 유연성 보다는 와이드바디 즉, 샤프트가 두꺼우면서 헤드 또한 무거운 것을 쓰세요. (라켓 강도가 강한 것 ) 그러면서도 헤드헤비인 제품.
예를 들면 >>> LPT007, 주봉1900, 칼톤F2, 바볼랏 니트로, 고센5300 그리고 컨트롤 위주이시다면, 슬림하면서도 가벼운 라켓을 쓰세요. 카슨109.나노8000.주봉1300등
배드민턴을 빠른 시간에 실력을 키우시려면 항상 코트에서 사세요.
### 추천하고 싶은 라켓 ###
파워스매싱 경기>>>> 타토c2, 주봉1900, 모아501, LPT007, 칼톤f2ㆍf3, 나노9000X, 고센5300
컨트롤 위주 >>>>카슨109, 주봉1300, 나노8000, 고센5700
드라이브, 수비 위주>>>나노8000, 주봉1900, 나노9000, LPT005
가벼운 라켓을 원한다면 >>>주봉1300, 모아301, 프로에이스120, 나노8000, LPT005
출처 : 68CHDS http://cafe.daum.net/68chds/31LL/56
첫댓글 우와 이거 보니까 라켓 사고 싶어요ㅎㅎ 하지만 라켓은 안사기로 결심해서ㅠㅠ 부담 스럽게 비싸요ㅠㅠ
좋은 목수는 연장 탓을 안한단다.....^^ㅣ익..ㅎㅎ
@겨울전나무(이상봉) ㅋㅋ 일은 공구가 하죠ㅋㅋ
@정기수 ^^ㅣ익
우~~ 머리아프게 겨우읽고 내려왔는데 두분 공방전이 또 내머리를 때릴줄이야 ㅋㅋㅋ
전 고저 칼톤맨 입니다 파이어 브레이드 FX 7 과 9 을 사용합니다
칼톤의 단점은 헤드가 약하다는것 빼고는 그외는 다 괞찬은것 같더군요 ^^ㅣ익
ㅎㅎ전 아무거나 남이 무겁다고 안쓰는거 얻어서 쓰기도 하고 최고로 비싼라켓은 12만원 주고 산 라켓으로 연명하고 있죠..
ㅎㅎ
진짜 라켓사고 싶네요
오늘도 근무시간에 라켓하고 옷 구경하고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