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본문이해(모세의 법대로 그들이 정결하게 되는 날이 차서 그들은 아기를 주께 드리려고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올라갔다. 22절)
▶정결례에 담겨 있는 신앙적 의미–예수의 부모들의 예루살렘 성전으로의 여행은 세 가지 정결예식이 동시에 내포되어 있다. 산모의 정결례와 첫 태생의 정결례, 그리고 장남의 정결례이다.
▶시므온과 안나 - 성서는 시므온에 대해서는 의롭고 경건한 사람, 그리고 이스라엘이 받을 위로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며 성령이 임재하는 사람이라고 묘사하고 있다.(25절) 여 선지자인 안나도 아기예수를 만나게 되는데 이 여 선지자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꾸준히 금식하며 기도하며 하나님을 섬겨온 사람이었다.
▶정결예식에 참여하는 아기 예수–아기 예수는 정결예식을 통하여 거룩한 삶, 즉 구별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2.갈등의 원인들(예수를 지키는 사람들이 예수를 때리면서 모욕을 하였다. 도 그들은 예수의 눈을 가리고 말하였다. “너를 때린 사람이 누구인지 알아맞추어 보아라.” 그들은 그 밖에도 온갖 말로 모욕을 하면서 예수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누가22:64-65)
▶개인의 사회 예속성-개인들은 사회의 일원이 되면서 이전부터 지켜오던 사회의 규칙을 비판없이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가 경험하는 사회갈등의 원인은 다양하다. 민족, 이념, 엘리트와 일반 노동자, 성별, 학력, 정치적 정당, 이민자와 비이민자, 빈부격차, 사회적 계급, 세대, 종교, 도시와 시골 등이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 경제적인 원인-경제적 격차는 삶의 질의 차이를 만든다. 그리고 경제력에 따른 범주화를 하게 한다.
2) 성별, 인종별에 따른 원인-영화 “히든 피겨스” 이야기를 생각해보자.
3)지역에 따르는 원인-우리 사회에서 결집을 위하여 사용되는 인연들이 있는데 학연, 지연, 혈연 등이 그것이다.
▶화해와 일치를 위하여-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만들어 내는 그리스도인들이다.
3.정결예식/구별된 삶을 살아가기 위하여(사랑은 모든 것을 덮어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딥니다. 고전13:7)
❶성경도 읽는 그리스도인–일방적이고 배타적인 관점을 취하지 않기 위해서는 소위 ‘인문학적인 관점’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❷예언자의 정신을 가지고–구약성서에 나타난 예언자들은 굽은 것을 바르게 하는 일을 명확하게 수행하는 사람들이었다.
▶예수님의 오심–누가복음에서 예수의 오심은 새로운 사회로 나가는 새로운 동력을 획득하는 사건으로 제시되고 있다. 예수님은 비난과 저항을 받고 있지만, 자신을 스스로 십자가에 올리면서 자기를 죽이려는 이들을 축복하심으로써 새로운 사회의 모델을 제공하고 계시는 것이다. 예수가 제공하시는 새로운 사회로서의 모델은 자기를 밥으로 내어줌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생명공동체가 가능한 모델이다.
참고도서
다렐보크. NIV적용주석 누가복음. 솔로몬.
김문조. “한국사회의 갈등과 통합”. 「사회통합연구원」3권1호 2022.
김용규.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휴머니스트.
W.부르지만. 『예언자적 상상력』. 김쾌상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