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글을 올리세요!!)
----------------------------------------
터키 "미국이 제재하면 우리 공군기지 못쓰게 할 것"
기사입력2019/12/11 19:48 송고
터키 외무 "인지를리크·퀴레직 공군기지 논의 대상될 것"
미 공군 중동 작전 거점…인지를리크에 美 전술핵 50여기 배치

터키 인지를리크 공군기지에서 이륙하는 미 공군의 F-15 전투기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러시아제 S-400 지대공 미사일 도입을 두고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터키가 미국에 자국 내 공군기지 사용을 불허하는 등의 보복 조치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메블뤼트 차우쇼을루 터키 외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현지 하베르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S-400 도입을 빌미로 제재를 가할 경우 터키는 모든 옵션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터키에 대해 제재 결정이 내려질 경우 인지를리크와 퀴레직 공군기지가 논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국회의원들은 제재로는 어떤 것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우쇼을루 장관의 발언은 미 의회가 터키에 대한 제재 요구를 포함하는 국방 법안에 합의했다는 보도에 이어 나온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은 "터키 제재 법안은 수요일(11일) 트럼프 대통령의 거부권을 봉쇄할 수 있는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어 상원을 통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터키에 인내해왔다. 충분히 참았다. 이제 됐나? 그들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차우쇼을루 장관이 언급한 인지를리크와 퀴레직 공군기지는 미 공군이 중동 작전의 전진 기지로 사용해 온 곳이다.
이라크·시리아를 근거지로 발호한 수니파 극단주의 테러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전 당시 미군이 주도한 국제연합군 전투기는 대부분 이곳에서 이륙했다.
특히, 인지를리크 공군기지에는 미군의 전술 핵무기 50여기가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메블뤼트 차우쇼을루 터키 외무 장관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터키는 애초 미국에서 패트리엇 지대공 미사일을 구매하려고 했으나 전임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터키의 기술 이전 요구에 난색을 보이며 판매를 거부했다.
그러자 터키는 2017년 러시아와 S-400 구매 계약을 체결했고, 지난 7월 실제로 S-400을 반입했다.
이에 미국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인 터키가 S-400을 운영할 경우 나토의 민감한 군사정보가 러시아에 유출될 수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F-35 전투기 100대를 구매하기로 한 터키가 S-400을 도입할 경우 F-35의 기밀 정보가 러시아에 넘어갈 수 있다며 터키에 F-35 판매를 금지했다.
이에 터키는 수호이(SU)-35 등 러시아 전투기 구매를 대안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차우쇼을루 장관은 이날도 "미국이 F-35를 판매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리비아와 체결한 수역협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누구도 지중해 동부 대륙붕에서 터키의 허가 없이는 작업을 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도 "동(東) 지중해 문제를 대화로 해결하기 위해 그리스와 테이블에 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터키는 리비아와 배타적 경제수역(EEZ)의 경계를 확정하기 위한 협정에 합의했다.
이 협정에서 터키가 주장한 EEZ는 그리스의 기존 EEZ 일부를 침범하는 것임에도 리비아는 터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에 그리스는 자국 주재 리비아 대사를 추방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다.

지난 6일 리비아 대사 추방을 발표하는 니코스 덴디아스 그리스 외무장관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를 바라보는 우리 네티즌들의 반응





https://news.v.daum.net/v/20191211194943410
터키의 역사(현대사 부분 발취)
제1차 세계대전중 터키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편에 가담했다. 전후 아라비아의 여러 속주와 일부 지역을 잃었지만 격렬한 시민전쟁과 그리스와의 전쟁 결과 1923년 로잔 조약으로 지금의 국경선이 생겼고, 케말 아타튀르크를 대통령으로 한 터키 공화국이 탄생했다. 술탄제와 칼리프제는 폐지되고 아타튀르크의 지도 아래 현대화가 시작되었다.
아타튀르크는 터키의 정치·경제·사회체제 전반에 대한 급진적 개혁을 시도했다.
그는 이슬람의 지배적 역할을 축소하고, 터키어를 아랍 문자 대신 라틴 문자로 쓰도록 하므로써 터키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을 축소시켰다. 또한 이후 오랫동안 영향력이 지속된 국가통제 방식의 경제발전 정책을 마련했다. 1938년 아타튀르크 사망 후 불안정한 기간과 짧은 군부 통치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정치 및 다당제가 정착될 수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중립을 지켰으나, 전후 서유럽과 제휴하고 미국의 군사·경제 원조를 받았다.
1952년에는 NATO에 가입했으며, 1953년에는 발칸 협정의 조인국이 되었고, 바그다드 조약(1955, 후에 CENTO로 이름이 바뀜)과 유럽 경제협력기구(OEEC) 및 유럽 의회에 가입했다. 1959년에는 그리스와의 3년에 걸친 키프로스 분쟁을 잠정적으로 해소했다. 1961년 터키 제2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새 헌법이 채택되었으며, 1963년에 유럽 공동시장의 준회원국이 되었다.
1963년말 키프로스에 거주하는 그리스인과 터키인들 사이의 분쟁으로 키프로스에서 내란이 일어나자 그리스와 터키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어 전쟁 일보 직전까지 갔으나 국제연합(UN)의 압력으로 전쟁이 억제되었다.
1987년과 1996년에는 영토분쟁으로 재차 갈등이 빚어졌다. 1974년 키프로스에서 그리스 군사정부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가 일어났다. 이에 맞서 터키군은 북(北)키프로스를 점령했다. 그후 국내정세 불안과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면서 1980년 군부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계엄령을 선포했다. 2년 후 새 헌법이 대다수 유권자들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1983년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계엄령은 점차 해제되었다. 1983년 과격한 쿠르드족 분리주의 운동의 출현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지속적인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터키는 조국당의 투르구트 외잘 총리 재임기간(1983~89)중에 비교적 정치적인 안정과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1990년대 들어서는 친이슬람계 복지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가 증가하는 가운데 중도파 정당들이 집권했다.
1982년 이래 내각책임제에 의해 정부가 운영되어 왔으며 대통령은 7년 임기의 간선제였으나, 2007년 개헌을 통해 대통령의 임기를 5년으로 하고 중임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직선에 의해 선출되도록 했다. 이 헌법에 의해 2003년부터 총리로 재임했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2014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는 대통령이 된 뒤에 대통령 중심제 개헌안을 추진했는데, 2017년 개헌 국민투표에서 결국 개헌안이 통과되었다. 이 개헌안은 내각책임제에서 대통령중심제의 변경과 대통령의 임기를 5년 중임으로 하되, 중임 임기중에 대통령이 조기선거를 단행하여 당선되면 다시 5년의 임기 수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새 헌법에 의한 대통령 선거와 총선거가 2018년 6월 24일에 실시되었고, 개표 결과 현 대통령인 에르도안 대통령의 당선이 발표되었다. 헌법에 의하면 에르도안 대통령은 최장 2033년까지 집권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날 개표 결과에 따르면 에르도안 대통령이 주도하는 정의개발당이 42.68%, 민족주의행동당이 11.28%, 쿠르드계 소수당인 인민민주당이 10.94%를 획득 원내 진출이 가능해졌다. 터키 헌법에 의하면, 의회는 정당별 비례대표로 구성되며, 소수당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10%이상 득표한 정당에서만 원내에 진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2t2452b (다음백과)
터키는 한국전쟁 참전국... 그것도 참전군인이 네번째로 많은 나라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_%EC%A0%84%EC%9F%81_%EC%B0%B8%EC%A0%84%EA%B5%AD
첫댓글 과거의 친미국가 터키가.....
"예전에 너희 미국의 꼬봉이 이젠 아니야!" 라고 ㅎㅎㅎ
양키 용병 노릇이나 하던 더러운 터키 놈들이 많이 컸네.
잘보고 갑니다~
8!!!!!!!! 오스만제국 굴기
자주국가로 가는 터키군요
역시 돌궐의 후예답군!
자국영토가 아직도 갤리포니아주 라고
표기되었다고 얘길해줘도 믿지도 않고 에이 그럴리가 하며 무덤덤한 나라
집권층이 희안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어도
진보라고 악을쓰며 지지하는 일부 몰지각한 국민들
궁합이 맞습니다
요즈음
터키가 부럽다
우린 저런 대통령을 갖지 못하는지 ㅠㅠㅠ
터키의 깡다구를 우리도 배워야 평화통일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