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평균선투자법을 읽었다. 투자에서 절대란 없다. 다만 확률적으로 유리한 투자를 반복하면 대수의 법칙에 따라 수익을 얻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확률적으로 유리한 국면을 에지라고 하는데 이 에지는 이동평균선 3개을 사용하면 쉽게 찾을 수있다. 우위, 혹은 경쟁 우위 (Edge)는 경계, 날카로운 부분, 경쟁에서의 우위나 장점을 의미하는데 투자에서는 경쟁에서의 우위라는 뜻으로 주로 사용한다. 13 에지의 대표가 이평선 2개를 이용한 골든크로스인데 이는 박스장세가 되면 오신호가 너무 많아지기에 하나를 추가하여 3개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39
매수에지는 3개의 이평선이 모두 우상향하거나 이평선이 위부터 단기, 중기, 장기로 배열한 상태다. 즉 단기 이평선이 우상향하면서 중기를 위로 끌고, 중기가 우상향하면서 장기를 위로 끌고 있는 경우고 매도에지는 정반대의 상황이다. 에지가 없을 때는 매도나 매수하지않고 에지가 있을 때 해당 포지션을 가지는 것이 기본이다. 40 일반적으로 5일과 200일 이평이 단기와 장기고 20일과 75일이 중기 이평이다. 단기는 5일간 장이 열리기에 주간이평이고 이런 방식으로 계산하면 20일은 월간, 75일은 분기간, 200일은 연간이 된다. 51
이평선이 위로부터 단기, 중기, 장기인 경우 상승가능성이 높기에 매수에지다. 그러다 가격이 하락하면서 중단장(상승장 종료), 중장단(하락장 시작)에 이르고, 장중단의 상태가 되면 하락가능성이 큰 매도에지상태가 되고, 가격이 상승하면서 장단중(하락장 종료)을 거쳐 다시 단장중(상승장 시작)에 이르고 단중장으로 회귀하여 매수에지로 전환된다. 대체로 70%는 이러한 방향으로 진행되나 전술하였듯이 투자에 절대가 없기에 30%정도는 역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상승장 시작이 아닌 단중장에서 매수하고 하락장 시작이 아닌 장중단에서 매도하는 것이 안전하다. 107
단중장과 장중단은 상승과 하락가능성이 높고 오래 지속되며 나머지는 순식간에 지나간다. 다만 박스권의 경우는 반대다. 방향이 역행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있지만 뛰어넘는 경우는 없다. 이동평균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111 여기에 분할매매를 통해 보완하면 20-30%를 상승장이나 하락장 시작에 매매하고 나머지를 단중장이나 장중단에 매매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있다. 그리고 마무리도 도입과 비슷하게 먼저 20-30%를 중단장이나 장단중에 매매하고 중장단과 단장중에 나머지 물량의 매매를 완료하면 된다. 121
눌림목과 단기반등에 대한 해석은 단중기 데드/골든크로스가 발생했어도 중기와 장기 이평선의 추세가 이어지는 경우로 판단한다. 이 경우 데드크로스였더라도 매수하고 골든크로스였더라도 매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7 박스권에서는 세 이평선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간격이 벌어지면 박스권을 탈출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있다. 151 추세는 세 이평선이 거의 평행을 이루는 경우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155 단중장과 장중단에서 이익의 대부분을 내고 나머지 기간은 추세주시와 연습을 위해 작은 자본으로 거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방법이다. 177
이동평균수렴확산(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는 주식 시장과 같은 금융 시장에서 기술적 분석 도구로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다. MACD는 가격 움직임의 트렌드와 모멘텀을 분석하여 매수와 매도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MACD는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1. MACD 선 (MACD Line): 두 개의 이동평균(Moving Averages) 간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12일 지수이동평균(EMA)에서 26일 지수이동평균(EMA)을 빼서 계산한다.
2. 신호선 (Signal Line): MACD 선의 9일 지수이동평균(EMA)이다. MACD 선과 신호선 간의 교차점이 매매 신호를 생성한다.
3. 히스토그램 (Histogram): MACD 선과 신호선 간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다. 히스토그램이 0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가면 강한 상승 신호, 아래로 내려가면 강한 하락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MACD의 해석
1. MACD 선과 신호선의 교차
- 매수 신호: MACD 선이 신호선을 아래에서 위로 교차할 때. 이는 상승 모멘텀이 강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주식을 매수할 시점으로 고려될 수 있다.
- 매도 신호: MACD 선이 신호선을 위에서 아래로 교차할 때. 이는 하락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며, 주식을 매도할 시점으로 고려될 수 있다.
2. 히스토그램의 크기
- 히스토그램이 커지면 현재의 트렌드가 강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당 방향으로의 모멘텀이 강하다는 의미다.
- 히스토그램이 작아지면 트렌드가 약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추세의 반전이나 둔화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3. 다이버전스 (Divergence):
- 가격과 MACD의 방향이 다를 때 (예: 가격은 계속 상승하는데 MACD가 하락하는 경우), 이는 가격 반전의 신호일 수 있다.
- 강한 다이버전스는 시장에서 반전 신호로 해석되며, 매매 결정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장점:
- 모멘텀 확인: MACD는 가격의 변동성과 트렌드를 잘 포착하여, 시장에서의 추세와 모멘텀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 단기와 장기의 신호 제공: 짧은 기간(12일)과 긴 기간(26일)의 이동평균을 비교하여 시장 상황에 맞는 신호를 제공한다.
단점:
- 지연되는 신호: 이동평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신호가 지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서 불리할 수 있다.
- 거짓 신호: MACD는 때때로 횡보 시장(sideways market)에서 거짓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렌드가 명확하지 않은 시장에서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우선 MACD가 천장이나 바닥을 치고 데드 혹은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므로 이평선과 같이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203
리처드 데니스(Richard Dennis)는 유명한 미국의 투자자이자 트레이더, 그리고 비트코인을 포함한 시장에서의 거래 방식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거래의 천재"로 알려지게 된, 패턴 인식 및 추세 추종 전략의 개발과 관련이 있다. 리처드 데니스는 1980년대 초에 거래자 교육에 대한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주목을 받았니다. 그는 유명한 거래자 훈련 프로그램인 "터틀 프로그램(Turtle Program)"을 통해, 성공적인 트레이더를 배출하는 방법을 시도했다. 이 프로그램은 그의 투자 철학과 거래 전략을 다른 사람들에게 교육하는 실험적이면서도 매우 성공적인 프로그램이었다.
1983년, 리처드 데니스는 "사람은 거래자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을 가지고, 자신의 거래 전략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을 모집했다. 이 실험은 그가 직접 선택한 사람들에게 짧은 시간 동안 교육을 제공하고, 자신의 전략을 따라 거래하도록 한 프로젝트다. 리처드 데니스는 주식과 선물 시장에서 추세 추종(trend-following) 전략을 사용했다. 이 전략은 시장에서 가격의 추세를 식별하고, 그 추세에 맞춰 매매 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그는 단기 및 장기 가격 추세를 추적하는 방법과 리스크 관리에 대해 교육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터틀"이라고 불리며, 대부분 거래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터틀 트레이더"로 불리는 거래자들로 유명해졌고, 이들은 시장에서 10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리처드 데니스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바탕으로 거래를 했다:
- 시장에 대한 추세 추종: 시장이 강한 추세를 보일 때,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시장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
- 리스크 관리: 데니스는 적절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손실을 제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포지션 크기와 스톱 로스(stop loss)를 신중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중요하게 여겼다.
- 시장의 불확실성 수용: 그는 시장에서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받아들였고, 그럼으로써 장기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믿었다.
그는 투자손실의 상한을 투자금의 1%로 제한했다. 즉 100만불의 투자금에는 1만불이 컷로스의 기준이다. 10만불을 투자한 종목이 10%가 하락하면 1만불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즉시 손절매해야 한다. 253 또한 20일평균 하루변동폭의 두배가 하락했다면 손절한다. 273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5806618
머리말
[1장] 이익의 원천은 ‘에지가 있는 트레이딩’
01 트레이딩에서 ‘에지’란 무엇일까?; 02 모두가 아는 ‘에지’에 관하여; 03 왜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인가?
[2장] 이동 평균선을 더 깊게 이해하자
01 이동 평균선은 모든 분석 수법의 기본; 02 이동 평균선의 역할과 계산 방법
03 이동 평균선이 의미하는 것; 04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란 무엇일까?
05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에 대한 투자자의 심리; 06 이동 평균선과 궁합이 잘 맞는 ‘그랜빌의 법칙’; │ COLUMN │ 기술적 지표의 ‘오신호’에 관해
07 그랜빌의 법칙(매수 신호)을 상세히 검증한다; 08 그랜빌의 법칙(매도 신호)을 상세히 검증한다
09 복수의 이동 평균선(단기선과 중기선)을 사용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10 복수의 이동 평균선(중기선과 장기선)을 사용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3장]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의 구조와 사용법
01 에지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 02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의 구조 - 6개의 스테이지가 있다
03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과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04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
05 단기 추세에도 수익을 내기 위한 조기 주문과 선발대; 06 제1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07 제2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08 제3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09 제4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10 제5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11 제6스테이지에서의 대응법; 12 눌림목 매수와 고점 인식 매도는 언제 해야 할까?
13 박스권 탈출을 간파하려면?; 14 이동 평균선의 ‘간격’을 통해 추세를 읽어낸다
15 ‘띠’를 통해 가격 변동의 거대한 흐름을 읽어낸다; 16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의 장점과 주의점
[4장] 실제 차트를 보고 가격 변동을 추리해 보자
01 실제 차트로 검증해 보자; 02 예제1 (닛케이 225 선물의 일봉 차트)
03 예제2 (달러/엔의 일봉 차트); 04 예제3 (달러/엔의 4시간봉 차트)
05 예제4 (달러/엔의 1시간봉 차트); 06 예제5 (달러/엔의 5분봉 차트); 07 예제6 (NTT 도코모의 일봉 차트)
[5장] 대순환 MACD를 마스터하자
01 MACD는 이동 평균선의 진화형; 02 MACD에 사용하는 이동 평균선인 EMA는 무엇일까?
03 단순 이동 평균선=SMA의 문제점; 04 EMA는 최근의 숫자를 더 중시하는 이동 평균선
05 MACD와 시그널; 06 히스토그램을 추가하면 종합적인 MACD가 완성된다
07 대순환 MACD는 네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08 이동 평균선 대순환 분석과 대순환 MACD의 관계
09 대순환 MACD로 판단하는 ‘매수’의 타이밍; 10 대순환 MACD로 판단하는 ‘매도’의 타이밍; 11 청산(이익 확정, 손절)에 관하여
[6장] 자금 관리와 리스크 관리
01 파산하지 않을 포지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 COLUMN │ 터틀스에 관해
02 유닛이라는 개념; 03 리스크를 분산하는 방법
04 손절을 어떻게 할 것인가?(1); 05 손절을 어떻게 할 것인가?(2)
[7장] 고지로 강사의 트레이딩 연습 ‘프랙티스’
01 트레이딩에는 올바른 순서가 있다; 02 실제로 프랙티스를 해 보자
03 프랙티스를 할 때 주의해야 할 포인트; 04 ‘프랙티스 1,000개 노크’의 진행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