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망원경
(1) 천체 망원경의 종류 : 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는 광학 망원경과 전파를 모으는 전파 망원경이 있다.
(2) 광학 망원경 : 빛을 모으는 방식에 따라 굴절 망원경과 반사 망원경으로 나눈다.
1.굴절 망원경 :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빛을 모은다.
2.반사 망원경 : 오목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모은다.

(3) 천체 망원경의 구조

1.빛을 모아 확대하는 부분
주경 : 별빛을 모으는 역활을 한다.
접안렌즈(아이피스) : 주경에서 모은 별빛을 확대한다.
경통 : 주경과 접안렌드를 둘러싸는 통이다.
2. 관측대상을 맞추는 부분 : 초점 조절 손잡이, 미동 손잡이, 파인더
3. 경통을 지지하는 부분 : 가대(장치대), 무게추, 삼각대
(4) 천체 망원경의 사용법
1.주위가 확 트이고 편평하며 바람이 심하지 않은 곳에 설치한다,
2. 무게추를 조절하여 망원경 전체의 균형을 맞추고, 경통이 관측 대상을 향하도록 한다.
3. 파인더 조절 나사를 이용하여 관측 대상을 십자선 중앙에 고정시킨다.
4. 접안 렌즈를 보면서 초점을 맞추고 관측대상을 관측한다.
(5) 우주선
1. 최초의 인공 위성 : 1957년에 구소련의 스푸트니크1호가 최초로 발사되었다.
2.우주 왕복선 : 인공 위성을 우주 공간으로 보내기 위해 개발되었다.
3. 우주 정거장 : 지구의 궤도에 건설된 기지로, 여러 가지 실험이 가능하다.
4. 우주 탐사선 : 태양계 탐사를 위하여 태양계의 천체들을 조사한다.
2.달

(1) 달의 특성 : 잘은 지구 둘레를 공전하는 유일한 위성으로 반지름이 약17001km(지구의 약 4분의 1)이고, 지구로부터 약 38만 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2) 달의 표면 : 대기가없고,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1. 달의 고지 : 잙은 부분으로, 높고 험준하며 많은 운석 구덩이가 있다.
2. 달의 바다 : 어두운 부분으로, 현무암질 암석으로 덮인 낮고 편평한 지대이다.
3. 운석 구덩이 : 운석이 달의 표면에 부딪혀서 생긴다.
(3) 달에 대기롸 물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1.표면에 운석 구덩이가 많다.
2.낮과 밤의 온도차가 크다.
3. 낮에도 하늘이 까맣게 보인다.
3.태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