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부터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의복은 한복은 직선과 곡선의 조화로 조선의 아름다움의 표식이었고, 지금은 남녀가 모두 명절이나 행사때만 입지만, 예전에는 예복말고도 평상복으로도 나뉘어져 있어, 남녀 성인, 어린이까지 계절별로 입었습니다.
지금은 결혼예복화가 되어서, 그 의미와 예절이 많이 쇠퇴되어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한복 입는 방법을 알아보면서 전통 복장 예절에 관해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여자 한복 입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여자 한복은 먼저 속바지 --> 버선 --> 속치마 순서로 입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겉치마를 입습니다. 이 때 겉치마 자락이 왼쪽으로 오게 하며, 앞쪽이 들리지 않도록 앞으로 당겨서 입는게 좋습니다.
여자한복 옷고름 매는 법
1. 옷 고름에는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이 있습니다. 손으로 들어줍니다.
이때 왼손은 위로 올라가 짧은 고름을 잡아 둥근 원를 만들고 오른손은 밑에 있는 긴 고름을 잡아 고를 만들어 짧은 고름의 원 안으로 알맞게 잡아당겨 줍니다.
모양을 바로 잡습니다.
<출처 - 네이버 상식백과>
남자한복 대님 매는 법
1. 배래 솔기 끝(세개의 솔기 중 가운데 솔기)을 발 안쪽 복사뼈에 대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꼭 눌러줍니다.
복사뼈 있는 위치에서 외코로 매어줍니다. 단, 리본으로 매지 않습니다.
좌우 각각 바깥쪽 복사뼈에서 앞쪽을 향하여 주름이 접혀 있습니다.
이상으로 남자와 여자한복 입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복을 입으면서, 우리 조상들의 한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고유의 따뜻함을 되새기면서, 전통 의복 문화를 계승해 나아가야 할 것 입니다.
<출처 - 네이버 상식백과>
[펌] |
출처: 파란 물결 원문보기 글쓴이: 靑 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