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7개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서원이다.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표 2]에 의하면 서원은 전 시기에 걸쳐 8도에 417개 소가 있었으며, 사우는 492개 소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후기, 특히 숙종 때 서원이 남설되면서부터 서원·사우의 구별이 모호해졌으므로, 사우까지도 서원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여 양자를 합하면 모두 909개 소에 이른다.
1741년(영조 17) 서원철폐론의 당시 서원·사우 등 여러 명칭을 모두 헤아린 숫자가 1,000여개 소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1864년(고종 1)에 이미 민폐문제를 구실로 사원에 대한 조사와 그 존폐여부의 처리를 묘당에 맡겼으며, 1868년과 1870년에 미사액서원과 사액서원으로 제향자의 후손에 의하여 주도되면서 민폐를 끼치는 서원에 대한 훼철을 명령하였다.
이어 1871년에 학문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에 대하여 1인 1원(一人一院) 이외의 모든 첩설서원을 일시에 훼철하여 전국에 47개 소의 사원만 남겨놓게 된 것이다. 이때 존치된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그 명단은 [표 3]과 같다.
도학서원[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 1561년 | 1623년 | 홍유후 설총(弘儒候 薛聰) | 처음에는 김유신을 모시다가, 뒤에 설총과 최치원을 더하여 모셨다. |
2.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泰仁)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1484년 (태산사) | 1696년 |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 |
3.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1543년 | 1550년 | 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 | 최초의 사액서원 |
4.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선죽동 | 1573년 | 1575년 |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 정몽주가 살던 집터에 지어졌다. |
5.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玄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1605년 | 1607년 |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 |
6.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 1552년 | 1566년 |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 |
7.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1650년 | 1650년 |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 |
8.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1573년 | 1574년 |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 |
9.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 1590년 | 1662년 |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 |
10.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禮安)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리 | 1574년 | 1575년 |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 |
11.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白川) | 황해남도 배천군 | 조선 중기 | 1568년 |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 |
12.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1568년 | 1650년 |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 |
13.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1634년 | 1660년 |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 |
14.여주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1785년 | 1785년 (대로사) |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 원래 이름은 대로사(大老祠)이나, 서원철폐령이 내려질 때는 강한사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다. |
15.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 1702년 | 1705년 |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 |
16.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황해남도 장연군 | 1695년 | 1696년 |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
충렬서원 및 사우[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강화 충렬사(忠烈祠) | 경기도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 1642년 (현렬사) | 1658년 (충렬사) | 문충공 김상용(文忠公 金尙容) | 현렬사(顯烈祠)로 부르다가 1658년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
2.광주 현절사(顯節祠) | 경기도 광주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 1688년 | 1693년 | 삼학사 및 문정공 김상헌(文正公 金尙憲) | 윤집·오달제·홍익한 |
3.우저서원(牛渚書院) | 경기도 김포 |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 1648년 | 1675년 |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 |
4.용연서원(龍淵書院) | 경기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 1691년 | 1692년 | 문익공 이덕형(文翼公 李德馨) | |
5.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과천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1725년 | 1725년 | 신임옥사 4충신 |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1968년 현 위치로 옮김. |
6.덕봉서원(德峰書院) | 경기도 양성(陽城)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1695년 | 1695년 | 충정공 오두인(忠貞公 吳斗寅) | |
7.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도 과천[5][6]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1695년 | 1697년, 1791년 | 문렬공 박태보(文烈公 朴泰輔) | 박태보가 죽은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되어 사액을 받은 뒤, 노강서원으로 승격된 해에 다시 사액을 받았다. 1969년 현재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
8.고양 기공사(紀功祠) | 경기도 고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내 | 1841년 | 1841년 | 충장공 권율(忠莊公 權慄) | 나중에 이름이 충장사(忠莊祠)로 바뀌었다. |
9.홍산 창렬사(彰烈祠) | 충청도 홍산(鴻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1717년 | 1721년 | 문정공 윤집(文貞公 尹集)을 비롯한 삼학사 | 창렬서원(彰烈書院)이라고도 부른다. |
10.청주 표충사(表忠祠) | 충청도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 1731년 | 1736년 | 충민공 이봉상(忠愍公 李鳳祥) | 남연년(南延年)과 홍림(洪霖)도 함께 모시면서 삼충사(三忠祠)로 불리다가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았다.[7] |
11.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청도 노성(魯城)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 1675년 | 1682년 | 문정공 윤황(文貞公 尹煌) | |
12.충주 충렬사(忠烈祠) | 충청도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 1679년 | 1727년 |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 | |
13.광주 포충사(褒忠祠) | 전라도 광주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 1601년 | 1603년 |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 | 고경명의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와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을 함께 배향한다. |
14.금오서원(金烏書院) | 경상도 선산(善山)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1570년 | 1575년 | 충절공 길재(忠節公 吉再) | |
15.옥동서원(玉洞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1518년 | 1789년 | 익성공 황희(翼成公 黃喜) | 그밖에 황맹헌(黃孟獻), 황효헌(黃孝獻), 황뉴(黃紐)를 배향하고 있다. |
16.병산서원(屛山書院) | 경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 1614년 | 1863년 | 문충공 류성룡(文忠公 柳成龍) | 고려 말기 풍산현에 세운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 류성룡이 현재 위치로 옮겼고, 1614년 병산서원으로 바뀌었다. |
17.동래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 1605년 | 1624년 | 충렬공 송상현(忠烈公 宋象賢) |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도 불린다. |
18.진주 창열사(彰烈祠) | 경상도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 | 1595년 | 1607년 | 문렬공 김천일(文烈公 金千鎰) 외 38인 | 1868년(고종 5년)부터 김시민도 함께 배향한다. |
19.고성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고성 |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 | 1606년 | 1663년 |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 | |
20.거창 포충사(褒忠祠) | 경상도 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1737년 | 1768년 | 충강공 이술원(忠剛公 李述原) | |
21.창절서원(彰節書院) | 강원도 영월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 1685년 | 1699년 | 사육신 6인 외 3인 배향 | 생육신 위패도 함께 모셨다. |
22.철원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665년 | 1668년 | 충무공 김응하(忠武公 金應河) | |
23.충렬서원(忠烈書院) | 강원도 김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1650년 (충렬사) | 1652년 (의열사) | 충렬공 홍명구(忠烈公 洪命耉) | 충렬사(忠烈祠)·의열사(義烈祠)라고도 부르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 현재 철원 충렬사지(鐵原忠烈祠址)라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24.평산 태사사(太師祠) | 황해도 평산 |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 | 고려 초기 | 1796년 (삼태사사) | 신숭겸, 유검필, 복지겸, 배현경 |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비석만 남아 있다. |
25.해주 청성묘(淸聖廟) | 황해도 해주 | 황해남도 해주시 | 1687년 | 1701년 | 백이숙제(伯夷叔齊) | 원래 이름은 이제묘(夷齊廟)이며, 청성사(淸聖祠)라고도 부른다. |
26.노덕서원(老德書院) | 함경도 북청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1627년 | 1687년 | 문충공 이항복(文忠公 李恒福) | |
27.영유 삼충사(三忠祠) | 평안도 영유(永柔) | 평안남도 평원군 | 1603년 (와룡사) | 1661년 (와룡사), 1750년 (삼충사) | 제갈량·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 | |
28.안주 충민사(忠愍祠) | 평안도 안주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1681년 | 1682년 | 충장공 남이흥(忠蔣公 南以興) | |
29.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안도 영변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 1794년 | 1794년 | 청허 휴정·송운 유정 | 승려를 모신 사우이다. |
30.평양 무열사(武烈祠) | 평안도 평양 | 평양직할시 | 1593년 | 1593년 |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 | 명나라 장수 이여송·양원(楊元)·이여백(李如栢)·장세작(張世爵) 등을 추가 배향했다. |
31.정주 표절사(表節祠) | 평안도 정주 | 평안북도 정주시 | 조선 순조 | 1824년 | 충렬공 정시(忠烈公 鄭蓍)를 비롯한 7의사 | 홍경래의 난 피해자. |
함께 보기[편집]
고종 때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서원 47개소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
47개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서원이다.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표 2]에 의하면 서원은 전 시기에 걸쳐 8도에 417개 소가 있었으며, 사우는 492개 소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후기, 특히 숙종 때 서원이 남설되면서부터 서원·사우의 구별이 모호해졌으므로, 사우까지도 서원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여 양자를 합하면 모두 909개 소에 이른다.
1741년(영조 17) 서원철폐론의 당시 서원·사우 등 여러 명칭을 모두 헤아린 숫자가 1,000여개 소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1864년(고종 1)에 이미 민폐문제를 구실로 사원에 대한 조사와 그 존폐여부의 처리를 묘당에 맡겼으며, 1868년과 1870년에 미사액서원과 사액서원으로 제향자의 후손에 의하여 주도되면서 민폐를 끼치는 서원에 대한 훼철을 명령하였다.
이어 1871년에 학문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에 대하여 1인 1원(一人一院) 이외의 모든 첩설서원을 일시에 훼철하여 전국에 47개 소의 사원만 남겨놓게 된 것이다. 이때 존치된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그 명단은 [표 3]과 같다.
도학서원[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 1561년 | 1623년 | 홍유후 설총(弘儒候 薛聰) | 처음에는 김유신을 모시다가, 뒤에 설총과 최치원을 더하여 모셨다. |
2.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泰仁)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1484년 (태산사) | 1696년 |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 |
3.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1543년 | 1550년 | 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 | 최초의 사액서원 |
4.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선죽동 | 1573년 | 1575년 |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 정몽주가 살던 집터에 지어졌다. |
5.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玄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1605년 | 1607년 |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 |
6.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 1552년 | 1566년 |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 |
7.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1650년 | 1650년 |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 |
8.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1573년 | 1574년 |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 |
9.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 1590년 | 1662년 |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 |
10.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禮安)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리 | 1574년 | 1575년 |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 |
11.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白川) | 황해남도 배천군 | 조선 중기 | 1568년 |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 |
12.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1568년 | 1650년 |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 |
13.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1634년 | 1660년 |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 |
14.여주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1785년 | 1785년 (대로사) |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 원래 이름은 대로사(大老祠)이나, 서원철폐령이 내려질 때는 강한사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다. |
15.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 1702년 | 1705년 |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 |
16.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황해남도 장연군 | 1695년 | 1696년 |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
충렬서원 및 사우[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강화 충렬사(忠烈祠) | 경기도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 1642년 (현렬사) | 1658년 (충렬사) | 문충공 김상용(文忠公 金尙容) | 현렬사(顯烈祠)로 부르다가 1658년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
2.광주 현절사(顯節祠) | 경기도 광주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 1688년 | 1693년 | 삼학사 및 문정공 김상헌(文正公 金尙憲) | 윤집·오달제·홍익한 |
3.우저서원(牛渚書院) | 경기도 김포 |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 1648년 | 1675년 |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 |
4.용연서원(龍淵書院) | 경기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 1691년 | 1692년 | 문익공 이덕형(文翼公 李德馨) | |
5.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과천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1725년 | 1725년 | 신임옥사 4충신 |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1968년 현 위치로 옮김. |
6.덕봉서원(德峰書院) | 경기도 양성(陽城)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1695년 | 1695년 | 충정공 오두인(忠貞公 吳斗寅) | |
7.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도 과천[5][6]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1695년 | 1697년, 1791년 | 문렬공 박태보(文烈公 朴泰輔) | 박태보가 죽은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되어 사액을 받은 뒤, 노강서원으로 승격된 해에 다시 사액을 받았다. 1969년 현재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
8.고양 기공사(紀功祠) | 경기도 고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내 | 1841년 | 1841년 | 충장공 권율(忠莊公 權慄) | 나중에 이름이 충장사(忠莊祠)로 바뀌었다. |
9.홍산 창렬사(彰烈祠) | 충청도 홍산(鴻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1717년 | 1721년 | 문정공 윤집(文貞公 尹集)을 비롯한 삼학사 | 창렬서원(彰烈書院)이라고도 부른다. |
10.청주 표충사(表忠祠) | 충청도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 1731년 | 1736년 | 충민공 이봉상(忠愍公 李鳳祥) | 남연년(南延年)과 홍림(洪霖)도 함께 모시면서 삼충사(三忠祠)로 불리다가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았다.[7] |
11.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청도 노성(魯城)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 1675년 | 1682년 | 문정공 윤황(文貞公 尹煌) | |
12.충주 충렬사(忠烈祠) | 충청도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 1679년 | 1727년 |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 | |
13.광주 포충사(褒忠祠) | 전라도 광주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 1601년 | 1603년 |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 | 고경명의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와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을 함께 배향한다. |
14.금오서원(金烏書院) | 경상도 선산(善山)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1570년 | 1575년 | 충절공 길재(忠節公 吉再) | |
15.옥동서원(玉洞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1518년 | 1789년 | 익성공 황희(翼成公 黃喜) | 그밖에 황맹헌(黃孟獻), 황효헌(黃孝獻), 황뉴(黃紐)를 배향하고 있다. |
16.병산서원(屛山書院) | 경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 1614년 | 1863년 | 문충공 류성룡(文忠公 柳成龍) | 고려 말기 풍산현에 세운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 류성룡이 현재 위치로 옮겼고, 1614년 병산서원으로 바뀌었다. |
17.동래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 1605년 | 1624년 | 충렬공 송상현(忠烈公 宋象賢) |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도 불린다. |
18.진주 창열사(彰烈祠) | 경상도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 | 1595년 | 1607년 | 문렬공 김천일(文烈公 金千鎰) 외 38인 | 1868년(고종 5년)부터 김시민도 함께 배향한다. |
19.고성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고성 |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 | 1606년 | 1663년 |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 | |
20.거창 포충사(褒忠祠) | 경상도 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1737년 | 1768년 | 충강공 이술원(忠剛公 李述原) | |
21.창절서원(彰節書院) | 강원도 영월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 1685년 | 1699년 | 사육신 6인 외 3인 배향 | 생육신 위패도 함께 모셨다. |
22.철원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665년 | 1668년 | 충무공 김응하(忠武公 金應河) | |
23.충렬서원(忠烈書院) | 강원도 김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1650년 (충렬사) | 1652년 (의열사) | 충렬공 홍명구(忠烈公 洪命耉) | 충렬사(忠烈祠)·의열사(義烈祠)라고도 부르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 현재 철원 충렬사지(鐵原忠烈祠址)라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24.평산 태사사(太師祠) | 황해도 평산 |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 | 고려 초기 | 1796년 (삼태사사) | 신숭겸, 유검필, 복지겸, 배현경 |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비석만 남아 있다. |
25.해주 청성묘(淸聖廟) | 황해도 해주 | 황해남도 해주시 | 1687년 | 1701년 | 백이숙제(伯夷叔齊) | 원래 이름은 이제묘(夷齊廟)이며, 청성사(淸聖祠)라고도 부른다. |
26.노덕서원(老德書院) | 함경도 북청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1627년 | 1687년 | 문충공 이항복(文忠公 李恒福) | |
27.영유 삼충사(三忠祠) | 평안도 영유(永柔) | 평안남도 평원군 | 1603년 (와룡사) | 1661년 (와룡사), 1750년 (삼충사) | 제갈량·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 | |
28.안주 충민사(忠愍祠) | 평안도 안주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1681년 | 1682년 | 충장공 남이흥(忠蔣公 南以興) | |
29.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안도 영변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 1794년 | 1794년 | 청허 휴정·송운 유정 | 승려를 모신 사우이다. |
30.평양 무열사(武烈祠) | 평안도 평양 | 평양직할시 | 1593년 | 1593년 |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 | 명나라 장수 이여송·양원(楊元)·이여백(李如栢)·장세작(張世爵) 등을 추가 배향했다. |
31.정주 표절사(表節祠) | 평안도 정주 | 평안북도 정주시 | 조선 순조 | 1824년 | 충렬공 정시(忠烈公 鄭蓍)를 비롯한 7의사 | 홍경래의 난 피해자. |
함께 보기[편집]
고종 때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서원 47개소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
47개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서원이다.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표 2]에 의하면 서원은 전 시기에 걸쳐 8도에 417개 소가 있었으며, 사우는 492개 소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후기, 특히 숙종 때 서원이 남설되면서부터 서원·사우의 구별이 모호해졌으므로, 사우까지도 서원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여 양자를 합하면 모두 909개 소에 이른다.
1741년(영조 17) 서원철폐론의 당시 서원·사우 등 여러 명칭을 모두 헤아린 숫자가 1,000여개 소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1864년(고종 1)에 이미 민폐문제를 구실로 사원에 대한 조사와 그 존폐여부의 처리를 묘당에 맡겼으며, 1868년과 1870년에 미사액서원과 사액서원으로 제향자의 후손에 의하여 주도되면서 민폐를 끼치는 서원에 대한 훼철을 명령하였다.
이어 1871년에 학문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에 대하여 1인 1원(一人一院) 이외의 모든 첩설서원을 일시에 훼철하여 전국에 47개 소의 사원만 남겨놓게 된 것이다. 이때 존치된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그 명단은 [표 3]과 같다.
도학서원[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 1561년 | 1623년 | 홍유후 설총(弘儒候 薛聰) | 처음에는 김유신을 모시다가, 뒤에 설총과 최치원을 더하여 모셨다. |
2.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泰仁)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1484년 (태산사) | 1696년 |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 |
3.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1543년 | 1550년 | 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 | 최초의 사액서원 |
4.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선죽동 | 1573년 | 1575년 |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 정몽주가 살던 집터에 지어졌다. |
5.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玄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1605년 | 1607년 |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 |
6.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 1552년 | 1566년 |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 |
7.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1650년 | 1650년 |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 |
8.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1573년 | 1574년 |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 |
9.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 1590년 | 1662년 |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 |
10.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禮安)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리 | 1574년 | 1575년 |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 |
11.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白川) | 황해남도 배천군 | 조선 중기 | 1568년 |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 |
12.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1568년 | 1650년 |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 |
13.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1634년 | 1660년 |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 |
14.여주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1785년 | 1785년 (대로사) |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 원래 이름은 대로사(大老祠)이나, 서원철폐령이 내려질 때는 강한사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다. |
15.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 1702년 | 1705년 |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 |
16.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황해남도 장연군 | 1695년 | 1696년 |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
충렬서원 및 사우[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강화 충렬사(忠烈祠) | 경기도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 1642년 (현렬사) | 1658년 (충렬사) | 문충공 김상용(文忠公 金尙容) | 현렬사(顯烈祠)로 부르다가 1658년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
2.광주 현절사(顯節祠) | 경기도 광주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 1688년 | 1693년 | 삼학사 및 문정공 김상헌(文正公 金尙憲) | 윤집·오달제·홍익한 |
3.우저서원(牛渚書院) | 경기도 김포 |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 1648년 | 1675년 |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 |
4.용연서원(龍淵書院) | 경기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 1691년 | 1692년 | 문익공 이덕형(文翼公 李德馨) | |
5.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과천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1725년 | 1725년 | 신임옥사 4충신 |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1968년 현 위치로 옮김. |
6.덕봉서원(德峰書院) | 경기도 양성(陽城)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1695년 | 1695년 | 충정공 오두인(忠貞公 吳斗寅) | |
7.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도 과천[5][6]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1695년 | 1697년, 1791년 | 문렬공 박태보(文烈公 朴泰輔) | 박태보가 죽은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되어 사액을 받은 뒤, 노강서원으로 승격된 해에 다시 사액을 받았다. 1969년 현재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
8.고양 기공사(紀功祠) | 경기도 고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내 | 1841년 | 1841년 | 충장공 권율(忠莊公 權慄) | 나중에 이름이 충장사(忠莊祠)로 바뀌었다. |
9.홍산 창렬사(彰烈祠) | 충청도 홍산(鴻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1717년 | 1721년 | 문정공 윤집(文貞公 尹集)을 비롯한 삼학사 | 창렬서원(彰烈書院)이라고도 부른다. |
10.청주 표충사(表忠祠) | 충청도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 1731년 | 1736년 | 충민공 이봉상(忠愍公 李鳳祥) | 남연년(南延年)과 홍림(洪霖)도 함께 모시면서 삼충사(三忠祠)로 불리다가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았다.[7] |
11.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청도 노성(魯城)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 1675년 | 1682년 | 문정공 윤황(文貞公 尹煌) | |
12.충주 충렬사(忠烈祠) | 충청도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 1679년 | 1727년 |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 | |
13.광주 포충사(褒忠祠) | 전라도 광주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 1601년 | 1603년 |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 | 고경명의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와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을 함께 배향한다. |
14.금오서원(金烏書院) | 경상도 선산(善山)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1570년 | 1575년 | 충절공 길재(忠節公 吉再) | |
15.옥동서원(玉洞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1518년 | 1789년 | 익성공 황희(翼成公 黃喜) | 그밖에 황맹헌(黃孟獻), 황효헌(黃孝獻), 황뉴(黃紐)를 배향하고 있다. |
16.병산서원(屛山書院) | 경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 1614년 | 1863년 | 문충공 류성룡(文忠公 柳成龍) | 고려 말기 풍산현에 세운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 류성룡이 현재 위치로 옮겼고, 1614년 병산서원으로 바뀌었다. |
17.동래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 1605년 | 1624년 | 충렬공 송상현(忠烈公 宋象賢) |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도 불린다. |
18.진주 창열사(彰烈祠) | 경상도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 | 1595년 | 1607년 | 문렬공 김천일(文烈公 金千鎰) 외 38인 | 1868년(고종 5년)부터 김시민도 함께 배향한다. |
19.고성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고성 |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 | 1606년 | 1663년 |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 | |
20.거창 포충사(褒忠祠) | 경상도 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1737년 | 1768년 | 충강공 이술원(忠剛公 李述原) | |
21.창절서원(彰節書院) | 강원도 영월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 1685년 | 1699년 | 사육신 6인 외 3인 배향 | 생육신 위패도 함께 모셨다. |
22.철원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665년 | 1668년 | 충무공 김응하(忠武公 金應河) | |
23.충렬서원(忠烈書院) | 강원도 김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1650년 (충렬사) | 1652년 (의열사) | 충렬공 홍명구(忠烈公 洪命耉) | 충렬사(忠烈祠)·의열사(義烈祠)라고도 부르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 현재 철원 충렬사지(鐵原忠烈祠址)라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24.평산 태사사(太師祠) | 황해도 평산 |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 | 고려 초기 | 1796년 (삼태사사) | 신숭겸, 유검필, 복지겸, 배현경 |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비석만 남아 있다. |
25.해주 청성묘(淸聖廟) | 황해도 해주 | 황해남도 해주시 | 1687년 | 1701년 | 백이숙제(伯夷叔齊) | 원래 이름은 이제묘(夷齊廟)이며, 청성사(淸聖祠)라고도 부른다. |
26.노덕서원(老德書院) | 함경도 북청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1627년 | 1687년 | 문충공 이항복(文忠公 李恒福) | |
27.영유 삼충사(三忠祠) | 평안도 영유(永柔) | 평안남도 평원군 | 1603년 (와룡사) | 1661년 (와룡사), 1750년 (삼충사) | 제갈량·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 | |
28.안주 충민사(忠愍祠) | 평안도 안주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1681년 | 1682년 | 충장공 남이흥(忠蔣公 南以興) | |
29.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안도 영변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 1794년 | 1794년 | 청허 휴정·송운 유정 | 승려를 모신 사우이다. |
30.평양 무열사(武烈祠) | 평안도 평양 | 평양직할시 | 1593년 | 1593년 |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 | 명나라 장수 이여송·양원(楊元)·이여백(李如栢)·장세작(張世爵) 등을 추가 배향했다. |
31.정주 표절사(表節祠) | 평안도 정주 | 평안북도 정주시 | 조선 순조 | 1824년 | 충렬공 정시(忠烈公 鄭蓍)를 비롯한 7의사 | 홍경래의 난 피해자. |
함께 보기[편집]
고종 때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서원 47개소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
47개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서원이다.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표 2]에 의하면 서원은 전 시기에 걸쳐 8도에 417개 소가 있었으며, 사우는 492개 소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후기, 특히 숙종 때 서원이 남설되면서부터 서원·사우의 구별이 모호해졌으므로, 사우까지도 서원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여 양자를 합하면 모두 909개 소에 이른다.
1741년(영조 17) 서원철폐론의 당시 서원·사우 등 여러 명칭을 모두 헤아린 숫자가 1,000여개 소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1864년(고종 1)에 이미 민폐문제를 구실로 사원에 대한 조사와 그 존폐여부의 처리를 묘당에 맡겼으며, 1868년과 1870년에 미사액서원과 사액서원으로 제향자의 후손에 의하여 주도되면서 민폐를 끼치는 서원에 대한 훼철을 명령하였다.
이어 1871년에 학문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에 대하여 1인 1원(一人一院) 이외의 모든 첩설서원을 일시에 훼철하여 전국에 47개 소의 사원만 남겨놓게 된 것이다. 이때 존치된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그 명단은 [표 3]과 같다.
도학서원[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 1561년 | 1623년 | 홍유후 설총(弘儒候 薛聰) | 처음에는 김유신을 모시다가, 뒤에 설총과 최치원을 더하여 모셨다. |
2.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泰仁)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1484년 (태산사) | 1696년 |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 |
3.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1543년 | 1550년 | 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 | 최초의 사액서원 |
4.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선죽동 | 1573년 | 1575년 |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 정몽주가 살던 집터에 지어졌다. |
5.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玄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1605년 | 1607년 |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 |
6.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 1552년 | 1566년 |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 |
7.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1650년 | 1650년 |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 |
8.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1573년 | 1574년 |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 |
9.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 1590년 | 1662년 |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 |
10.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禮安)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리 | 1574년 | 1575년 |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 |
11.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白川) | 황해남도 배천군 | 조선 중기 | 1568년 |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 |
12.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1568년 | 1650년 |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 |
13.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1634년 | 1660년 |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 |
14.여주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1785년 | 1785년 (대로사) |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 원래 이름은 대로사(大老祠)이나, 서원철폐령이 내려질 때는 강한사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다. |
15.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 1702년 | 1705년 |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 |
16.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황해남도 장연군 | 1695년 | 1696년 |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
충렬서원 및 사우[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강화 충렬사(忠烈祠) | 경기도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 1642년 (현렬사) | 1658년 (충렬사) | 문충공 김상용(文忠公 金尙容) | 현렬사(顯烈祠)로 부르다가 1658년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
2.광주 현절사(顯節祠) | 경기도 광주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 1688년 | 1693년 | 삼학사 및 문정공 김상헌(文正公 金尙憲) | 윤집·오달제·홍익한 |
3.우저서원(牛渚書院) | 경기도 김포 |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 1648년 | 1675년 |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 |
4.용연서원(龍淵書院) | 경기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 1691년 | 1692년 | 문익공 이덕형(文翼公 李德馨) | |
5.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과천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1725년 | 1725년 | 신임옥사 4충신 |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1968년 현 위치로 옮김. |
6.덕봉서원(德峰書院) | 경기도 양성(陽城)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1695년 | 1695년 | 충정공 오두인(忠貞公 吳斗寅) | |
7.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도 과천[5][6]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1695년 | 1697년, 1791년 | 문렬공 박태보(文烈公 朴泰輔) | 박태보가 죽은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되어 사액을 받은 뒤, 노강서원으로 승격된 해에 다시 사액을 받았다. 1969년 현재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
8.고양 기공사(紀功祠) | 경기도 고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내 | 1841년 | 1841년 | 충장공 권율(忠莊公 權慄) | 나중에 이름이 충장사(忠莊祠)로 바뀌었다. |
9.홍산 창렬사(彰烈祠) | 충청도 홍산(鴻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1717년 | 1721년 | 문정공 윤집(文貞公 尹集)을 비롯한 삼학사 | 창렬서원(彰烈書院)이라고도 부른다. |
10.청주 표충사(表忠祠) | 충청도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 1731년 | 1736년 | 충민공 이봉상(忠愍公 李鳳祥) | 남연년(南延年)과 홍림(洪霖)도 함께 모시면서 삼충사(三忠祠)로 불리다가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았다.[7] |
11.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청도 노성(魯城)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 1675년 | 1682년 | 문정공 윤황(文貞公 尹煌) | |
12.충주 충렬사(忠烈祠) | 충청도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 1679년 | 1727년 |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 | |
13.광주 포충사(褒忠祠) | 전라도 광주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 1601년 | 1603년 |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 | 고경명의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와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을 함께 배향한다. |
14.금오서원(金烏書院) | 경상도 선산(善山)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1570년 | 1575년 | 충절공 길재(忠節公 吉再) | |
15.옥동서원(玉洞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1518년 | 1789년 | 익성공 황희(翼成公 黃喜) | 그밖에 황맹헌(黃孟獻), 황효헌(黃孝獻), 황뉴(黃紐)를 배향하고 있다. |
16.병산서원(屛山書院) | 경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 1614년 | 1863년 | 문충공 류성룡(文忠公 柳成龍) | 고려 말기 풍산현에 세운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 류성룡이 현재 위치로 옮겼고, 1614년 병산서원으로 바뀌었다. |
17.동래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 1605년 | 1624년 | 충렬공 송상현(忠烈公 宋象賢) |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도 불린다. |
18.진주 창열사(彰烈祠) | 경상도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 | 1595년 | 1607년 | 문렬공 김천일(文烈公 金千鎰) 외 38인 | 1868년(고종 5년)부터 김시민도 함께 배향한다. |
19.고성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고성 |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 | 1606년 | 1663년 |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 | |
20.거창 포충사(褒忠祠) | 경상도 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1737년 | 1768년 | 충강공 이술원(忠剛公 李述原) | |
21.창절서원(彰節書院) | 강원도 영월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 1685년 | 1699년 | 사육신 6인 외 3인 배향 | 생육신 위패도 함께 모셨다. |
22.철원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665년 | 1668년 | 충무공 김응하(忠武公 金應河) | |
23.충렬서원(忠烈書院) | 강원도 김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1650년 (충렬사) | 1652년 (의열사) | 충렬공 홍명구(忠烈公 洪命耉) | 충렬사(忠烈祠)·의열사(義烈祠)라고도 부르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 현재 철원 충렬사지(鐵原忠烈祠址)라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24.평산 태사사(太師祠) | 황해도 평산 |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 | 고려 초기 | 1796년 (삼태사사) | 신숭겸, 유검필, 복지겸, 배현경 |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비석만 남아 있다. |
25.해주 청성묘(淸聖廟) | 황해도 해주 | 황해남도 해주시 | 1687년 | 1701년 | 백이숙제(伯夷叔齊) | 원래 이름은 이제묘(夷齊廟)이며, 청성사(淸聖祠)라고도 부른다. |
26.노덕서원(老德書院) | 함경도 북청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1627년 | 1687년 | 문충공 이항복(文忠公 李恒福) | |
27.영유 삼충사(三忠祠) | 평안도 영유(永柔) | 평안남도 평원군 | 1603년 (와룡사) | 1661년 (와룡사), 1750년 (삼충사) | 제갈량·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 | |
28.안주 충민사(忠愍祠) | 평안도 안주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1681년 | 1682년 | 충장공 남이흥(忠蔣公 南以興) | |
29.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안도 영변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 1794년 | 1794년 | 청허 휴정·송운 유정 | 승려를 모신 사우이다. |
30.평양 무열사(武烈祠) | 평안도 평양 | 평양직할시 | 1593년 | 1593년 |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 | 명나라 장수 이여송·양원(楊元)·이여백(李如栢)·장세작(張世爵) 등을 추가 배향했다. |
31.정주 표절사(表節祠) | 평안도 정주 | 평안북도 정주시 | 조선 순조 | 1824년 | 충렬공 정시(忠烈公 鄭蓍)를 비롯한 7의사 | 홍경래의 난 피해자. |
함께 보기[편집]
고종 때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서원 47개소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
47개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전국 650개 서원 중 철폐 되지 않은 서원이다.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표 2]에 의하면 서원은 전 시기에 걸쳐 8도에 417개 소가 있었으며, 사우는 492개 소에 달하고 있다. 그런데 후기, 특히 숙종 때 서원이 남설되면서부터 서원·사우의 구별이 모호해졌으므로, 사우까지도 서원과 비슷한 성격으로 파악하여 양자를 합하면 모두 909개 소에 이른다.
1741년(영조 17) 서원철폐론의 당시 서원·사우 등 여러 명칭을 모두 헤아린 숫자가 1,000여개 소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 통계로 뒷받침되고 있다.
흥선대원군은 1864년(고종 1)에 이미 민폐문제를 구실로 사원에 대한 조사와 그 존폐여부의 처리를 묘당에 맡겼으며, 1868년과 1870년에 미사액서원과 사액서원으로 제향자의 후손에 의하여 주도되면서 민폐를 끼치는 서원에 대한 훼철을 명령하였다.
이어 1871년에 학문과 충절이 뛰어난 인물에 대하여 1인 1원(一人一院) 이외의 모든 첩설서원을 일시에 훼철하여 전국에 47개 소의 사원만 남겨놓게 된 것이다. 이때 존치된 47개 소는 서원명칭을 가진 것이 27개 소, 사(祠)가 20개 소이다. 그 명단은 [표 3]과 같다.
도학서원[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서악서원(西嶽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 1561년 | 1623년 | 홍유후 설총(弘儒候 薛聰) | 처음에는 김유신을 모시다가, 뒤에 설총과 최치원을 더하여 모셨다. |
2.무성서원(武城書院) | 전라도 태인(泰仁)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 1484년 (태산사) | 1696년 |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 |
3.소수서원(紹修書院) | 경상도 순흥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 1543년 | 1550년 | 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 | 최초의 사액서원 |
4.숭양서원(崇陽書院) | 경기도 개성 |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선죽동 | 1573년 | 1575년 |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 정몽주가 살던 집터에 지어졌다. |
5.도동서원(道東書院) | 경상도 현풍(玄風)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 1605년 | 1607년 |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 |
6.남계서원(藍溪書院) | 경상도 함양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 1552년 | 1566년 |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 | |
7.심곡서원(深谷書院) | 경기도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 1650년 | 1650년 | 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 | |
8.옥산서원(玉山書院) | 경상도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 1573년 | 1574년 | 문원공 이언적(文元公 李彦迪) | |
9.필암서원(筆巖書院) | 전라도 장성 |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 | 1590년 | 1662년 |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 |
10.도산서원(陶山書院) | 경상도 예안(禮安)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리 | 1574년 | 1575년 |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 |
11.문회서원(文會書院) | 황해도 배천(白川) | 황해남도 배천군 | 조선 중기 | 1568년 |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 |
12.파산서원(坡山書院) | 경기도 파주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1568년 | 1650년 |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 |
13.돈암서원(遯巖書院) | 충청도 연산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1634년 | 1660년 |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 |
14.여주 강한사(江漢祠) | 경기도 여주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1785년 | 1785년 (대로사) |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 원래 이름은 대로사(大老祠)이나, 서원철폐령이 내려질 때는 강한사로 이름이 바뀌어 있었다. |
15.흥암서원(興巖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동 | 1702년 | 1705년 | 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 | |
16.봉양서원(鳳陽書院) | 황해도 장연 | 황해남도 장연군 | 1695년 | 1696년 | 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 |
충렬서원 및 사우[편집]
서원명당시 소재지현주소건립년사액년모신 사람(또는 사주(祀主))비고
1.강화 충렬사(忠烈祠) | 경기도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 1642년 (현렬사) | 1658년 (충렬사) | 문충공 김상용(文忠公 金尙容) | 현렬사(顯烈祠)로 부르다가 1658년 충렬사(忠烈祠)라는 이름으로 사액을 받았다. |
2.광주 현절사(顯節祠) | 경기도 광주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 1688년 | 1693년 | 삼학사 및 문정공 김상헌(文正公 金尙憲) | 윤집·오달제·홍익한 |
3.우저서원(牛渚書院) | 경기도 김포 |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 1648년 | 1675년 |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 |
4.용연서원(龍淵書院) | 경기도 포천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 1691년 | 1692년 | 문익공 이덕형(文翼公 李德馨) | |
5.사충서원(四忠書院) | 경기도 과천 | 경기도 하남시 상산곡동 | 1725년 | 1725년 | 신임옥사 4충신 | 김창집·이이명·이건명·조태채. 1968년 현 위치로 옮김. |
6.덕봉서원(德峰書院) | 경기도 양성(陽城)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 1695년 | 1695년 | 충정공 오두인(忠貞公 吳斗寅) | |
7.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도 과천[5][6] |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 1695년 | 1697년, 1791년 | 문렬공 박태보(文烈公 朴泰輔) | 박태보가 죽은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되어 사액을 받은 뒤, 노강서원으로 승격된 해에 다시 사액을 받았다. 1969년 현재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
8.고양 기공사(紀功祠) | 경기도 고양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 내 | 1841년 | 1841년 | 충장공 권율(忠莊公 權慄) | 나중에 이름이 충장사(忠莊祠)로 바뀌었다. |
9.홍산 창렬사(彰烈祠) | 충청도 홍산(鴻山)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 1717년 | 1721년 | 문정공 윤집(文貞公 尹集)을 비롯한 삼학사 | 창렬서원(彰烈書院)이라고도 부른다. |
10.청주 표충사(表忠祠) | 충청도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 1731년 | 1736년 | 충민공 이봉상(忠愍公 李鳳祥) | 남연년(南延年)과 홍림(洪霖)도 함께 모시면서 삼충사(三忠祠)로 불리다가 표충사라는 사액을 받았다.[7] |
11.노강서원(魯岡書院) | 충청도 노성(魯城)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 1675년 | 1682년 | 문정공 윤황(文貞公 尹煌) | |
12.충주 충렬사(忠烈祠) | 충청도 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 | 1679년 | 1727년 | 충민공 임경업(忠愍公 林慶業) | |
13.광주 포충사(褒忠祠) | 전라도 광주 |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 1601년 | 1603년 |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 | 고경명의 아들 고종후(高從厚)·고인후(高因厚)와 유팽로(柳彭老)·안영(安瑛)을 함께 배향한다. |
14.금오서원(金烏書院) | 경상도 선산(善山)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1570년 | 1575년 | 충절공 길재(忠節公 吉再) | |
15.옥동서원(玉洞書院) | 경상도 상주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1518년 | 1789년 | 익성공 황희(翼成公 黃喜) | 그밖에 황맹헌(黃孟獻), 황효헌(黃孝獻), 황뉴(黃紐)를 배향하고 있다. |
16.병산서원(屛山書院) | 경상도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 1614년 | 1863년 | 문충공 류성룡(文忠公 柳成龍) | 고려 말기 풍산현에 세운 풍악서당(豊岳書堂)을 1572년 류성룡이 현재 위치로 옮겼고, 1614년 병산서원으로 바뀌었다. |
17.동래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 1605년 | 1624년 | 충렬공 송상현(忠烈公 宋象賢) | 안락서원(安樂書院)으로도 불린다. |
18.진주 창열사(彰烈祠) | 경상도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 내 | 1595년 | 1607년 | 문렬공 김천일(文烈公 金千鎰) 외 38인 | 1868년(고종 5년)부터 김시민도 함께 배향한다. |
19.고성 충렬사(忠烈祠) | 경상도 고성 | 경상남도 통영시 명정동 | 1606년 | 1663년 | 충무공 이순신(忠武公 李舜臣) | |
20.거창 포충사(褒忠祠) | 경상도 거창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 1737년 | 1768년 | 충강공 이술원(忠剛公 李述原) | |
21.창절서원(彰節書院) | 강원도 영월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 1685년 | 1699년 | 사육신 6인 외 3인 배향 | 생육신 위패도 함께 모셨다. |
22.철원 포충사(褒忠祠) | 강원도 철원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 1665년 | 1668년 | 충무공 김응하(忠武公 金應河) | |
23.충렬서원(忠烈書院) | 강원도 김화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 1650년 (충렬사) | 1652년 (의열사) | 충렬공 홍명구(忠烈公 洪命耉) | 충렬사(忠烈祠)·의열사(義烈祠)라고도 부르며, 한국전쟁 때 불타 없어졌다. 현재 철원 충렬사지(鐵原忠烈祠址)라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24.평산 태사사(太師祠) | 황해도 평산 |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성 내 | 고려 초기 | 1796년 (삼태사사) | 신숭겸, 유검필, 복지겸, 배현경 |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비석만 남아 있다. |
25.해주 청성묘(淸聖廟) | 황해도 해주 | 황해남도 해주시 | 1687년 | 1701년 | 백이숙제(伯夷叔齊) | 원래 이름은 이제묘(夷齊廟)이며, 청성사(淸聖祠)라고도 부른다. |
26.노덕서원(老德書院) | 함경도 북청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 1627년 | 1687년 | 문충공 이항복(文忠公 李恒福) | |
27.영유 삼충사(三忠祠) | 평안도 영유(永柔) | 평안남도 평원군 | 1603년 (와룡사) | 1661년 (와룡사), 1750년 (삼충사) | 제갈량·악비(岳飛)·문천상(文天祥) | |
28.안주 충민사(忠愍祠) | 평안도 안주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 | 1681년 | 1682년 | 충장공 남이흥(忠蔣公 南以興) | |
29.영변 수충사(酬忠祠) | 평안도 영변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 | 1794년 | 1794년 | 청허 휴정·송운 유정 | 승려를 모신 사우이다. |
30.평양 무열사(武烈祠) | 평안도 평양 | 평양직할시 | 1593년 | 1593년 |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 석성(石星) | 명나라 장수 이여송·양원(楊元)·이여백(李如栢)·장세작(張世爵) 등을 추가 배향했다. |
31.정주 표절사(表節祠) | 평안도 정주 | 평안북도 정주시 | 조선 순조 | 1824년 | 충렬공 정시(忠烈公 鄭蓍)를 비롯한 7의사 | 홍경래의 난 피해자. |
함께 보기[편집]
고종 때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서원 47개소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황해도함경도평안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