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숨바꼭질을 응용한 놀이입니다.
술래가 벽을 보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외치다가 구호가 끝남과 동시에
뒤를 돌아보고 움직이는 사람이
있으면 잡아내죠.
일반적으로 앞부분의 구호를
천천히 읊다가 이후에는
끝부분의 단어들을 재빠르게 외치며
움직이는 사람들을 잡아내며,
비슷한 놀이가 전 세계에 있는
만큼 나라마다 구호가 다릅니다.
원래는 일본 놀이
다루마상가 고론다(달마상이 넘어졌습니다)가
일제강점기 때 유래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평생 무궁화 보급에 앞장 선
남궁억 선생이 비록 놀이는
일본 놀이지만 적어도 말만은
한국식으로 "무궁화로
바꾸어서 놀아보아라~" 하고
무궁화로 바꾸어서 놀게하였고
이것이 정착된 것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아래가 그 내용입니다.
무궁화' 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바로 남궁억(南宮檍 1863~1939) 선생이시다.
평생을 무궁화 보급에 힘써 왔으며,
처음에는 무궁화 나무심기
운동을 펼치다가 왜경에게
발각되어 무궁화는 불태워졌고,
남궁억 선생은 감옥에 갇히었다.
옥고를 치르고 나와서,
이번에는 수틀에 무궁화를 그려
아이들에게 수를 놓게해 집안의
커튼이나 베게에 무궁화를 피게 하였다.
그러나 이도 오래가지 못하고
발각되어 또 감옥에 갈 수 밖에 없었다.
1935년 72세 때 복역중
병으로 석방 되었으나,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어느날 골목에서 의자에 앉아
아이들을 바라보고 있는데
아이들은 우리말과 글은 물론,
우리 놀이를 놀지 못하고
일본놀이인
'다루마상가 고론다' 놀이를
하고 있었다.
남궁억은 놀고 있는
아이들을 오라고 하여 부탁했다.
"너희들이 일본놀이를 놀 수
밖에 없지만 내가 알려 주는데로
말만 바꾸어 놀아 보아라."하고는
놀이의 말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로 놀게 했다.
남궁억 선생은 아이들의
마음속에 무궁화를 피우고 싶었던 것이다.
매일 골목에 나타나는
아이들에게 과자를 사주며
놀게 했던 일본놀이
'다루마상가 고론다'를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로
바꾸는데 성공하였기에
지금도 그렇게 놀고 있는 것이다.
|
첫댓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유래 잘 읽었습니다.
남궁억(南宮檍 )님 같은 분이 계시기에
대한 민국이 존재 하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