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한자어
한자와 한자어는 다른 개념입니다. 국어의 60% 이상이 한자에서 유래했다는 진부한 이야기를 제외하고라도 漢字로 써야 한자가 쓰인 것이지요. 이 글 속에도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니, 한자와 한자어는 별개인 셈이지요.
"순우리말을 쓰자."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순이라는 글자가 한자로 純이란 것을 알면 깜짝 놀라기도 합니다. 우리 생활 속에서 한자어가 너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순우리말만으로 언어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대학 논문을 봅니다. 그 권위 있는 논문에는 용어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순우리말로 써도 되는 것들이 한자어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학술지에 한자어가 많이 실린 이유는 전문성과 정확성, 공식적 권위가 한글에 비하여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옛날 미국 유학파들이 득세했을 때는 말의 중간중간에 영어를 섞어 써야 교양 있고 박식해 보이는 오류에 빠져 살았었지요. 우리나라도 대부분 선진 문명을 대륙으로 받았기 때문에 토착어보다 한자어가 더 고상하고 우아하고 심오하고 문화적인 뉘앙스를 풍긴다고 믿습니다.
"세월 속에서 인멸되어 가는 흔적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글을 "흐름 속에서 없어져 가는 자국을 찾아가는 일"로 바꾸어 쓰고 나면 의미는 같더라도 무언가 깊이가 사라지는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고상한 언어는 그 자체로 타인의 마음을 여는 권력이기도 하니까요.
장자를 읽다 보면 "무용지용(無用之用)이 나옵니다. "쓸모없음의 쓸모 있음"을 해석할 수도 있지만 원문 자체로 인식 속에 다가오는 것하고는 맛이 참 많이 다릅니다. 한글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그 언어가 갖는 깊이와 넓이가 다르기 때문이지요.
한글로 운율과 대우를 잘 맞추어 작성한 멋진 글도 한문으로 번역하고 나면 깊은맛이 없어지는 것도 그러하지요. 그러니 한글이나 한문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한문을 장려하고 한자어를 많이 쓰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글의 맛을 알려면 좀 더 깊이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지요. 진광불휘(眞光不輝)라는 말을 써 놓고도 "진정한 빛은 반짝거리지 않는다."라고 풀이해 놓으면 영 맛이 나지 않습니다.
어찌 되었거나 문해력의 출발은 언어를 제대로 인지하는 데 있습니다. 한자 교육은 한자어를 더 많이 알 수 있어 문해력 증진에 좋은 교육인데 정책적 외면을 받는 것이 안타까워서 말입니다.
족보(族譜)를 족발과 보쌈으로 해석하는 청소년들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요.
-----------------------------
<정운복> 님의 글입니다.
인연이라 할까, 운명이라 하기엔 너무 거창하고. 며칠 전에 정운복 님의 글을 옮겨 올린 글에 "한자는 알지만 한문은 모른다" 댓글을 썼었는데, 오늘 우연히 이런 글을 써 주셨네요. 전에도 이런 느낌을 받은 적이 있어 약간 신기해 했었는데.....
Very란 단어가 Very Nice 등 "대단히"란 의미로만 쓰이는 줄 알았었는데, Very day라고 쓰이기도 해서 역시 그 나라 말은 그 나라 사람만의 쓰임이 있구나 하고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소월의 진달래꽃이 영어로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사뿐히 즈려 밟고"를 어떻게 번역했든 우리가 느끼는 그 감정까지 번역되었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한문도 어렵지만, 한글도 이국인들이 느끼기엔 "쉽게 배울 수 있는 글이지만, 입구는 있되 출구는 없는" 이란 표현을 하는 걸 보면 남의 것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은 역시 어려운 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