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 알제리, 말리, 니제르
임자드(Imzad)는 투아레그(Tuareg) 족의 음악 장르를 상징하는 악기와 그 음악 유형을 함께 일컫는 말이다. 임자드는 1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현악기로 여성들만이 악기를 만드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임자드 악기의 제작과정은 세 단계로 나뉜다.
– 말려서 속을 파낸 박으로 몸통을 준비한다.
– 껍질에 장미 모양으로 한 두 개의 소리구멍을 뚫는다.
– 나무 부품을 준비한다. 브릿지는 짤막한 두 개의 막대로 V자 모양으로 만들고, 목은 한 뭉치의 말 털로 악기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을 연결한다. 그리고 둥글게 휜 나무막대를 말의 털을 양 끝에 묶어 활로 사용한다.
임자드 음악을 연주하는 여성은 임자드 악기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앉아서 연주한다. 여성 연주자는 가끔 말 털로 만들어진 하나의 현에 송진이나 침을 발라 보통 D음으로 맞춘다. 임자드를 연주하는 동안, 연주자는 의식을 주최한 주인의 자리인 중앙에 앉아 모든 참여자의 행동을 통제한다. 연주자의 머리는 악기를 향해 약간 기울인다. 선율은 시적이기도 하고 음악적이기도 하다. 여성 연주자들은 공동체의 기억 속에 있는 옛 영웅의 모험 및 공적과 관련 있는 전통적 가사를 연주한다. 남성들은 임자드 연주자의 반주에 그들 자신의 노래나 대중문화의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영문명
Practices and knowledge linked to the Imzad of the Tuareg communities of Algeria, Mali and Niger
지역정보
아하가르(Ahaggar) 지역; 아제르(Ajjer)- 알제리/리비아; 아다그(Adagh) – 알제리/말리; 팀북투(Timbuktu)와 가오(Gao), 아자와그(Azawagh) – 말리/니제르; 타멘스나(Tamesna) – 말리/니제르; 아이르(Aïr), 아데르(Ader), 마라디(Maradi)의 북부, 다메르고우(Damergou)- 니제르, 오우달란(Oudalan) 지역 – 부르키나파소 그리고 차드(Chad) 동부의 키닌(Kinin) 지역.
예능보유자
임자드의 관습적 요소를 전승하고 있는 사람들은 악기를 만드는 여성들, 악기를 연주하는 여성들, 시를 짓고 암송하거나 노래하는 남성들이다. 또 변조음이나 고음의 외침소리를 내거나 여성들을 위해 ‘유-유’ 외침소리를 내면서 목소리로 함께 하는 여성과 남성들도 전승자이며 연주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전통을 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임자드는 다양한 행사에서 연주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행사는 아할 의식(Ahal ceremony)인 것으로 보인다. 이 의식에서는 캠프 장소에서 음악과 시가 어우러진다. 이러한 시와 음악의 만남은 언제나 ‘탐그하르트 느 아할(tamghart n ahal)’ 라고 불리는 대모의 관리 하에서 연행된다(투아레그는 모계중심 사회이다). 이 대모는 투아레그 족의 조직체를 돌보고 기관을 통치하며 도덕적·미적·행동적 규칙을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대모는 이 연주회의 지휘를 담당한다. 한편 시인들은 대모 가까이에 있으려고 노력하는데, 거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시인이 대모 곁에 자리 잡음으로써 연주자가 시인들 곁에 앉게 되는 것을 뜻하며, 두 번째로는 시인들의 작품이 임자드의 시적·음악적 레퍼토리와 엮이어 시인들이 만든 시가 작품으로서 굳어지고 오랫동안 전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자드의 지식과 전통은 투아레그 공동체의 기술인 대장간 기술 같은 다른 기술의 경우처럼 특정한 집단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임자드에 관한 지식은 일상생활에서 관찰되고 전수받음으로써 습득된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임자드에 흥미와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투아레그 족에게 인정과 존중을 받는다.
무형유산의 의미
임자드의 연주는 임자드 예능보유자인 여성들이 담당하고 있다. 임자드 음악에는 두 가지 주요한 기능이 있다. 첫 번째 기능은 악령을 쫓아내고 병자의 고통을 덜어주는 치료적 기능이며, 또 다른 기능은 남성들이 시적 노래를 붙여 부르는 오락의 기능도 있다. 임자드 음악은 영웅이라고 할 만한 남성들의 정직함과 용감함을 찬양하는 도구로도 쓰인다. 그리고 의사소통과 교육의 수단이기도 하다.
임자드의 소리는 연주자의 감정이 표현되고 연주자의 기분을 나타내기도 한다. 임자드 악기는 부족에게 중요한 사건을 예견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만약 연주자가 임자드를 연주할 때 주인의 손가락 사이에서 소리가 나지 않으면 불행이 닥칠지도 모른다고 여겨진다. 임자드 음악은 투아레그 사회에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그 사회의 가장 상징적 사회 문화적 관습이다. 멀리 여행을 떠난 남성들도 임자드 음악을 들으면 이전에 자연 속에서 보낸 일상생활과 그들이 머물렀던 안식처에 대한 온화한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 임자드 음악은 대지의 어머니로서의 여성의 전통적 지위와 역할을 표현하는 동시에 모든 투아레그 공동체가 공통의 문화공동체임을 반영하고 있다.
전승정보
임자드 음악 지식의 전수와 학습은 관찰 및 동화라는 전통 방식에 따라 구전으로 전승된다. 이런 전파 방식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가치 및 기술을 영구적으로 전승·재현하는 전통 지식의 사회화를 실현시켜 준다. 이러한 구전 전승 방식은 임자드 문화를 습득하는대로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에 좋다. 투아레그 언어인 타마세크(Tamashek, 팀북투 인근에서 쓰이는 투아레그 언어)는 학습 언어이다. 임자드 음악에 맞춰 노래를 하는 시인은 스스로 작시를 터득하고 암송할 수도 있고 다른 시인들이 낭송한 내용을 들어서 시를 혼합하여 만들기도 한다.
음악적인 노래와 마찬가지로 공동체에게 전해지지 않는 작자 미상의 임자드 작품은 공동 문화적 배경의 일부가 되었으며, 역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다. 임자드 음악 작품들이 계속해서 전승되는 것은 동반되는 임자드 악곡이 지속적으로 전승된다는 것을 뜻한다. 알제리·말리·니제르 세 국가에서, 임자드의 제작 기술 및 예능은 축제, 축하행사, 환영행사, 야간행사, 문화적 모임 등과 같은 행사와 의식에서 전해지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임자드 대회나 어린 소녀들에게 악기 연주법을 가르치는 워크숍과 같은 홍보활동으로도 전승되고 있다.
투아레그 족의 임자드에 관한 관습 및 지식 – 알제리, 말리, 니제르 – 유네스코와 유산 (unesco.or.kr)
---------------------------------------------------
Practices and knowledge linked to the Imzad of the Tuareg communities of Algeria, Mali and Niger
(25) Practices and knowledge linked to the Imzad of the Tuareg communities of Algeria, Mali and Niger - YouTube
L'IMZAD.. Une Musique Féminine Touarègue / #الامزاد.. آلة موسيقية يستخدمها نساء التوارق (youtube.com)
임자드, 암자드, 인자드 또는 안자드는 베르베르 음악, 특히 사하라 사막의 투아레그 유목민들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단현 바이올린입니다. 여성들만 만들고 연주합니다.
-------------------------------------------------
서아프리카
*잘리 JALI : 음악인, 역사가,정치인, 이야기꾼, 시인이자 가수의 역할
- 구전 전통 사회에서 공동체의 역사, 왕가의 계보 등을 기억하는 살아있는 “역사 도서관 "의 역할과
사적, 공적 행사로 노래공연
잘리가문 (잘리쿤다: 가문을 이어가며)의 공연
--------------------------
* 아프리카 동남아의 순자타 이야기(서사시 노래)
=============================================
알제리 민속곡2 Algerian Folk Song by Nesrin Ghenim(Nisrine Ghenim), 알제리 가수 리신게른, 린첸버오케스트라
알제리 민속곡2 Algerian Folk Song by Nesrin Ghenim(Nisrine Ghenim), 알제리 가수 리신게른, 린첸버오케스트라 (youtube.com)
======================================
Saint-Saens
Suite Algerienne Op.60
생상 알제리 모음곡 Camille Saint-Saëns : Suite Algérienne for orchestra Op. 60 l W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생상 알제리 모음곡 Camille Saint-Saëns : Suite Algérienne for orchestra Op. 60 l W필하모닉오케스트라 (youtube.com)
--------------------------------------------------------------------------
금난새 지휘
- 알제리의 이탈리아인 서곡, 로시니 L' Italiana in Algeri Overture - Rossini
금난새 지휘 - 알제리의 이탈리아인 서곡, 로시니 L' Italiana in Algeri Overture - Rossini (youtube.com)
==============================================
알제, 오란,
Embassy of Algeria in Seoul (algerianemb.or.kr)
==========================================
국립민속박물관 전문학술지
『민속학연구』 제53호
이건욱 / 국립민속박물관의 「시베리아 샤먼 북 연구 – 튀르크·몽골계 민족 샤먼을 대상으로」는
박물관 소장유물19세기 말~20세기 초 샤먼 북과 현지 조사현대 샤먼 북를 통해 북이 가진 상징성을 연구하였다.
또 튀르크·몽골계 민족들이 사용하였던 북을 통해 북의 외관상 특징뿐만 아니라 북의 입수와 폐기 과정까지 총체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전문학술지『민속학연구』 제53호 발간 - 국립민속박물관 (nfm.go.kr)
민속학연구 제53호
국립민속박물관 > 학술·정보 > 발간자료 검색 > 원문 검색 (nfm.go.kr)
===============================
부랴트
부랴트 (youtube.com)
============================
몽골 : 샤먼유산
몽골 : 샤먼유산 (youtube.com)
=============================
[특집] 아시아 샤머니즘루트 대탐사
일 시 | 2016년 12월 30일
연 출 | 현동헌 PD
진 행 |
오랜 세월 정치, 종교적으로 탄압받았던 샤머니즘의 강인한 생명력의 비밀은? 방송 최초로 아시아 6개국 샤머니즘 실태와 오늘날 샤머니즘의 가치를 조명 (총 3부작)
한국은 물론 히말라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서 사할린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의 샤먼 무복(巫服), 샤먼 북 등의 무구(巫具), 정령 신상, 정령 마스크 등 522점을 전시한다.
샤먼을 지칭하는 '무당 무(巫)'는 하늘(▔)과 땅(_)이 연결되고(│) 그곳에서 사람(人)이 춤을 춘다(巫)는 의미로 풀이된다.
전시장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초입에서 볼 수 있는 뱀이 둘러싼 모습이 새겨진 큰 나무기둥은 아무르강 유역의 나나이족의 상징물이다.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우주목이며 샤먼의 역할을 대변한다.
러시아 연방민족지학박물관이 소장한 시베리아 북부의 에벤키 여성이 입는 샤먼 무복은 쇠장식으로 인해 무게가 20㎏이다. 러시아 동부의 부랴트 샤먼과 시베리아 북서부 느가나산 샤먼의 무복, 북, 지팡이 등 평소 볼 수 없는 웅장한 장식의 시베리아 샤먼의 무복들이 전시된다.
전시장 중앙에는 네팔 히말라야 라이족 샤먼, 내몽골 샤먼, 한국 대전 앉은굿, 시베리아 북부 에벤키 샤먼의 의례 장소가 그대로 재연된다. 에벤키 텐트 앞에 세워진 큰 새 모양의 긴 대는 우리나라 솟대와 흡사하다. 일부 학자들은 우리나라 솟대의 기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곰신상은 널리 퍼져 있다. 시베리아 원주민은 곰을 매우 중요한 신화적 동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동쪽 끝인 사할린 지역까지도 연결된다. 일본 훗카이도 시립 하코다테 박물관에서 건너온 곰신상은 일본 중요유형민속자료로 사할린 아이누족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1995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된 황해도 만구대택굿의 큰무당 우옥주 유품과 제주 큰굿 기능보유자 이중춘 심방의 유품도 선보인다. 중요무형문화재 104호인 서울새남굿 기능보유자 김유감 만신의 유품인 바리공주 무복도 전시된다.
러시아 표트르대제 인류학․민족지학박물관, 러시아연방 민족지학박물관, 덴마크 국립박물관, 홋카이도시립 하코다테박물관 등 3개국 4개박물관 소장품도 한 자리에 모은다.
이번 전시는 국립민속박물관이 지속적으로 진행해 온 국내외 샤머니즘 연구의 산물이다. 시베리아 남서부 알타이공화국 샤머니즘 조사(2005), 러시아 동부의 몽골과 인접한 부랴트공화국 샤머니즘 조사(2007), 네팔 히말라야 샤머니즘 조사(2010)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