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천 몽산성 답사 결과(2) (14-11차: 연번 202회차)
당진이란 지명속에 역사의 발자취가 숨겨있어 재미있다. 당나라 당(唐)자에 나루 진(津)이다. 현재의 당진시내에 이웃한 곳에 당진 나룻터 자리가 전해진다. 제방이 만들어지기전 예전에는 배턱이었던 곳이 이제는 들판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곳은 당나라와의 왕래가 있었던 곳이라서 붙여진 지명이란다. 그 이웃에는 한진도 있다. 한나라 한(漢)에 나루 진(津) 아마도 커다란 나룻터임을 의미한다면 역시 외국배들이 드나들던 곳이리라. 이렇듯 당진 주변에는 아산만을 중심으로 주요한 항구들이 있었던 곳이다. 당진이 밖으로 통하는 관문이라면 읍성은 어데일까? 사람들은 면천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이야 당진시의 한 면에 불과하지만 백제시대에는 당당히 군으로서 이 일대의 중심지였으리라.
지금 그 흔적을 찾아본다.
면천읍성의 서문지에서





비록 조선 시대 축성한 것이기는 하지만 원형을 본다. 서문지 입구 좌측편

서문지 입구 우측편에 복원해놓은 읍성, 치도 보인다.

복원해논 서벽 치 위에서 남쪽으로 남은 성벽 기단부

서벽에서 북쪽 성상리에 있는 몽산성이 있는 몽산 . 원래는 몽산성이 치소성이었으리라. 후에 조선 조에 와서 이곳으로 읍성이 내려오고, 유사시에는 몽산성으로 피란을 하였을 텐데...

면사무소와 면천초등학교 뒤꼍으로 남아있는 읍성의 북벽


면천읍성의 동문지를 찾아가다가 만난 개신교의 흔적을 본다.

토성처럼 남아있는 동문지의 남벽쪽

동문지의 북쪽 절단된 모습

성밖에서 본 동문지 모습:
동문지의 북벽쪽과 밖 우측으로는 옹성처럼 흔적이 남아있는데, 비닐하우스 옆으로 지금은 민가 한 채가 있다.

남문지 근처의 복원중인 곳의 원형 성돌

복원 공사중인 남문지 일대

면천면사무소 앞에 있는 풍락루


면사무소 옆에 있는 초등학교는 1908년에 개교한 학교, 옛 동헌 자리임을 말해주는 은행나무가 남아있다.
마침 48회 졸업생들이 모교 방문길에 은행나무 이야기도 하고.



그 옆의 군자정 가는 길에 만난 기미 독립운동 기념탑

비석거리 흔적

군자정에 박태기 나무, 벚꽃이 한창이고,


현판을 서각으로 해서 달아놓았다. 조병호 선생의 글씨로.

안샘으로 불리우는 샘. 군자정의 낭관호의 수원이다.


면천 두견주의 역사를 간직한 안샘의 맑은 물은 지금도 흘러 내리고 있다.

동문지 밖으로 찾아간 골정지 저수지와 건곤일초정의 봄경치


초가로 지붕을 해놓은 건곤일초정은 연암 박지원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뒤로 몽산성이 있는 몽산의 동쪽 줄기가 보인다.

<예산화전리사면석불>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사면석불을 우연히 들르게 된다.
부처님과의 친견이 이뤄짐은 정말로 우연인지 인연인지,
늦은 점심을 먹기위해 찾아간 면천의 김가네 면옥은 밥시간이 지난탓인지 문을 걸어잠그고, 할 수 없이 덕산의 옛 맛집으로 향하다가 고덕 못 미쳐서 길을 잘못들어(사실은 지름길이었지만) 들르게 된다.
점심은 거르고 대신 밴댕이집에서 저녁 삼아 식사를 마친 일행은 느긋한 마음으로 봄 경치와 새로 건설중인 국도를 보면서 대전으로 돌아온다.

널찍한 주차장, 현대화된 화장실, 잘 닦아놓은 진입로에 훌륭한 비각까지 갖춘 부처님 대접이다.

사면석불을 보호하기 위해 전각까지 갖춘 사면석불의 모습을 보는 순간


목은 다 잘려 나가고, 그래도 광배며 본체의 법의의 조각 솜씨가 탁월함을 보여준다.
남쪽을 향한 부처님. 좌불이시다.

나머지 세분의 석불은 입상이다.
서면한 석불, 자연석에 조각한 탓이라, 서면불은 제일 옹색한 모습이다. 게다가 조명에 촬영까지 엉망이라,

다시 근접해서 찍어본다.

북면한 석불, 마치 두상부가 갖춘 듯한 느낌이다.

동쪽 면의 부처님, 광배의 조각상이 연꽃을 새긴 백제 기와를 보는듯하다.

(* 왜 이곳에 이런 사면석불을 조각해 놓았을까?)
이웃한 서산 운산의 마애삼존불이며, 태안 백화산의 마애석불과 함께 고찰해야 할 듯.
사비 부여시기에 당진은 예산 청양을 거쳐 들어가는해상 통로의 요충지요. 신라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긴 이후에 당나라와 왕래할 수 있었던 곳이라면. 이해가 가능하리라. 그래서인지 오늘날도 아산만 일대는 중국과의 교역을 위한 이점 때문에 공단이 여기저기 들어서고, 해군의 군항기지도 있고, 그 중요도가 높음을 실감할 수 있는 곳이다.
동서남북에 부처님의 가호를 기대한 사방불 사상은 백제의 기본적인 사상이리라.
공주에서도, 부여에서도, 전주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