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가 도굴됐는데 그 안을 보니까 무슨 선녀그림이 있었다는 거야. 한 6~7명이 봤다지.”
1980년대 후반 동아대박물관 박문국 자료과장은 재실 관리인에게 희한한 말을 들었다. 박과장은 그 유명한 ‘두문동(杜門洞) 72현(賢)’ 중 한 분인 송은(松隱) 박익 선생(1332~1398년)의 후손.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화악산 중턱(해발 505m)에 있는 송은 선생의 묘는 1987년 도굴당한 적이 있다. 그런데 당시 도굴갱에서 무덤안을 내려다본 경찰관 등 몇 명이 무슨 선녀그림 같은 걸 어렴풋이 봤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무덤 앞면의 도굴갱을 서둘러 메웠기에 박과장으로서도 더 이상의 확인은 어려웠다.
◇13년만에 발견된 도굴갱=2000년 9월16일 태풍 사오마이가 남부지방을 휩쓸고 갔다. 이때 송은 선생의 무덤봉분 뒤쪽 일부가 내려앉았는데 그곳에서도 또다른 도굴갱이 발견됐다. 도굴범이 뒷면의 도굴갱에 나뭇가지를 꺾어 얼기설기 얹어놓고 온실용 비닐을 덮은 뒤 떼를 입혀 놓았으니 87년 당시에는 미처 보지 못한 것이었다. 현장에 달려간 박과장의 회고담.
“도굴갱 밑으로 어렴풋이 돌같은 것을 확인했어요. 자세히 보니 화문석(花紋石)이었어요. 연잎과 역(逆) 卍 문양의 생동감 넘치는 그림. 사진을 서둘러 찍고는 곧바로 심봉근 선생님(당시 동아대박물관장)에게 달려갔어요.”
심봉근 관장(현 동아대 부총장)은 깜짝 놀랐다. 여말선초의 무덤에서 나온 처음 보는 ‘물건’이었으니까. “전에 벽화도 있다는 말을 들었거든요.” 박과장의 ‘추가발언’에 심관장의 귀가 번쩍 뜨였다. 서둘러 현장에 달려가 무덤안을 조사하니 정말이었다. 부분적으로 탈락되고 훼손되긴 했지만 석실 네벽에 빙 둘러가며 아름다운 벽화가 그려져 있는 게 아닌가.
또하나 선생의 유골이 600년전 모습 그대로 훼손없이 남아 있었다. 박문국 과장의 고민은 컸다. 중요한 유물이 나왔으므로 조사가 필요한데 문중에서 허락할 리 만무했기 때문이었다. 문중(밀성 박씨) 입장에서 보면 조상의 무덤을 파헤치는 격이 되고, 박물관 직원의 입장에서 보면 반드시 조사해야 하고….
“예상대로 문중의 반대가 심했어요. 하지만 설득했죠. 600년만에 조상의 무덤을 목욕시키듯 깨끗이 정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도굴 때문에 유골이 공기에 노출된 탓에 곰팡이가 살짝 슬고 있었거든요. 끈질기게 설득하자 문중에서는 ‘그럼 자네가 책임지게’라며 허락해 주셨어요. 물론 유골에는 손끝 하나 대지 못한다는 조건으로….”
그 와중에서 경향신문(9월21일자)이 이 벽화 발견소식을 1면톱으로 보도했다. 그때부터 벌집 쑤셔놓은 듯 난리가 났다. 문화재청은 26일 서둘러 이 벽화고분을 국가사적으로 가지정했고 본격조사에 들어갔다.
◇불교사상 담은 풍속화와 절개의 상징 사군자 그림=이때까지 벽화는 제일 먼저 4세기대 고구려 고분에서 발견되었고, 그후 백제·신라·가야·통일신라·발해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1,000여년 동안 이어져 왔다. 하지만 그 전통이 조선까지 이어져 왔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벽화는 네벽에 석회를 고르게 발라 말린 후 다시 백분(白粉)을 얇게 입혀 벽면을 고른 뒤 묵선(墨線)으로 벽화내용을 그리고 색을 칠하는, 이른바 백묘화(白描畵) 기법으로 그렸다. 특히 12지신상 위주였던 고려시대 벽화와 달리 대나무, 매화 등 사군자 그림을 완전한 인물 풍속도와 함께 그렸다는 것은 깜짝 놀랄 만한 일. 사군자 그림은 태조 왕건릉 등 10세기 능에서만 보이는데 이는 고려에 변함없는 충절을 지킨 송은 선생과 관련있을 것이다.
벽화에 그려진 사람들은 모두 24명. 남자는 단령포를 입고 벙거지를 썼고 가죽 장화를 신고 제사용품을 나르고 있는 모습. 반면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에 가죽 신발을 신었으며 머리에는 화식관(花飾冠)을 썼다. 북쪽 단 벽에는 묘의 주인공인 박익의 모습을 그렸을 것으로 여겨지나 완전 탈락되어 알 수 없었다. 남쪽 단 벽에는 2필의 말과 2명의 마부를 그렸는데 직령포와 장화 그리고 몽골풍의 모자인 발립(鉢笠)을 쓰고 있다.
그림에 나타난 사람들의 옷이나 장식물이 화려하지 않고, 여성들이 머리에 연꽃 장식의 관을 쓰고 여러가지 기물을 들고 있는 모습과 널조각(棺片)에 보이는 범자(梵字)문양 편 등은 불교사상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전체적인 내용은 죽은 사람을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의례를 준비하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을 담은 장례준비행렬도(葬禮準備行列圖)라 할 수 있다.
◇“이씨의 녹을 먹지 않겠소”=송은 선생은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등과 교유한, 이른바 ‘8은(隱)’으로 일컬어진다. 우왕의 폐위, 공양왕 옹립 등의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끝까지 정몽주·이색 등과 함께 고려를 지키는 데 혼신의 힘을 다했다. 정몽주가 살해되자 동료들과 함께 낙향·은거, 고려왕조에 충절을 지켰다. 민족문화추진회가 영인한 ‘송은집’을 통해 보면….
박익은 ‘정몽주에게 준 시’에서 ‘송계에 숨어 사는 사람을 찾아 오셨네/석양에 사립문 닫아 놓아 꽃잎은 쌓이는데/술동이 앞에 두고 나의 심정 묻노니/저기 보이는 청산이 내 마음이라오’라며 은거했다. 박익은 포은, 목은과 깊이 교유했다. 이색보다는 5살이 적고, 정몽주보다는 6살 연상이었다. 특히 정몽주에게는 네명의 아들을 보내 교육을 부탁하기도 했다.
조선초 문인인 김대유는 정몽주 살해 직전의 모습을 이렇게 그리고 있다. “죽음을 맹세하던 날, 정몽주는 박익에게 눈물로 말했다. ‘살고 죽는 게 천명이라고 하지만, 나는 고려왕조를 위해 죽을 것이오. 다른 사람은 몰라도 그대와 목은, 야은은 나를 이해해 줄 것이라 믿소.”
이에 박익도 대답했다.
“나도 이씨의 녹을 먹지 않겠소.” 정몽주가 죽자 송은 선생은 밀양 송계로 낙향,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생전에 조선 태조 이성계는 송은에게 판서·좌의정 등 벼슬을 내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태조는 “우리 조정으로서는 안된 일이지만 그는 고려의 충신”이라고 인정해주었다. 황희 정승도 박익의 표지문에서 “그의 맑고 개끗한 절개는 성리학의 올바른 가르침이 아닐 수 없다”고 무한한 존경심을 표했다. 그런 송은은 네 아들을 불러 이렇게 유언한다. “고려와 조선, 나와 너희가 사는 때는 다르다. 나는 죽어 왕씨의 혼이 될 터이니, 너희들은 이씨의 세상에서 살아라. 기왕에 남의 신하가 되었으니 충성을 다하라.”
이렇게 어느 날 우리 곁에 홀연히 나타난 송은 선생은 풍속도로 여말선초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꿋꿋한 매화·대나무 그림으로 충절의 교훈을 던져준 것이다.
〈조유전/고고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