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짝수 공식이나 그냥 판별식이나 ~ 위치관계의 결과와는 무방합니다. 님이 실제로 해보시면 알겠지만 짝수공식 대신 그냥 판별식쓰면 다 약분되서 짝수공식이랑 결과가 갔습니다 ~
결과가 다른데,ㅜㅜ 글에 제가 예를 들어서 그냥판별식이랑 짝수판별식이랑풀었는데 답이 다르게나왔어요! ㅜㅜㅜㅜㅜ알려주세요 왜 저 문제 답이 저거인거에요ㅜㅜ
계산을 잘못하셨습니다. 첫째 식에서 판별식 D/4 = (2m)^2 - m = 4m^2 - m = m(4m-1)이 되어 m=0, 1/4가 분기점이 됩니다. 계산을 좀 더 정확하게... ㅎㅎ
아 그렇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제 질문 답변좀 해주세요~ x축 관계식에선 b^2-4ac를 쓰고 직선에서는 b'^2-ac를 쓰게 되있는건지.. 아니라면 왜 대부분 저렇게 쓰는건지 좀... 어느때 어느걸 써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서요!근데 그냥 아무 이차함수나 놓고 b'^2-ac이거와 b^2-4ac를 대입해보면 다르게 나오던데...
첫댓글 짝수 공식이나 그냥 판별식이나 ~ 위치관계의 결과와는 무방합니다. 님이 실제로 해보시면 알겠지만 짝수공식 대신 그냥 판별식쓰면 다 약분되서 짝수공식이랑 결과가 갔습니다 ~
결과가 다른데,ㅜㅜ 글에 제가 예를 들어서 그냥판별식이랑 짝수판별식이랑풀었는데 답이 다르게나왔어요! ㅜㅜㅜㅜㅜ알려주세요 왜 저 문제 답이 저거인거에요ㅜㅜ
계산을 잘못하셨습니다. 첫째 식에서 판별식 D/4 = (2m)^2 - m = 4m^2 - m = m(4m-1)이 되어 m=0, 1/4가 분기점이 됩니다. 계산을 좀 더 정확하게... ㅎㅎ
아 그렇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제 질문 답변좀 해주세요~ x축 관계식에선 b^2-4ac를 쓰고 직선에서는 b'^2-ac를 쓰게 되있는건지.. 아니라면 왜 대부분 저렇게 쓰는건지 좀... 어느때 어느걸 써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서요!근데 그냥 아무 이차함수나 놓고 b'^2-ac이거와 b^2-4ac를 대입해보면 다르게 나오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