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륙 조선사 연구회
 
 
 
카페 게시글
역사토론방(출처있는글) 태국과 일본 그리고 대동아전쟁
박광준 추천 0 조회 911 08.11.20 15:37 댓글 1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11.20 16:45

    첫댓글 참고로, 일본은 네팔등에도 한국에서 자선사업하기 전부터, 꾸준히 신경을 쓰면서, 무료로 건물이나 병원같은 복지시설을 지어주곤 하였다는 군요... 인터넷에서 발췌한 한방의료-'네팔자원봉사팀'에서 한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 08.11.20 20:05

    2차대전 당시 태국은 일본에 협력했다고 나옵니다.

  • 08.11.21 17:21

    태국은 섬라국으로 임란때 왜노들을 돕지 않았던 나라로...대동아 전쟁이전...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 베트남등지의 왜노들에 점령당했지 않나 싶습니다...물론 양이들이 같이 찍접댔었으나...요 기회에 동남아 원조왜들이 점령을 하였기에...양키들 포로들이 초기부터 많았던 것으로 보입니다...태국을 양키들로 부터 지켜주겠단 명분의 전쟁였기에 태국인들도 협조를 했을 가능성이 많은 것이겠고여.

  • 08.11.20 21:24

    청조일통지도에 태국의 위치에 동경이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어쩌면 도오쿄오가 태국에 있었는지 모릅니다. 또 태국이 일본이라는 많은 증거들이 있으나 서로 잘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 08.11.20 22:19

    일본의 역사를 현대문헌에서 찾아보면, 나라시대, 헤이안시대등으로 역사가 분리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처럼 한지점으로 고정시키기 보다, 역사의 흐름에 따라 탄력적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찌 하였든, 조선후기에 동남아시아 일본은 거의 확실한 것 같습니다... 이 들의 이동 경로를 찾아보는 것도 좋은 접근일 것 같습니다... 아래 콰이강의 다리를 쭉 이어서 철도의 연결지점을 계속 추적해 보면, 이들의 물자수송이 어느지역으로 흘러갔는지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 08.11.20 21:58

    당시 연합군 포로가 철도 건설에 수만명이 동원된 것은 사실입니다..그 와중에 기아와 전염병으로 수많은 포로들이 죽게 됩니다..일본이 철도 건설에 혈안이 되었던 이유는 미국의 참전으로 공중전에서 밀리자 물자수송에 차질이 생기게 됩니다..걸핏하면 미국에 의해 수송기가 격추당하자 연합군의 눈을 피해 철도로 수송하기로 하고 일본 본국에서는 2년내에 철도를 완공하라는 명령이 떨어집니다..숲에 철로를 놓는다는 것은 연합군으로서도 상상도 못할 일이었지요..

  • 08.11.20 22:26

    여담입니다만 이 콰이강의 다리와 조선이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일본은 다른 나라의 시선을 의식해 책임을 회피하고자 포로감시원으로 조선 청년들을 이용하게 됩니다..말이 포로감시원이지 실제는 이들도 일본군에게 감시받는 존재였습니다..전범재판 때 일부는 전범으로 분류되어 연합군으로부터 처형을 당하게 됩니다..지금은 두세분만이 생존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모두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현재 콰이강의 다리에는 당시를 기리기 위해 일장기는 있는데 태극기가 없는 것을 보면 분노가 솟구칩니다..대한민국에서 버림받고 일본에게 이용만 당하고 세상을 가셨으니...

  • 08.11.20 22:12

    조선인 포로감시원은 NHK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이후에 KBS 수요기획에서 다룬 것을 본 적이 있어서 몇 자 적어보았습니다..이와 관련해 정동주님의 콰이강의 다리라는 책이 있습니다..

  • 08.11.20 22:15

    콰이강의 다리는 일본에서 조선으로 물자를 이동하는 주요 통로가 되겠군요.... 테마음악은 행진곡으로 운동회때 많이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만...ㅎㅎㅎ.....

  • 08.11.20 22:23

    <콰이강의 다리>에 삽입된 March From The River Kwai곡은 오늘날까지도 아주 유명한 음악이지요..^^

  • 08.11.20 22:23

    혹시 방송보실 분들은http://www.kbs.co.kr/1tv/sisa/wedplan/vod/1360060_1068.html에서 보시면 됩니다..예전 방송이라 화질은 좋지가 않습니다..

  • 08.11.20 22:26

    근데 피부색깔만 봐도. 그다지 지금의 일본인과는 닮지 않은 것 같은데요. 그리고 우선 말이 다릅니다. 태국어와 현 일본어가 비슷한가요? 제가 알기론 태국은 서양이 그냥 완충지대로 남겨놓았다고 배웠습니다만..

  • 08.11.21 14:44

    일제시대엔 지금의 동아시아처럼 단일언어만 쓰지 않았습니다.

  • 08.11.21 09:24

    깊이 생각 한 후 쓴 글이라 고 봅니다 / 매우 유익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