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토피디아(Investopedia)에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한국 관련 ETF를 소개한 글이 있어 옮겨봅니다.
한국은 홍콩, 대만 및 싱가포르와 함께 지난 수십 년 동안 급속한 경제 성장을 올린 아시아의 4마리 호랑이 중 하나다. 1960년대 이후, 한국만큼 지속적이고 폭발적인 경제 성장을 자랑한 나라는 거의 없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인도, 일본 및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경제 대국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수십 년 만에 최악의 경제 성과를 촉발시켰지만, 전 분야에 걸친 정부의 강력한 부양책으로 한국 경제는 다시 반등하고 있다.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노출을 원하는 투자자들은 한국 주식에 초점을 맞춘 ETF를 고려할 수 있다.
미국에서 거래되고 있는 주요 한국 관련 ETF는 3종이 있다. MSCI 코리아 지수로 측정한 한국 주식은 2021년 5월 27일 기준 지난 1년 동안 75.1%의 총 수익률로 S&P 500(40.6%)를 큰 폭으로 앞질렀다.
지난 1년간 성과를 기준으로, 가장 성과가 좋은 한국 ETF는 KORU(Direxion Daily South Korea Bull 3X Shares ETF)였다. 모든 수치는 2020년 5월 30일 기준이다.
KORU (Direxion Daily South Korea Bull 3X Shares ETF)
1년 동안의 성과: 341.2%
운용보수: 1.39%
배당 수익률: 0.01%
3개월 일평균 거래량: 80,217
운용자산: 5,300만 달러
출시일: 2013년 4월 10일
운용사: 래퍼티 에셋 매니지먼트
KORU는 한국 대형주를 목표로 한 레버리지 펀드다. 이 펀드는 벤치마크 "MSCI Korea 25/50 Index"의 일간 성과의 3배의 수익률을 추구한다. 대부분의 레버리지 ETF와 마찬가지로, 하락장에서는 손실이 증폭될 수 있다. 벤치마크 지수는 한국 주식시장의 대형주와 중형주를 추적한다.
또한 대부분의 레버리지 펀드와 마찬가지로, KORU 역시 하루 이상의 기간에서 벤치마크 지수 누적 수익률의 3배를 제공할 의도가 아니다. KORU의 상위 보유 주식은 한국 중심 ETF인 EWY(iShares MSCI South Korea ETF), DGCXX(Dreyfus Government Cash Management fund) 및 FTIXX(Goldman Sachs FS Treasury Instruments Fund)다. 이 세 개의 비중이 펀드 자산의 거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다.
FLKR (Franklin FTSE South Korea ETF)
1년 동안의 성과: 79.1%
운용보수: 0.09%
배당 수익률: 0.92%
3개월 일평균 거래량: 17,952
운용자산: 7,370만 달러
출시일: 2017년 11월 2일
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
FLKR은 시가총액 가중 지수인 "FTSE South Korea Capped Index"를 추적한다. 이 ETF는 가치주에 초점을 맞춘 전략을 따르며, 대형주의 비중이 높다. 펀드 자산의 3분의 1 가량을 IT 부문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재량 소비재와 통신 서비스 부문이 뒤따르고 있다.
FLKR의 매력 중 하나는 낮은 운용보수로, 투자자가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한국 주식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상위 3대 종목으로는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및 네이버다.
EWY (iShares MSCI South Korea ETF)
1년 동안의 성과: 76.2%
운용보수: 0.59%
배당 수익률: 0.69%
3개월 일평균 거래량: 3,968,288
운용자산: 67억 달러
출시일: 2000년 5월 9일
운용사: 블랙록 파이낸셜 매니지먼트
EWY는 " MSCI Korea 25/50 Index"를 추적하며, 한국 주식시장의 대형 및 중형 부문의 전반적인 성과를 측정한다. 이 ETF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전술적 포지션을 찾거나 목표한 해외 주식 노출에 맞추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 이 ETF는 가치 기반 투자 전략을 따른다.
IT 부문의 비중이 3분의 1 이상으로 상당히 높다. 그다음으로 재량 소비재 부문으로 약 12.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신 부문이 약 10.8%다. 소수의 종목이 EWY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삼성전자의 비중이 펀드 자산의 4분의 1에 육박한다. 그다음이 SK 하이닉스와 네이버다.
자료 출처: Invevstopedia, "3 South Korea ETFs for Q3 2021"
단 1년 이지만, 지난 5월 30일 이후 ,KORU를 TQQQ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