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하락세 돌아서....
도대체 부동산 부양책(사실은 사기질)이
지금까지 얼마나 많이 나왔냐?
부양책이 나오면 잠시 반짝하다가 다시 주저 앉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그 이유는 아파트를 구매할 호구의 씨가 말랐기 때문이다.
마구 잡이로 물고기의 씨가 마른 호수에서 아무리 오래 낚시질을 한다고
물고기가 잡히냐?
자살률 1위 생지옥 퍽킹 코리아...
이젠 지긋지긋하다
망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가급적 빨리 망하길 바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하락세 돌아서
문화일보|강승현기자|입력2013.05.27 14:11
4·1 부동산 대책이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이번 주 서울 주택시장은 잠잠한 모습을 보였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로 돌아섰고 주요 재건축 단지들도 하락세를 보이거나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출처 :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MD20130527141109545.daum
<동력 떨어진 부동산시장 주춤…거래절벽 또 우려>
연합뉴스|입력2013.05.26 06:13
출처 :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MD20130526061304955.daum
부동산대책 약발 시들… 활기 돌던 재건축도 주춤
국민일보|입력2013.05.26 18:37
출처 :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MD20130526183705603.daum
[‘헬리콥터 벤’ 출구전략 대비하라] (상) 무제한 양적완화 ’제동‘
파이낸셜뉴스 | 입력 2013.05.27 17:02
미국의 경우 이르면 6개월 이내에 양적완화 규모를 줄여야 한다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의원회(FOMC) 의사록이 지난 22일 공개됐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도 의회에서 출구전략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다.
미국은 지난 몇 달간 무려 850억달러(95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했다. 일명 헬리콥터 벤(헬리콥터로 공중에서 돈을 뿌려서라도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과거 벤 버냉키의 주장으로 붙여진 별명)과 같은 양적완화가 이뤄진 셈이다. 미국의 완화정책은 고용지표 호조로 이어졌다. 하지만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자극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양적완화 축소는 이제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온다.
출처 :
http://media.daum.net/economic/finance/newsview?newsid=20130527170209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