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창시자인 박중빈이 태어난 곳
봄날 바람이 스산하게 부는 날, 하루를 영광에서 보냈습니다. 동학을 창시한 수운 최제우와 증산교를 창시한 증산 강일순의 뒤를 이어 원불교를 창시한 사람이 소태산 박중빈입니다. 그의 고향인 백수면과 법성포 일대에서 산책하듯 걷고 또 걸었습니다.
”법성포 건너편에 있는 영광군 백수읍 갈룡리는 원불교의 창시자인 박중빈이 태를 묻은 곳이다. 호가 소태산少太山인 박중빈의 어릴 적 이름은 진섭이고, 청년 시절에는 처화라 불렸다. 농부인 아버지 성삼과 어머니 유정천의 4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원불교를 창립한 이후에는 제자들이 소태산 대종사大宗師라 불렀다.
7세 때부터 우주와 인생의 근본 이치에 대한 의심을 품기 시작했던 그는 20년 가까이 구도 생활을 계속하였다. 처음에는 산신을 만나기 위한 기도를 했고 다시 도사를 만나려 고행을 계속하였다. 산신이나 도사를 모두 만날 수 없게 되자 ‘내 이 일을 장차 어찌할꼬?’ 하는 깊은 생각에 잠겨 입정삼매入定三昧에 빠지기도 하였다. 26세 되던 해인 1916년 4월 28일 이른 새벽에 동녘 하늘이 밝아오는 것을 보고 드디어 우주와 인생의 근본 진리를 확연히 깨치게 되었다. 그리하여 소태산은 스승의 지도 없이 스스로 깨친 진리의 경지를 “만유가 한 체성이며 만법이 한 근원이로다. 이 가운데 불생불멸의 진리와 인과응보의 이치가 서로 바탕으로 하여 뚜렷한 기틀을 지었도다”라고 표현했으며, 또한 진리를 깨친 기쁨을 “맑은 바람 솔솔 불어 밝은 달이 두둥실 떠오르니 우주의 삼라만상이 저절로 밝게 드러나도다淸風月上時 萬像自然明”라고 하였다.
진리를 깨친 지 몇 달 후 40여 명의 신자를 얻은 소태산은 교단 창립의 터전을 닦았고, 지금의 원광대학교가 있는 익산시 신용동으로 총부를 옮긴 것은 1924년이었다. 익산에서 ‘불법연구회’란 임시 교명을 선포하고 교화 사업을 시작한 그는 약 20년간에 걸쳐 이곳 총부에 주재하며 생활 종교를 전파하였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 표어와 ‘동정일여 영육쌍전動靜一如 靈肉雙全’, ‘무시선 무처선無時禪 無處禪’, ‘처처불상 사사불공處處佛像 事事佛供’, ‘불법시생활 생활시불법佛法是生活 生活是佛法’ 등의 교리 표어를 내걸고 시대화, 생활화, 대중화를 지향하는 새 종교운동을 전개하였다.
1935년에는 《조선불교혁신론》을 발간해 생활불교운동을 전개했는데, 그중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일원상一圓相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모시고, 사은四恩의 신앙과 삼학三學의 수행으로써 모든 종교의 진리를 융통, 활용한다. ② 모든 경전과 교서敎書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쉬운 말과 글로 평이, 간명하게 편찬한다. ③ 교당은 교도가 많은 곳에 설치하고 남녀 교역자를 두루 양성해 원활한 교화를 도모한다. ④ 모든 신자는 정당한 직업을 가져 자력 생활을 하고 사회 발전에 공헌하며, 영혼 구제에만 치우치지 않고 정신생활과 육신생활을 조화 있게 한다. ⑤ 모든 의식과 예법은 진리와 사실에 근거해 간편함을 위주로 하고, 시대에 맞고 대중이 다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⑥ 법의 계통을 재가, 출가의 차별이 없게 하고 법위의 높고 낮음에만 따르게 한다. ⑦ 출가 교역자에 대해 결혼을 법으로 제한하지 않고 각자의 뜻으로 결정하게 한다. ⑧ 교단의 운영에 재가와 출가, 남자와 여자가 함께 참여한다.
소태산은 원불교의 창시자인 동시에 사회개혁가, 농촌운동가로서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는 항상 겸손하였다. “내가 재능으로는 남다른 손재주 하나 없고 아는 것으로는 보통 학식도 충분하지 못하거늘, 나같이 재능 없고 학식 없는 사람을 그대들은 무엇을 보아 믿고 따르는가” 하면서 그는 1941년에 “유有는 무無로, 무는 유로 돌고 돌아 지극하면 유와 무가 구공俱空이나 구공 역시 구족具足이라” 하는 전법게송傳法偈頌을 발표하였다. 1943년 6월 1일 53세를 일기로 중앙총부에서 열반하였다.
신정일의 신 택리지 <전라도>에 실린 소태산 박중빈의 생애입니다.
저마다 다르게 살면서 세상을 소요하는데, 이런 삶도 있고 저런 삶도 있습니다. 그 삶들 속에서 박중빈이 혼돈의 시절 법성포의 포구에서 하염없이 한나절을 포구를 보았다는 것처럼 나도 잠시 추억 속으로 들어가 포구를 바라보다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밤, 법성포가 다시 그리운 것은 갈매기 날아오르며 내던 그 소리들 때문일까요?
2020년 3월 18일 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