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계사님
1. 기출문제집 14페이지 1번 문제 (2023년 1번)에서
공급곡선이 Q=225 -5P로 우하향 하는 형태로 나오는 데
공급곡선이 우하향 하는 형태로도 나올 수 있는 건가요?
2. 16페이지의 9번 (2023 12번) 을 풀기 위해
회계사님께서 강의시간에 그려준 표를 봤는데 그 표에서는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주면 P= (1+t) (-aQ+b)라고 되어있는데
답지에는 (1-t)P = -aQ+b 라고 되어있어서 뭐가 맞는지 혼동이 오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수요함수 = 기존 수요함수 (1+t)
새로운 수요함수 (1-t) = 기존 수요함수
의 차이인 것 같기는 한데 두 식은 엄연히 다른 식 아닌가요??
3. 종가세 관련 문제가 나왔을 때
식보다는 보조금을 주면 수요함수는 x축기준 상방회전/ 공급은 하방회전
세금을 부과하면 수요는 하방회전 / 공급은 상방회전으로 생각해도 되나요?
아니면 정확한 식을 암기하는 것이 필요할까요??
첫댓글 안녕하세요, 손병익 회계사입니다.
1. 나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요곡선은 우하향, 공급곡선은 우상향이지만 해당 문제처럼 그렇지 않은경우도 있습니다.
2. (1+t)로 접근할 때와 (1-t)로 접근할 때 방식이 일부 다른것인데요,
제가 수업시간에 하는 방식은 2015년 문제에 적용하는 방식인데, 저는 2023년의 문제 출제 방식이 잘 못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기본서로 쓰는 정병렬 선생님의 책에서도 2023년의 출제 방식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5년 종가세 문제와 비교해보시면서 이런 차이가 있다는 정도만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3. 말씀하신 방법으로 각 곡선의 회전 방향을 잘 익혀두시면 되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출제되지 않기 때문에
출제자에 따라 (1+t)를 적용했는지, (1-t)를 적용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따라서 이런 문제가 나오면 둘다 적용해보다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어 나중에 푸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