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멧따 상가 원문보기 글쓴이: 담마
어리석은 이는 입의 도끼로 자신을 찍는다.
☸ 꼬깔리까 경, kokālika-sutta, 앙굿따라니까야 10.89
① 뿌리삿사 히 자-땃사, 꾸타-리- 자-야떼 무케.
purisassa hi jātassa, kuṭhārī jāyate mukhe.
사람은 입의 도끼와 함께 태어났나니,
야-야 친다띠 앗따-낭, 발-로 둡바-시땅 바낭.
yāya chindati attānaṃ, bālo dubbhāsitaṃ bhaṇaṃ.
어리석은 이는 나쁜 말로 자신을 찍는다.
② 요 닌디양 빠삼사띠, 땅 와- 닌다띠 요 빠삼시요.
yo nindiyaṃ pasaṃsati, taṃ vā nindati yo pasaṃsiyo.
비난할만한 것을 칭송하고 칭송할만한 것을 비난하는 이
위찌나-띠 무케나 소 깔링, 깔리나- 떼나 수캉 나 윈다띠.
vicināti mukhena so kaliṃ, kalinā tena sukhaṃ na vindati.
입으로 나쁜 패를 뽑은 것이니, 그 패로는 행복을 얻지 못한다.
③ 압빠맛따꼬 아양 깔리, 요 악케수 다나빠라-자요.
appamattako ayaṃ kali, yo akkhesu dhanaparājayo.
삽밧사-삐 사하-삐 앗따나-,
sabbassāpi sahāpi attanā,
도박에서 모든 재산을 잃고 자신까지 잃는 것,
이 나쁜 패는 오히려 하찮은 것이니,
아야메와 마핫따로 깔리. 요 수가떼수 마낭 빠두-사예.
ayameva mahattaro kali. yo sugatesu manaṃ padūsaye.
바른 이에게 마음을 더럽힌 것, 이것이 최악의 패이다.
삿된 말 4가지
☸ 대념처(마하삿띠빳타나) 경, 맛지마니까야 10, 디가니까야 22
무엇이 삿된 말인가?
빅쿠들이여,
① 거짓말을 하는 것,
② 이간을 하는 것,
③ 거친 말(욕설)을 하는 것,
④ 쓸데없는 말(잡담)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삿된 말이다.
바른 말 4가지
☸ 대념처(마하삿띠빳타나) 경, 맛지마니까야 10, 디가니까야 22
무엇이 바른 말(삼마 와짜)인가?
빅쿠들이여,
①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② 이간을 하지 않는 것,
③ 거친 말(욕설)을 하지 않는 것,
④ 쓸데없는 말(잡담)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바른 말이다.
자신을 괴롭히지 않고 남을 해치지 않는 말 4가지
☸ 선한 말(수바시따) 경, Subhāsitā-sutta, 상윳따니까야 8.5
빅쿠들이여, 네 가지 요소를 갖춘 말은
① 선한 말이고
② 비난받을 일이 없고
③ 지혜로운 이에게 비난받지 않는다.
무엇이 넷인가?
빅쿠들이여, 여기 빅쿠는
① 선한 말을 하고 나쁜 말은 하지 않는다.
② 법을 말하고 법이 아닌 것은 말하지 않는다.
③ 사랑스런 말을 하고 사랑스럽지 않은 말은 하지 않는다.
④ 진실을 말하고 진실이 아닌 것은 말하지 않는다.
빅쿠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갖춘 말은 선한 말이고
비난받을 일이 없고 지혜로운 이에게 비난받지 않는다.
자신을 괴롭히지 않고
남을 해치지 않는
그러한 말을 해야 하니
그러한 말이 진정한 선한 말이다.
그 말을 들으면 기쁨이 일어나고
악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며
남들이 들으면 사랑스러운
그러한 사랑스런 말을 해야 한다.
진실이 진정 불사의 말
이것이 진정 변함없는 법
진실 안에 유익과 법이 있다고
참된 이들은 말한다.
닙바나를 증득하고 괴로움을 끝내기 위한
부처님이 설하신 평온한 말씀이
진정 가장 훌륭한 말씀이다.
분노는 악한 이를 짓누른다.
☸ 분노 없음(아꼬다) 경, Akodha-sutta, 상윳따니까야 11.25
분노(꼬다, kodha)가 자신을 이기게 하지 않고
분노하는 이에게 분노를 돌려주지 않는다.
분노하지 않고 해치지 않는 이는
항상 성인 가운데 머문다.
산이 짓누르듯이
분노는 악한 이를 짓누른다.
선한 이의 대화는 알기 위함이고 확신하기 위함이다.
☸ 대화의 주제(까타왓투) 경, 앙굿따라니까야 3.67
반감과 집착과 자만을 품은 이들은
서로의 허물을 찾으면서
세상 사람들의 인격(덕, 구나, guṇa)을 해치는 말을 한다.
나쁜 말, 흠 잡는 말, 어리석은 말,
기를 꺽는 말을 하면서 서로서로 즐거워하나
성인은 그러한 말을 하지 않는다.
지혜로운 이는 대화를 하는 적당한 시기를 알고
법에 근거하여 법에 맞는
성스러운 행위에 대해 이야기 한다.
지혜로운 이는 대화 하면서 반감이 없고 자만이 없으며
마음이 혼란되지 않고 악의 없고 폭력적이지 않고
질투하지 않고 바른 지혜로 바르게 말한다.
충고에 기뻐하고 나쁜 말에 비방하지 않고
비난하지 않고 작은 말 실수에 꼬투리 잡지 않는다.
욕하지 않고 압도하지 않고
진실과 거짓이 섞인 말을 하지 않으니
선한 이의 대화는 알기 위함이고 확신하기 위함이다.
성인(아리야, ariya)은 이와 같이 대화하나니
이것이 참으로 성인의 대화이다.
슬기로운 이는 이것을 알기에
자만을 품고 대화하지 않는다.
메따승원 상가 수행공동체 운영
1. 메따승원 상가 수행공동체 지향 및 목표
가. 빅쿠상가 및 불자 수행공동체 추진
한국에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리지 못하다 보니
테라와다 빅쿠 뿐만이 아니라 남방에서 출가를 한 여성 수행자(샤알레이),
테라와다 불교를 따르는 많은 재가불자들도
한국에 장기간 머물며 수행할 곳이 없어
기후, 음식 등이 맞지 않는 머나먼 타국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으며 수행하고 있습니다.
남방의 상가(승원)처럼 자신만의 꾸띠(토굴, 거처)에서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장기간 머물며 수행할 수 있는 토대인
수행 공동체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입니다.
테라와다 빅쿠, 사미 뿐만이 아니라 여성 출가자나 재가자가 함께 거주하며
수행할 수 있는 수행공동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테라와다 상가 설립
남방의 불자들은 마을에 빅쿠들이 모여 사는 승원이 생기면
공덕을 쌓을 기회가 생긴 것에 기뻐하며
상가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공덕을 행합니다.
이러한 풍토가 한국에는 아직 자리 잡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의 테라와다 빅쿠는 남방의 빅쿠들처럼
상가를 이루며 함께 지내지 못하고
정기법회나 집중수행을 생계수단으로
혼자 지내며 머물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신도가 없이 오랫동안 수행에 전념하고 돌아온
테라와다 빅쿠들은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며
한국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메따승원은 여러가지 한국의 어려운 실정에도
부처님 당시와 남방의 승원처럼
언제든지 출가자와 수행자가 와서
평안히 머물며 수행할 수 있는
상가(승가) 공동체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기법회나 집중수행을 생계수단으로
빅쿠 혼자 운영하는 개인 선원 대신,
불자가 빅쿠들을 직접 친견하여 법을 청하여 듣고
불자들의 상가에 대한 순수한 공덕만으로 유지되는,
상가 본연의 모습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승원에는 남방의 여러 나라에서
오랫동안 계정혜 삼학을 닦고 오신
빅쿠들이 항상 상주하고 계십니다.
상가가 정착되어야
부처님 당시와 남방의 승원처럼
수행 방법에 따라 본인에 맞는
지도법사 빅쿠를 친견하여,
법을 청하여 듣거나 법답을 나누고
수행지도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가 본연의 목표를 잃지 않고 신도도 없이
오랫동안 타국에서 수행에 전념하고 돌아온 출가자들이
생계를 걱정하지 않고 머물면서 수행하고
법을 펼 수 있는 상가가 정착되기를 기원합니다.
불자들의 상가에 대한 순수한 공덕과
친견 및 열성만으로 유지되는 여법한 상가가
이 땅에도 뿌리내릴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이 땅에서 테라와다 빅쿠계(구족계)를 받을 수 있고
테라와다 출가자와 재가 수행자가 언제든지 평안히 머물 수 있는
청정한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기를 기원합니다.
▶ 빅쿠 1인 : 뿍갈라,(Puggalā,), 빅쿠 2~3인 : 가나(Gaṇa), 빅쿠 4인 이상 : 상가(Saṅgha)
▶ 5명 이상의 상가(빤자왁가 상가, Pañc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변방인 우리나라는 빅쿠가 5명 이상이 되면 상가 소유의 승원에
시마를 설정하여 빅쿠계를 줄 수 있습니다.
* 변방 : 갠지스강 유역 이외의 지역
* 시마 : 빅쿠계를 줄 수 있는 계단
▶▶ 빅쿠상가·불자 수행공동체 추진 ◀◀
아직까지 한국에는 테라와다 상가(4명 이상의 빅쿠가 모여사는 승가)가 없어서 많은 한국 테라와다 수행자들이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국에 테라와다 상가가 뿌리내리지 못하다 보니 테라와다 빅쿠 뿐만이 아니라 남방에서 출가를 한 여성 수행자(샤알레이), 테라와다 불교를 따르는 많은 불자들도 일정한 거처 없이 여기저기 떠돌며 수행하고 있습니다.
남방의 상가(승원)처럼 자신만의 꾸띠(토굴, 거처)에서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장기간 머물며 수행할 수 있는 토대인 상가, 수행 공동체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입니다.
메따 승원에는 테라와다 빅쿠, 사미 뿐만이 아니라 여성 출가자나 재가자가 함께 거주하며 수행할 수 있는 수행 공동체를 설립할 계획에 있습니다.
남방의 승원처럼 안정된 꾸띠(거처)에 장기간 머물면서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수행할 수 있는 상가(승가) 수행공동체를 염원하는 불자들의 서원과 지속적인 도움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
이 땅에 테라와다 상가(승가)가 뿌리내려 부처님의 가르침이 널리 퍼져 나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원합니다.
▶ 참고 : * 빅쿠 1인 : 뿍갈라,(Puggalā,) * 빅쿠 2~3인 : 가나(Gaṇa), * 빅쿠 4인 이상 : 상가(Saṅgha)
▶ 수행공동체 문의 및 신청
※ 이메일 : aloka315@hanmail.net
상가의 종류 및 정족수
* 4명의 상가(짜뚜왁가 상가, Catu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구족계, 자자, 복권(빅쿠의 권한 회복)를 제외한 깜마(의식)를 행할 수 있습니다.
2. 즉, 포살, 우안거, 까티나, 별거 처분, 마낫따(6일 별거) 처분 등을 행할 수 있습니다.
* 5명의 상가(빤자왁가 상가, Pañc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중앙 구족계(인도 중앙에서의 구족계), 복권을 제외한 깜마(의식)를행할 수 있습니다.
2. 즉, 변방 구족계, 자자의식, 포살, 우안거, 까티나, 별거 처분, 재별거 처분, 마낫따(6일 별주) 처분 등을 행할 수 있습니다.
3. 갠지스 강 유역 이외의 지역은 변방에 해당합니다.
4. 우리나라는 변방에 해당하므로 빅쿠가 5명 이상이 되면 상가 소유의 승원에 시마(빅쿠계를 줄 수 있는 계단)를 설정하여 빅쿠계를 줄 수 있는 의식 등 승잔죄 복권 의식을 제외한 모든 의식을 행할 수 있습니다.
* 10명의 상가(다사왁가 상가, Dasa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복권절차를 제외한 깜마를행할 수 있습니다.
2. 중앙구족계를행할 수 있습니다.
3. 즉, 중앙구족계, 변방 구족계, 자자의식, 포살, 우안거, 까티나, 별거 처분, 재별거 처분, 마낫따(6일 별주) 처분 등을 행할 수 있습니다.
* 20명의 상가(위사띠왁가 상가, Vīsativagga saṅga) 율장 대품 Mv.IX.4.1
1. 상가디세사(승잔죄) 복권절차(압바나 깜마)를 행할 수 있습니다.
2. 모든 깜마가 가능합니다.
붓다사-사낭 찌랑 띳타뚜!
buddhasāsanaṃ ciraṃ tiṭṭhatu!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 머물기를!
사-두 사-두 사-두
sādhu! sādhu! sādhu!
첫댓글 너무글이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