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에 가 보면 여러 석물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를 왜 설치하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석물 뿐만 아니라 묘지의 면적, 봉분의 크기도 당시에 법으로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능묘의 구조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각자의 뜻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등급(等級)을 상징한다. 청대(淸代)의 규정에 따르면 이품(二品), 삼품(三品)의 관리는 석마(石馬), 석호(石虎)를 세울 수 있게 했다.
석수(石獸)는 원래 황릉(皇陵)을 호위(護衛)하는 용도다. 이것은 능묘(陵墓)의 장식성 건축이다.
호랑이는 백수(百獸)의 왕이다. 그래서 벽사(辟邪)에 사용한다.
석양(石羊)은 길상(吉祥)을 상징하고, 충효(忠孝)의 의미도 있다.
말의 성정은 온순(溫順)하다. 주요한 교통 공구(工具)이며, 인의(仁義)를 상징한다.
악비(岳飛)의 묘 앞에도 이러한 것이 설치되어 있다.
공(公)에서 이품(二品) 까지 석인(石人)을 사용하고, 망주(望柱)와 석호(石虎), 석양(石羊), 석마(石馬)는 각자 2마리를 설치한다.
삼품(三品)은 석인(石人)이 없다.
사품(四品)은 석양(石羊)이 없다.
오품(五品)은 석호(石虎)가 없다.
묘지에 가 보면 좌향이 적힌 비석을 볼 수가 있다. 여기에 특이한 한자가 있어 하나를 올린다. 특히 좌향에서 좌의 한자에 이렇게 口가 들어간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㘴은 좌(坐)와 동일하다.
#사주, #풍수, #기문, #택일, #부적, #도법, #법술, #작명, #성명, #이름, #점, #점괘, #전화번호 조합, #삼원, #현공, #현공풍수, #삼원기문, #연국, #형살, #풍수용품, #화해, #살풀이, #한역, #천일도원 #제화, #역학, #음양, #역법, #천간, #지지, #납음, #쌍산, #형만, #용혈사수, #수법, #이기, #형기, #삼원현공, #하도, #낙서, #선천팔괘, #후천팔괘, #괘효, #육친, #나경, #외반, #내반, #현공대괘, #괘운, #성운, #통괘, #에성결, #순자국, #역자국, #정신, #영신, #칠성타겁, #용산, #향수, #생입, #극입, #입향, #보성번괘, #지모번괘, #오귀운재, #천마, #귀인, #팔살, #중침, #양택, #삼원구운, #동사명, #서사명, #팔택, #구성, #형세, #화살, #삼합, #노충, #생기대법, #조생기, #태상노군, #노자, #육임파, #기문풍수 #육임풍수 #육효풍수 #기문천임 #법술 #기문법술 #기문사주 #사주풍수 #화방촌TV
E-Mail: 108nahan@gmail.com
천일도원(天一道院) 화방촌 010-6678-8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