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Islam)에 대한 오해와 진실
얼마 전 우리나라의 젊은 청년(김 군)이 IS(Islamic State)의 전사(?)가 되기 위해 터키를 경유하여 시리아로 잠입한 것이 드러나면서 이슬람 무장단체들과 IS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 엊그제 신문에는 이라크 정부군이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IS)의 거점인 ‘모술(Mosul)’을 공격하여 열흘 만에 IS 조직원 772명을 사살하고 인근 마을 93곳을 탈환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슬람 하면 ‘한 손에는 코란, 한 손에는 칼’이라는 슬로건이 떠오르고 이슬람은 포교를 위해서는 전쟁과 살육(殺戮)을 서슴지 않는 무자비한 종교로 인식되어왔다. 거기에 더하여 근래에 이슬람 IS 무장괴한들이 칼로 인질들의 목을 무참히 자르는 동영상이 SNS를 통하여 퍼지면서 이슬람에 대한 경각심과 증오심도 더욱 증폭된 느낌이다.
그러나 이런 단편적인 사실만으로 이슬람을 폄하(貶下)하는 일방적인 평가는 다분히 감정적이어서 잘못 판단되기 쉽다. 우리나라 서울에도 이슬람 모스크가 건축되고 있고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는 이 시점에서는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사실 우리는 이슬람에 관해서 모르는 부분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흔히 알려진 ‘한 손에는 코란, 한 손에는 칼’이라는 말은 코란의 어떤 구절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단지 이슬람을 폄하하기 위하여 서구 기독교 세계에서 퍼뜨린 조작된 말이라는 것이 그 한 예가 되겠다.
나는 인도, 터키를 비롯하여 제법 많은 나라를 여행하며 무슬림들을 직접 만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그들의 생활을 엿볼 기회가 많았는데, 대부분 사람들은 이슬람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이고 그들이 나쁘다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별로 본 적이 없다.
코란에 의하면 이슬람은 평화(平和)와 선행(善行)을 가장 중요시하는 종교로,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선행을 실천하는 것을 가장 큰 덕목으로 여기며 적극적으로 실천한다고 한다.
그러면 이슬람이 언제부터, 어떤 연유로 무자비한 살인자들, 피도 눈물도 없는 괴물의 집단으로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슬람에 대한 이해의 폭을 조금이나마 넓혀 볼 필요가 있겠다 싶어 적어보는데 설혹 잘못된 견해로 비판받을 수도 있겠다 싶어 조심스럽기는 하다.
무함마드 (Muhammad) / 무함마드 출생지 메카(Mecca) / 이슬람의 성지 메디나(Medina)
세계 4대 종교 중의 하나로 꼽는 이슬람교(回敎)는 AD 610년 예언자 무함마드(Muhammad), 일명 모하메트(Mohamet)에 의하여 창시되는데 전지전능의 유일신 알라(Allah)의 가르침이 대천사 가브리엘(Gabriel)에 의하여 무함마드에게 계시되고, 이것을 기록한 것이 코란(Koran)이며 모든 종교의 완성체라고 주장한다.
무함마드는 아라비아반도 중부 메카(Mecca)에서 유복자(遺腹子)로 태어나 7세에 어머니가 죽자 할아버지와 작은아버지 밑에서 성장하는데, 25세에 부호의 미망인 하디자(Khadijah)와 혼인하여 한때 시리아 등지에서 대상(隊商)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는 40세에 알라의 계시를 받은 뒤 자신이 마지막 예언자라고 주장하며 알라의 계시를 받아 적었다는 코란(Koran)을 앞세워 포교활동을 시작한다. 그러나 포교활동 초기, 고향 메카(Mecca)에서 냉대와 박해에 시달리자 AD 622년, 400km 북쪽에 있는 메디나(Medina)로 옮겨 교세를 확장한다.
이슬람에서는 메디나로 옮긴 것을 헤지라(聖遷)라 부르고 이슬람력의 기원으로 삼는다.
이슬람(Islam)이라는 낱말은 ‘절대 순종’이라는 의미이고, 이슬람 신봉자를 일컫는 무슬림(Muslim)은 ‘절대 순종하는 자들’이라는 의미라고 하는데 현재 전 세계 무슬림의 수는 약 13억 명으로 세계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교세를 자랑한다.
이슬람교는 200여 개의 계파가 있다고 하는데 가장 큰 교단이 수니(Sunni)파로 전체 무슬림의 8~90%를 차지한다고 하며 이슬람의 정통으로 친다. 두 번째 교파로 시아(Shiah)파를 꼽는데 전체의 약 10% 정도이고 창시자인 무함마드보다는 무함마드의 사위인 알리(Ali)를 정통으로 본다고 한다.
그 밖에 알려진 교파로는 넓은 치마와 긴 모자를 쓰고 빙글빙글 돌며 무아지경에서 춤을 추는 신비주의 수피파(Sufism)도 있다. 최대 교단인 수니파는 다른 종파를 이단(비드아/bid'a)로 간주하여 시아파 등 다른 교파와 끊임없는 갈등을 표출하고 있다.
이슬람은 종교의 기초가 되는 다섯 개의 기둥이 있는데 ➀신앙 선언, ➁기도, ➂라마단(Ramadan)기간동안 금식, ➃자선 기부, ➄메카(Mecca)로의 하지(Hajj) 순례이며 이슬람교도들은 돼지고기와 술을 마시는 것을 금지한다. 라마단(Ramadan)은 무함마드가 하늘의 계시를 받은 달이라고 하며 이슬람력으로 9월인데 예언자 마호메트가 알라(Allah) 신(神)으로부터 코란(Koran)의 첫 번째 경전(經典)을 받은 날이라고 한다.
라마단(Ramadan)은 아라비아어로 ‘타오르는 더위’ 또는 ‘메마름’을 뜻한다는데 이 기간에는 달이 다시 찰 때까지 노인과 환자, 임산부나 수유 중인 여인, 그리고 12세 이하 어린아이를 제외한 모든 건강한 성인은 매일 해가 뜨고 질 때까지 즉, 낮 동안에는 먹거나 마시거나, 또는 담배 피우는 것을 금지한다.
일몰(日沒) 후에는 가족들이 모여 이프타르(Iftar/단식을 깨다)와 만찬을 위한 재료를 장만해서 요리해 먹으면서 하루종일 이어진 금식(禁食)을 마친다.
이슬람의 성지 메카(Mecca)의 ‘하지(Hajj) 순례’는 신체가 건강한 무슬림은 일생에 한 번은 반드시 메카의 대사원인 카바(Kaaba) 신전을 찾아서 순례를 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이 순례를 마치면 자기 이름 뒤에 하지(Hajj)를 붙인다고 한다.
카바(Kaaba) 신전은 매년 하지(Hajj) 순례기간이 되면 전 세계 무슬림들이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루고는 하는데 카바 신전 광장(廣場)에는 정방형의 거대한 검은 돌(Black Stone)이 있는데 거기에 입을 맞춘 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빠르게 4바퀴, 반대 방향으로 천천히 3바퀴, 총 7바퀴를 돌아야 하며, 횟수를 빼먹거나 제대로 못하면 순례 자체가 무효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순례자들이 항상 구름처럼 모여드는 까닭에 매년 압사(壓死) 사고가 발생하는데 2015년에는 2,400여 명이 깔려 죽는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고도 한다.
이슬람교도들은 하루에 다섯 번 기도를 올리는데 이슬람 사원마다 있는 미나레트(Minaret) 위에서 기도시간을 알리는 아잔(Azan/Adhān) 소리가 들리면 손발을 씻고 무함마드의 출생지 메카(Mecca) 방향을 향하여 기도를 올리는데 ‘일출전(파즈르), 정오(주흐루), 오후(아스르), 일몰(마그립), 밤(이샤)’의 다섯 번이다.
이슬람 여러 분파 중에서 이슬람 국가(IS/Islam State)의 설립을 외치며 테러를 자행하는 소수 분파들의 포로 참수(斬首) 등 과격한 행동들이 중세 어쌔신을 연상하게 하여 전체 이슬람을 부정적으로 보게 하는 한 요인이 되는 것이다. 무슬림의 대부분(8~90%)을 차지하는 수니파는 비교적 온건파로 알려져 있으며 대략 10%를 차지하는 시아파가 호전적인 성향으로 과격 테러집단을 생산한다고 한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이러한 과격 단체들은 과거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없이 많았는데 일본의 ‘닌자(隱者) 집단’, 중세 각국의 군주들의 ‘호위무사들’, 또 중세 기독교 사회의 ‘템플 기사단’, ‘시온 수도회’, ‘프리메이슨’, ‘장미십자단’..... 등 성격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자신들의 신앙은 물론, 이익과 권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폭력과 테러, 암살을 서슴지 않았던 집단들로 얼마든지 꼽을 수 있다.
세상만사는 알고도 모르는 일이 수두룩한데 무슬림은 정녕 어떻게 평가하여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