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人文學)- 영어: humanities, liberal arts
<사전적 의미>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이
경험적인 접근을 주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분석적이고 비판적이며 사변적인 방법을 폭
넓게 사용한다.
<본 뜻>
1. 사람을 아는 것
2. 시민의 자유와 책임감을 키우는 학문
3. 갈등과 반목을 '관용'으로 승화하는 것
서양 인문학의 발상지 희랍과 로마는 자유인과 노예로 이루어진 사회였다.
그들 사회에서 자유인에게 요구되는 덕성이 무엇이었을까?
하루하루 살아가는 노예와 다른 품성이 요구되었다.
그것은 자기와 가족을 넘는 사회적 가치로서의 선(good), 올바름의 도덕성이었다.
그럼 어떻게 하면 그런 덕성을 가진 사람이 될까?
어떤 기술을 연마해야 ‘자유인다운 자유인’이 될까?
.
우선 생각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자유인이 아니다.
세상을 비판적으로 분석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저 주어진 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드리며 살아가는 것은 노예의 삶이다.
자신의 생각을 똑 바로 말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표현하지 못하면 이웃과 세계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자신의 의지대로 살고자 하면 말과 글을 정확하게 사용해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설득해야
한다.
인문학은 바로 이것을 위해 존재한다.
어떻게 하면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세상을 비판적으로 바라 볼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 생각을 정확하게 말하고 쓸 수 있을까?
이것들을 기술로써 완성해 나아가야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인문학은 바로 그 길로 나아가는 데 지혜를 제공한다.
그러니 인문 서적을 그냥 읽어서는 안 된다. 생각하며 비판하며 읽어야 한다.
자유인 곧 자유롭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고자 하는 열망을 안고 읽어야 한다.
<인문학은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
1. 인문학은 동양에서 3대 학문중의 하나입니다.
천문학. 지리학.인문학 이 3대 학문입니다.
천지인이지요.
천문학은 天하늘천 文글월문 學배울학.이고 지리학은 地땅지 文글월문 學배울학 이며
인문학은 人사람인 을 써서 사람을 배우고 익히는 학문입니다.
조물주가 천지를 창조하고 동식물을 만들었으나 이를 관리하고자 인간을 만들어
천 지 자연의 세계를 관리하라고 하였답니다.
인간은 대자연의 세계를 잘 알고 관리를 하여야 합니다.
그리하여 지혜를 주었는데,지혜를 남용하여 욕심꾸러기 인간으로 변하였답니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게 하는 학문이 인문학입니다.
2. 인문학은 인간의 사상과 인간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간의 정신활동에 관련된 학문 분야로,
흔히 언어·언어학·문학·역사·법률·철학·고고학·예술사·비평·예술의 이론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한편 우리나라 인문학의 전통은 훈민정음의 창제, 조선조 성리학의 도덕론, 실학의 올바른 학문
정신에서 찾을 수 있다(진은진)
3. 인문학은 근대과학에 대해 그 목적과 가치를 인간적 입장에서 규정하는, 인간과 인류 문화에
관한 모든 정신과학을 통칭하여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