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5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2025년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트랜드와 싸이클 그리고 타이밍
▶️ 자료: https://bit.ly/3C63NaC
*2024년은 유동성 확장(주요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정책을 기대(상반기)했고, 실행(하반기). 2025년은 확장된 유동성이 경제지표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
*2025년 상반기 미국은 경기선행지표들의 반등, 하반기에는 경기동행지표들의 반등 기대. 상반기 중국은 CPI(소비자물가)를 중심으로 한 소비경기 개선, 하반기에는 PPI(생산자물가)를 중심으로 한 투자경기 개선 예상
*경제지표 정상화 과정에서 S&P500지수의 기대수익률은 이익 증가율에 수렴, 2025년 S&P500지수 이익 증가율 전망치 15%(=지수 기대수익률). 코스피는 Tech 섹터가 주도할 경우 기대수익률 10%, Non Tech 섹터가 주도할 경우 기대수익률 7%
*이익 증가율도 중요하지만, 이익 증가 시 PER의 상승 속도 감안. 업종별 이론적 기대수익률은 [이익 증가율*PER 민감도]로 추정 가능
*2025년 S&P500지수 내에서 이론적 기대수익률 높은 업종은 반도체, 제약/바이오, 소프트웨어, 보험, 하드웨어. 코스피 내에서 이론적 기대수익률 높은 업종은 IT가전(2차전지), 화학, 제약/바이오, IT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계
*2025년 1분기 예상 주도 업종은 [S&P500] 반도체, 자동차, S/W, 보험 [코스피] 화학, 에너지, 반도체, 하드웨어. 2분기 예상 주도 업종은 [S&P500] 하드웨어, 미디어, 운송, 헬스케어장비 [코스피] 2차전지, 제약/바이오, 화학, S/W
*3분기 예상 주도 업종은 [S&P500] 반도체, 미디어, 자본재, 원자재 [코스피] 반도체, 기계, 조선, 철강. 4분기 예상 주도 업종은 [S&P500] 반도체, 하드웨어, 은행, 제약/바이오 [코스피] 증권, 은행, 제약/바이오, 건설
*S&P500 기업들 중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5~26년 순이익 순위가 높아질 수 있는 기업에 주목.알파벳, 브로드컴, 오라클, 넷플릭스, AMD, 우버테크놀로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 같은 기업들이 여기에 해당
*코스피 내에서 반도체의 주도 업종으로의 영향력이 약해지면, 새로운 주도 업종을 찾으려는 시도가 나타남. 제약/바이오, 2차전지, S/W가 그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