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키르기스스탄전 무승부 이상시
조2위 16강 진출
(16강 F조 1위[이란/사우디 유력], 8강 우즈베키스탄 유력)
2. 키르기스스탄전 패배시
A. 말레이시가 바레인에 무승부 이상시
조3위 와일드카드 경쟁
; 단, 골득실이 좋기 때문에 키르기스스탄에 참패하지 않는 이상 16강 진출 확률 매우 높음
(16강 베트남 또는 A조 1위[인도네시아/홍콩 유력], 8강 팔레스타인/시리아 or 방글라데시/F조 2위)
B. 말레이시아가 바레인에 패배시
조4위 조별예선 탈락 (예외 없음)
보시다시피 키르기스스탄에 패배하고 조3위로 올라가는게 오히려 16강~8강 대진이 좋지만,
이 경우 만약 바레인이 말레이시아에 패배하게 되면 조별예선 최하위로 아시안게임에서 탈락하게 되므로
결국 잔머리 굴리지 말고 착실하게 키르기스스탄을 잡는 게 낫겠습니다.
첫댓글 그냥 대승하는게 나을듯. 애당초 말레이전 지지만 않았어도 참..
8강이 문제다..
(1) 바레인의 최대 승점이 4점이므로, 바레인이 말레이시아에 승리하더라도 한국이 키르기스스탄에 승리하면 조2위 확정(승점 6). 바레인이 말레이시아에 승리하고, 한국이 키르기스스탄과 비기면 승점은 4점으로 같으나 승자승 원칙에 의하여 한국 조2위 확정. 어떠한 경우라도 한국은 무승부 이상으로 조2위 확보. // (2) 다만 한국이 키르기스스탄에 패하면, 키르기스스탄(4점)보다 무조건 승점이 적으므로 조3위 이하 확정. 이 경우 바레인이 말레이시아에 이기면 승점이 4점이 되므로, 승점 부족으로 조4위가 되어 조별예선 탈락. 바레인이 말레이시아에 이기지 못하면 승점이 최대 2점이므로, 한국 조3위 확정(와일드카드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