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갔으니 나무아미타불입니다.

회랑에서 따뜻한 햇볓을 쬐면서 쉬어봅니다.

정면에서 본 개심사 모습입니다.

어디서 많이 본 분입니다.
누군가의 노래가사에 이런 내용이 나옵니다.
고양이 같던 마누라가 세월이 지나니 호랑이가 되었다나요. ㅎㅎㅎ

해강 김규진 선생의 상왕산 개심사라는 필치가 압권입니다.

'염불보다 잿밥에 관심이 있다'라는 말이 있답니다. 이번 여행이 그런 꼴이네요. 남당리 새조개가 주관심사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사진에도 진면목인 목조창보다는 창에 비친 모습에 관심이 가듯....

자고로 약보 보다는 식보라고 합니다.
개심사는 내가 자란 시골의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네요.
이런 장독대에서 그 모습을 찾을 듯....

산신각아래 나무등걸위에도 무슨 바램이 있길래 돌을 쌓았는지 궁금합니다.
나무 뿌리에게 엄동설한의 매운맛을 덜어주려나...

산신각에서 본 개심사 전경

산신각 내부 모습

해미읍성의 정문 진남문입니다.
날씨가 화창하고 하늘 빛도 그만인데 공기가 차네요.
주막집이 부릅니다. '삼배통대도 두주합자연'이라고 자연과 같아지려면 술이 필요하답니다.

해미읍성의 깃발인데 바람이 장난이 아닙니다.

춥다는 느낌이 드나요. 이중에서 서서히 이탈자가 생겨나고 결국 한 분만 읍성을 두루 둘러보았다네요.

하늘 빛이 참 아름답습니다. 나무 모양도 좋지요. 호야나무라고 한다네요.

대문밖에 염원의 돌탐과 망루가 있네요.

소나무가 참 이기적이라고 합니다. 그 밑에 소생하는 것이 별로없으니....
추운날 이렇게 찍어보니 더욱 춥게 느껴지기도하고 남극에 눈물속에서 나오는 황제펭귄의 무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호서좌영 동헌 전경입니다. 옛 분들의 미학이 묻어납니다.

연날리기를 하더군요. 멋집니다.

진남문 우측에 있는 멋있는 은행나뭅니다.

명나라 홍치제 4년이면 조선조 성종 22년 1490년에 중수한 기록이라고 합니다.

이상은 해미읍성의 여행이었고요.
남당리는 아래사진 하나로 마무리합니다.

이상 허접한 여행 후기였고요. 찰나를 즐겁게 잘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극락에서 살았는지 지옥에서 살았는지 한 땀 한 땀이 그 인생을 말해줍니다.
첫댓글 좋은 사진에 훌륭한 해설까지....
잘 감상했습니다
술이 좋았는지 새조개가 좋았는지?^^* 첨 먹어본 새조개는 참 달콤함으로 다가와 새로운 맛을 경험했습니다
사진 잘~~감상 했슴니당 .....다음여행지에서 또~~~뵈여요,,,,,
꼭 가보고 싶은 곳이었는데 신청해 놓고 사정이 생겨 취소하였지요.
다음에 기회가 되면 다시 신청하려고 합니다.
해미읍성은 가봤는데 개심사는 못가봐서 ....올해 꼭 가보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멋진곳 소개해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