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각국의 최초 핵실험 ●1945. 7. 15 미국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New Mexico, Alamo Gordo ●1949. 8. 29 소련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 ●1952. 10. 3 영국 원자폭탄 실험 ●1952. 11. 1 미국 수소폭탄실험(남태평양 비키니 섬) ●1953. 8. 13 소련 수소폭탄 실험 ●1957. 5. 15 영국 수소폭탄 실험 ●1960. 2. 13 프랑스 원자폭탄 실험 ●1964. 10. 16 중국 원자폭탄 실험 ●1967. 6. 17 중국 수소폭탄 실험 ●1968. 8. 24 프랑스 수소폭탄 실험 ●1973. 10. 6 인도 원자폭탄 실험 ●1998. 5. 28 파키스탄 원자폭탄 실험 세계 각국의 핵실험 횟수 ◎미 국: 920여회 ◎소 련: 640여회 ◎프랑스: 180여회 ◎영 국: 42회 ◎중 국: 35회 ◎인 도: 6회(98.5.11-13, 5회)- 중앙일보('98.5.30) ◎파키스탄: 7회('98.5.28-30, 7회,18kt급)- 중앙일보('98.5.31) 세계 핵무기 보유 현황
|
출처:http://cafe.daum.net/hufsir345
아파치Apache : 7월 8일 18시 06분, 에니웨톡 환초의 아이비 마이크 실험 크레이터, 수면폭발, 1.85메가톤
나바호Navajo : 7월 10일 17시 56분, 비키니 환초의 유로치 섬 부근의 바지선, 수면폭발, 4.5메가톤
테와Tewa : 7월 20일 17시 46분, 비키니 환초의 나무 섬과 유로치 섬 사이의 바지선, 수면폭발, 5메가톤
테와에 사용된 최초의 3단계 핵융합폭탄인 바순 프라임Bassoon Prime
바순 프라임이 탑재된 바지선. 다른 수상폭발 실험들도 대부분 이러한 바지선 위에 폭탄을 적재한 뒤 기폭시켰습니다.
테와의 화구
휴런Huron : 7월 21일 18시 12분, 에니웨톡 환초의 플로라 섬 부근의 바지선, 수면폭발, 250킬로톤
플럼밥Plumbbob (1957, 30회) : 핵무기 관련 각종 실험
볼츠먼Boltzmann : 5월 28일 11시 55분, 네바다 실험장 7c구역, 지상폭발(150m 탑), 12킬로톤
프랭클린Franklin : 6월 2일 11시 55분, 네바다 실험장 3구역, 지상폭발(90m 탑), 140톤, 실패
래슨Lassen : 6월 5일 11시 45분,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0.5톤, 실패
윌슨Wilson : 6월 18일 11시 45분,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10킬로톤
프리실라Priscilla : 6월 24일 13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5구역, 공중폭발(210m 기구), 37킬로톤
(이 사진은 에너지성에서 프리실라라고 발표했지만 아무래도 핵포탄 실험인 업샷-낫홀 그레이블의 사진으로 추정됩니다. 아마 두 실험의 외형이 흡사해 혼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쿨롱-ACoulomb-A : 7월 1일 17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3h구역, 지면폭발, 0, 안전실험용
후드Hood : 7월 5일 11시 40분,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74킬로톤
디아블로Diablo : 7월 15일 11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2b구역, 지상폭발(150m 탑), 17킬로톤
존John : 7월 19일 14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10구역, 공중폭발(5,550m, 로켓), 1.7킬로톤, 지니 핵대공로켓의 W-25탄두 실험
케플러Kepler : 7월 24일 11시 50분, 네바다 실험장 4구역, 지상폭발(200m 탑), 10킬로톤
오언스Owens : 7월 25일 13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9b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9.7킬로톤
파스칼-APascal-A : 7월 26일 08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3j구역, 지중폭발(145m), 55톤, 안전실험용
스토크스Stokes : 8월 7일 12시 25분,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9킬로톤
새턴Saturn : 8월 10일 01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12c구역, 지중폭발(30m), 0, 안전실험용
샤스타Shasta : 8월 18일 12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2a구역, 지상폭발(150m 탑), 17킬로톤
도플러Doppler : 8월 23일 12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7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1킬로톤
파스칼-BPascal-B : 8월 27일 22시 35분, 네바다 실험장 3c구역, 지중폭발(150m), 0.3킬로톤, 안전실험용
프랭클린 프라임 : 8월 30일 12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225m 기구), 4.7킬로톤
스모키Smoky : 8월 31일 12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8구역, 지상폭발(210m 탑), 44킬로톤
스모키 실험에 사용된 210m 높이의 철탑
스모키의 화구
갈릴레오Galileo : 9월 2일 12시 40반, 네바다 실험장 1구역, 지상폭발(150), 탑, 11킬로톤
휠러Wheeler : 9월 6일 12시 45분,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197톤
쿨롱-BCoulomb-B : 9월 6일 20시 50분, 네바다 실험장 3g구역, 지면폭발, 0.3킬로톤, 안전실험용
라플라스Laplace : 9월 8일 13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225m 기구), 1킬로톤
피조Fizeau : 9월 14일 16시 45분, 네바다 실험장 3b구역, 지상폭발(500m) 11킬로톤
뉴턴Newton : 9월 16일 12시 50분,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2킬로톤
레이니어Rainier 9월 19일 16시 59분, 네바다 실험장 12구역, 지중폭발(270m)
휘트니Whitney 9월 23일 12시 30분, 네바다 실험장 2구역, 지상폭발(150m 탑), 19킬로톤
찰스턴Charleston : 9월 28일 13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9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2킬로톤, 2차 핵융합반응 실패
모건Morgan : 10월 7일 13시 00분, 네바다 실험장 9구역, 공중폭발(150m), 8킬로톤
프로젝트 57, 58, 58A (1957~1958, 5회) : 안전실험
하드택 I Hardtack I (1958, 35회) : 핵무장경쟁 가속화로 인한 대규모의 실전병기 실험
(실험 숫자가 너무 많아서 표기방식을 좀 바꾸겠습니다. 이름, 시행날짜, 위치, 폭발형식, 폭발고도, 위력입니다)
유카Yucca : 4월 28일, 에니웨톡 환초 북서쪽, 공중폭발(25,525m), 1.7킬로톤, 탄도탄 요격용 핵탑재 대공미사일 실험
캑터스Cactus : 5월 5일, 에니웨톡 환초, 지면폭발, 18킬로톤
피르Fir : 5월 11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1.3메가톤
버터넛Butternut : 5월 11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81킬로톤
코아Koa : 5월 12일, 에니웨톡 환초, 지면폭발, 1.3메가톤
와후Wahoo : 5월 16일, 에니웨톡 환초, 수중폭발(150m), 9킬로톤
홀리Holly : 5월 20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5.9킬로톤
넛멕Nutmeg : 5월 21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25킬로톤
옐로우드Yellowwood : 5월 26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330킬로톤, 실패
매그놀리아Magnolia : 5월 26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57킬로톤
토바코Tobacco : 5월 30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11.6킬로톤, 2단계 핵융합 실패
시커모어Sycamore : 5월 31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92킬로톤
로즈Rose : 6월 2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15킬로톤
엄브렐러Umbrella : 6월 8일, 에니웨톡 환초, 수중폭발(45m), 8킬로톤
메이플Maple : 6월 10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213킬로톤
아스펜Aspen : 6월 14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319킬로톤
월넛Walnut : 6월 14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1.45킬로톤
린든Linden : 6월 18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11킬로톤
레드우드Redwood : 6월 27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412킬로톤
엘더Elder : 6월 27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880킬로톤
오크Oak : 6월 28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8.9메가톤
히코리Hickory : 6월 30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14킬로톤
세쿼이아Sequoia : 7월 1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5.2킬로톤
세다Cedar : 7월 2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220킬로톤
도그우드Dogwood : 7월 5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397킬로톤
포플러Poplar : 7월 12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9.3메가톤
스캐볼라Scaevola : 7월 14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0, 안전실험
피소니아Pisonia : 7월 17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255킬로톤
주니퍼Juniper : 7월 22일, 비키니 환초, 수면폭발, 65킬로톤
올리브Olive : 7월 22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202킬로톤
파인Pine : 7월 26일, 에니웨톡 환초, 수면폭발, 2메가톤
티크Teak : 8월 1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75,600m, 레드스톤 로켓), 3.8메가톤
퀸스Quince : 8월 6일, 에니웨톡 환초, 지면폭발, 0, 실패
오렌지Orange : 8월 12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42,300m, 레드스톤 로켓), 3.8메가톤
피그Fig : 8월 18일, 에니웨톡 환초, 지면폭발, 0.02킬로톤
아거스Argus (1958년, 3회) : 미국의 지상핵실험 중 유일하게 비밀리에 진행된 실험. 극초고공의 대기권외에서의 핵폭발 효과에 대한 실험
X-17A 로켓
I : 8월 27일 02시 28분, 남태평양 남위 38.5도/서경 11.5도 지점, 공중폭발(160,000m, X-17A 로켓), 1.7킬로톤
II : 8월 30일 03시 18분, 남태평양 남위 49.5도/서경 8.2도 지점, 공중폭발(291,200m, X-17A 로켓), 1.7킬로톤
III : 9월 6일 22시 13분, 남태평양 남위 48.5도/서경 9.7도 지점, 공중폭발(745,600m, X-17A 로켓), 1.7킬로톤
하드택 II Hardtack II (1958년, 37회) : 하드택 I에 이은 대량 실험(실전탄두는 몇 없음)
오테로Otero : 9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3q구역, 지중폭발(144m), 0.038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베르날리오Bernalillo : 9월 17일, 네바다 실험장 3h구역, 지중폭발(136.8m), 0.015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에디Eddy : 9월 19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0.083킬로톤
루나Luna : 9월 21일, 네바다 실험장 3m구역, 지중폭발(145.2m), 0.0015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머큐리Mercury : 9월 23일, 네바다 실험장 12f구역, 지중폭발(54.9m), 불명, 안전실험, 성공으로 인정
발렌시아Valencia : 9월 26일, 네바다 실험장 3r구역, 지중폭발(145.2m), 0.002킬로톤, 안전실험, 성공으로 인정
마르스Mars : 9월 28일, 네바다 실험장 12f구역, 지중폭발(42m), 0.013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모라Mora : 9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2킬로톤, 실패
히달고Hidalgo : 10월 5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113.1m 기구), 0.077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콜팩스Colfax : 10월 5일, 네바다 실험장 3k구역, 지중폭발(105m), 0.0055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타말파이어스Tamalpais : 10월 8일, 네바다 실험장 12b구역, 지중폭발(122.1m), 0.072킬로톤, 안전실험
퀘이Quay : 10월 10일, 네바다 실험장 7c구역, 지상폭발(30m 탑), 0.079킬로톤, 병기디자인 실험
레이Lea : 10월 13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4킬로톤, 실패
넵튠Neptune : 10월 14일, 네바다 실험장 12c구역, 지중폭발(33m), 0.115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해밀턴Hamilton : 10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5구역, 지상폭발(15m 탑) 0.0012킬로톤, 실패, 소형핵탄두 데이비 크로켓의 프로토타입
로건Logan : 10월 16일, 네바다 실험장 12e구역, 지중폭발(279.6m), 5킬로톤
도나 아나Dona Ana : 10월 16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135m 기구), 0.037킬로톤
베스타Vesta : 10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9e구역, 지면폭발 0 0.024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리오 아리바Rio Arriba : 10월 18일, 네바다 실험장 3s구역, 지상폭발(21.75m 탑) 0.090킬로톤
산 후안San Juan : 10월 20일, 네바다 실험장 3p구역, 지중폭발(70.2m), 0, 안전실험
소코로Socorro : 10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35m 기구), 6킬로톤
랭겔Wrangell : 10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5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0.115킬로톤, 실패
오베론Oberon : 10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8a구역, 지상폭발(7.5m 탑) 0, 안전실험
러시모어Rushmore : 10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공중폭발(150m 기구), 0.188킬로톤, 실패
캐트런Catron : 10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3t구역, 지상폭발(21.75m 탑) 0.021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유노Juno : 10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9f구역, 지면폭발 0 0.0017킬로톤, 로건 테스트의 한계안전도 실험
세레스Ceres : 10월 26일, 네바다 실험장 8b구역, 지상폭발(7.5m 탑) 0.0007킬로톤, 안전실험
샌포드Sanford : 10월 26일, 네바다 실험장 5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4.9킬로톤
데 바카De Baca : 10월 26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2.2킬로톤
차베즈Chavez : 10월 27일, 네바다 실험장 3u구역, 지상폭발(15.75m 탑) 0.0006킬로톤, 안전실험, 실패
에반스Evans : 10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12b구역, 지중폭발(255.6m), 0.055킬로톤, 실패
마자마Mazama : 10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9구역, 지상폭발(15m 탑) 0, 실패,
험보트Humbodt : 10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3v구역, 지상폭발(7.5m 탑) 0.0078킬로톤
산타 페Santa Fe : 10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7b구역, 공중폭발(450m 기구), 1.3킬로톤
가니메데Ganymede : 10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9g구역, 지면폭발, 0, 안전실험
블랑카Blanca : 10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12e구역, 지중폭발(296.1m), 22킬로톤
티타니아Titania : 10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8c구역, 지상폭발(7.5m 탑) 0.0002킬로톤, 안전실험, 성공으로 인정
누가Nougat (1961~62년, 32회) : 소련의 핵실험 유예선언 철회에 따른 연속적 실험. 모두 지중폭발
앤틀러Antler 9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12e구역, 지중폭발(395m), 2.6킬로톤
슈루Shrew 9월 16일, 네바다 실험장 3ac구역, 지중폭발(96m), 0.017킬로톤
부머Boomer 10월 1일, 네바다 실험장 3aa구역, 지중폭발(99m), 0.1킬로톤 미만
치나Chena 10월 10일, 네바다 실험장 12b구역, 지중폭발(251m), 20킬로톤 미만
밍크Mink 10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3ae구역, 지중폭발(189m), 20킬로톤 미만, 실패
피셔Fisher 12월 3일, 네바다 실험장 3ah구역, 지중폭발(357m), 13.4킬로톤
노움Gnome 12월 10일 뉴멕시코주 칼스배드, 지중폭발(355m), 3.1킬로톤
매드Mad 12월 13일, 네바다 실험장 9a구역, 지중폭발(178m), 0.5킬로톤
링테일Ringtail 12월 17일, 네바다 실험장 3ak구역, 지중폭발(357m), 20킬로톤 미만
페더Feather 12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12b구역, 지중폭발(243m), 0.15킬로톤
스토우트Stoat 1월 9일, 네바다 실험장 3ap구역, 지중폭발(297m), 5.1킬로톤
아구티Agouti 1월 18일, 네바다 실험장 3ao구역, 지중폭발(256m), 6.4킬로톤
더마우스Dormouse 1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3aq구역, 지중폭발(357m), 20킬로톤 미만
스틸워터Stillwater 2월 8일, 네바다 실험장 9c구역, 지중폭발(178m), 3.07킬로톤
아르마딜로Armadillo 2월 9일, 네바다 실험장 3ar구역, 지중폭발(235m), 7.1킬로톤
하드햇Hardhat 2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15a구역, 지중폭발(282m), 5.7킬로톤
친칠라Chinchilla I 2월 19일, 네바다 실험장 3ag구역, 지중폭발(147m), 1.9킬로톤
코드소Codsaw 2월 19일, 네바다 실험장 9g구역, 지중폭발(208m), 20킬로톤 미만
시마론Cimarron 2월 23일, 네바다 실험장 9h구역, 지중폭발(300m), 11.9킬로톤
플라티푸스Platypus 2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3ad구역, 지중폭발(57m), 20킬로톤 미만
팜파스Pampas 3월 1일, 네바다 실험장 3al구역, 지중폭발(357m), 9.5킬로톤
대니 보이Danny Boy 3월 5일, 네바다 실험장 18구역, 지중폭발(33m), 0.43킬로톤
어민Ermine 3월 16일, 네바다 실험장 3ab구역, 지중폭발(72m) 20킬로톤 미만
브라조스Brazos 3월 8일, 네바다 실험장 9b구역, 지중폭발(252m) 8.4킬로톤
호그노즈Hognose 3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3ai구역, 지중폭발(235m) 20킬로톤 미만
후사크Hoosic 3월 28일, 네바다 실험장 9j구역, 지중폭발(184m), 3.4킬로톤
친칠라 II Chinchilla II 3월 31일, 네바다 실험장 3as구역, 지중폭발(134m), 20킬로톤 미만
더마우스 프라임Dormouse Prime 4월 5일, 네바다 실험장 3az구역, 지중폭발(256m), 10.6킬로톤
퍼세익Passaic 4월 6일, 네바다 실험장 9i구역, 지중폭발(229m), 20킬로톤 미만
허드슨Hudson 4월 12일 , 네바다 실험장 9h구역, 지중폭발(148m), 20킬로톤 미만
플래이트Platte 4월 14일 , 네바다 실험장 12k구역, 지중폭발(188m), 1.85킬로톤, 실패
데드Dead 4월 21일 , 네바다 실험장 9k구역, 지중폭발(190m), 20킬로톤 미만
블랙Black 4월 27일 , 네바다 실험장 9p구역, 지중폭발(214m), 20킬로톤 미만
파카Paca 5월 7일 , 네바다 실험장 3ax구역, 지중폭발(254m), 20킬로톤 미만
아리카리Arikaree 5월 10일, 네바다 실험장구역, 지중폭발(164m), 20킬로톤 미만
아드바크Aardvark 5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3구역, 지중폭발(427m), 40킬로톤
일Eel 5월 19일, 네바다 실험장 9m구역, 지중폭발(214m), 4.9킬로톤
화이트White 5월 25일, 네바다 실험장 9b구역, 지중폭발(190m), 20킬로톤 미만
래쿤Racoon 6월 1일, 네바다 실험장 3a구역, 지중폭발(161m), 20킬로톤 미만
팩랫Packrat 6월 6일, 네바다 실험장 3aw구역, 지중폭발(258m), 20킬로톤 미만
디 모인Des Moines 6월 13일, 네바다 실험장 12j구역, 지중폭발(198m), 2.9킬로톤
다만Daman I 6월 21일, 네바다 실험장 3be구역, 지중폭발(256m), 20킬로톤 미만
헤이메이커Haymaker 6월 27일, 네바다 실험장 3aus구역, 지중폭발(402m), 67킬로톤
마시맬로Marshmallow 6월 28일, 네바다 실험장 16a구역, 지중폭발(315m), 20킬로톤 미만
새크라멘토Sacramento 6월 30일, 네바다 실험장 9v구역, 지중폭발(150m), 20킬로톤 미만
도미닉Dominic (1962년, 36회) : 누가 프로젝트가 저위력 지중핵실험 위주였던 데 비해 고위력, B-52 투하에 의한 공중핵폭발 위주의 실험을 실시. 토르 로켓을 이용한 고공핵폭발 실험 프로젝트인 피시볼Fishbowl도 도미닉의 일환으로 수행됨
어도비Adobe : 4월 25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870m), 190킬로톤
아즈텍Aztec : 4월 27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783m), 410킬로톤
아칸소Arkansas : 4월 27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1,509m), 1메가톤
퀘스타Questa : 5월 2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1,569m), 670킬로톤
프리깃 버드Frigate Bird : 5월 6일, 존스턴 환초, SLBM 공중폭발(3,300m), 600킬로톤
잠망경으로 본 프리깃 버드의 폭발장면
프리깃 버드에 사용된 폴라리스 A1 SLBM을 발사한 전략원잠 USS 이선 앨런
유콘Yukon : 5월 8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864m), 100킬로톤
메실라Mesilla : 5월 9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735m), 100킬로톤
머스키곤Muskegon : 5월 11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899m), 50킬로톤
소드피시Swordfish : 5월 11일 샌디에이고 서부 740킬로미터 지점, 수중폭발(195m), 20킬로톤 미만, 아스록ASROC 대잠핵로켓 실험
아스록의 발사장면
소드피시의 폭발
엔치노Encino : 5월 12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1,653m), 500킬로톤
스와니Swanee : 5월 14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882m), 97킬로톤
쳇코Chetco : 5월 19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072m), 73킬로톤
타나나Tanana : 5월 25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709m), 2.6킬로톤, 실패
남베Nambe 5월 27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142m), 43킬로톤
알마Alma : 6월 8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660 m),782킬로톤
트럭키Truckee : 6월 9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091m), 210킬로톤
예소Yeso : 6월 10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498m), 3메가톤
할렘Harlem : 6월 12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4,094m), 1.2메가톤
린코나다Rinconada : 6월 15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732m), 800킬로톤
덜시Dulce : 6월 17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727m), 52킬로톤
쁘띠Petit : 6월 19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4,499m), 2.2킬로톤, 실패
오토위Otowi : 6월 22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2,703m), 81.5킬로톤
빅혼Bighorn : 6월 27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3,543m), 7.6메가톤
블루스톤Bluestone : 6월 30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1,494m), 1.2메가톤
스타피시 프라임Starfish Prime : 7월 9일, 존스턴 환초, 미사일 고공폭발(396,800m), 1.4메가톤
선셋Sunset : 7월 10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1,500m), 1메가톤
팜리코Pamlico : 7월 11일, 크리스마스 섬, 공중폭발(4,299m), 3.8메가톤
안드로스코긴Androscoggin : 10월 2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3,078m), 75킬로톤, 실패
범핑Bumping : 10월 6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3,000m), 11.3킬로톤
샤마Chama : 10월 18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3,591m), 1.5메가톤
체크메이트Checkmate : 10월 20일, 존스턴 환초, 미사일 고공폭발(144,900m), 저위력
블루길 트리플 프라임Bluegill Triple Prime : 10월 26일, 존스턴 환초, 미사일 고공폭발(48,000m), 1메가톤 미만
캘러미티Calamity : 10월 27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3,534m), 800킬로톤
후사토닉Housatonic : 10월 30일, 존스턴 환초, 공중폭발(3,639m), 8.3메가톤
킹피시Kingfish : 11월 1일, 존스턴 환초, 미사일 고공폭발(96,000m), 1메가톤 미만
타이트로프Tightrope : 11월 4일, 존스턴 환초, 미사일 고공폭발(20,700m), 저위력
스터랙스Storax (1962~63, 48회) : 미국의 마지막 대기권내 핵실험 프로젝트. 소규모 프로젝트인 선빔Sunbeam과 롤러 코스터Roller Coaster와 함께 실행됨
[스터랙스]
세단Sedan : 62년 7월 6일, 네바다 실험장 10h구역, 지중폭발(190.5m), 104킬로톤, 비군사적 목적으로 핵무기를 굴착 등의 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가를 분석한 실험
세단의 폭발
폭발로 생긴 거대 크레이터
세단 크레이터의 현재 모습. 관광지로 개방되어 있습니다.
메리맥Merrimac : 7월 13일, 네바다 실험장 3bd구역, 지중폭발(407m), 20-200킬로톤
위치타Wichita : 7월 27일, 네바다 실험장 9y구역, 지중폭발(147.9m), 20킬로톤 미만
요크York : 8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9z구역, 지중폭발(223.2m), 20킬로톤 미만
보백Bobac : 8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3bl구역, 지중폭발(202.8m), 20킬로톤 미만
래리턴Raritan : 9월 6일, 네바다 실험장 9u구역, 지중폭발(157.5m), 20킬로톤 미만
하이랙스Hyrax : 9월 14일, 네바다 실험장 3bh구역, 지중폭발(213.3m), 20킬로톤 미만
페버Peba : 9월 20일, 네바다 실험장 3bb구역, 지중폭발(237.6m), 20킬로톤 미만
앨러게니Allegheny : 9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9x구역, 지중폭발(207.6m), 20킬로톤 미만
미시시피Mississippi : 10월 5일, 네바다 실험장 9ad구역, 지중폭발(487m), 115킬로톤
로어노크Roanoke : 10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9q구역, 지중폭발(153m), 20킬로톤 미만
울버린Wolverine : 10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3av구역, 지중폭발(75m), 20킬로톤 미만
타이오가Tioga : 10월 18일, 네바다 실험장 9f구역, 지중폭발(60m), 20킬로톤 미만
밴디쿳Bandicoot : 10월 19일, 네바다 실험장 3bj구역, 지중폭발(237.6m), 12.5킬로톤
샌티Santee : 10월 27일, 네바다 실험장 10구역, 지중폭발(314m), 20킬로톤 미만
세인트로렌스St.Lawrence : 11월 9일, 네바다 실험장 2b구역, 지중폭발(165m), 20킬로톤 미만
건디Gundi : 11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3bm구역, 지중폭발(240m), 20킬로톤 미만
아나코스티아Anacostia : 11월 27일, 네바다 실험장 9i구역, 지중폭발(224.1m), 20킬로톤 미만
톤턴Taunton : 12월 4일, 네바다 실험장 9aa구역, 지중폭발(225m), 20킬로톤 미만
텐드랙Tendrac : 12월 7일, 네바다 실험장 3ba구역, 지중폭발(297.9m), 20킬로톤 미만
매디슨Madison : 12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12g구역, 지중폭발(396m), 20킬로톤 미만
넘뱃Numbat : 12월 12일, 네바다 실험장 3bu구역, 지중폭발(228.3m), 20킬로톤 미만
매너티Manatee : 12월 14일, 네바다 실험장 9af구역, 지중폭발(60m), 20킬로톤 미만
카셀만Casselman : 63년 2월 8일, 네바다 실험장 10g구역, 지중폭발(298.2m), 20킬로톤 미만
어쿠시Acushi : 2월 8일, 네바다 실험장 3bg구역, 지중폭발(256.8m), 20킬로톤 미만
페렛Ferret : 2월 8일, 네바다 실험장 3bf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해치Hatchie : 2월 8일, 네바다 실험장 9e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칩멍크Chipmunk : 2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3ay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카웨아Kaweah : 2월 21일, 네바다 실험장 9ab구역, 지중폭발(223.5m), 20킬로톤 미만
캐멀Carmel : 2월 21일, 네바다 실험장 2h구역, 지중폭발(160.8m), 20킬로톤 미만
제르보아Jerboa : 3월 1일, 네바다 실험장 3at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토야Toyah : 3월 15일, 네바다 실험장 9ac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게르빌Gerbil : 3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3bp구역, 지중폭발(275.1m), 20킬로톤 미만
페렛 프라임Ferret Prime : 4월 5일, 네바다 실험장 3by구역, 지중폭발(237.9m), 20킬로톤 미만
코이푸Coypu : 4월 10일, 네바다 실험장 3af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컴벌랜드Cumberland : 4월 11일, 네바다 실험장 2e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쿠터내이Kootanai : 4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9w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파이서노Paisano : 4월 24일, 네바다 실험장 9wi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건디 프라임Gundi Prime : 5월 9일, 네바다 실험장 3db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하키Harkee : 5월 17일, 네바다 실험장 3bv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테존Tejon : 5월 17일, 네바다 실험장 3cg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스톤즈Stones : 5월 22일, 네바다 실험장 9ae구역, 지중폭발(387m), 20-200킬로톤
플레전트Pleasant : 5월 29일, 네바다 실험장 9ah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유바Yuba : 6월 5일, 네바다 실험장 12b구역, 지중폭발(238.8m), 3.1킬로톤
후티아Hutia : 6월 6일, 네바다 실험장 3bc구역, 지중폭발(132.6m), 20킬로톤 미만
압샤파Apshapa : 6월 6일, 네바다 실험장 9ai구역, 지중폭발(깊이 불명), 20킬로톤 미만
매터코Mataco : 6월 14일, 네바다 실험장 3bk구역, 지중폭발(192.6m), 20킬로톤 미만
켄네벡Kennebec : 6월 25일, 네바다 실험장 2af구역, 지중폭발(222m), 20킬로톤 미만
[선빔]
리틀 펠러 II Little Feller II : 62년 7월 7일, 네바다 실험장 18구역, 지면폭발, 0.006킬로톤, 초소형 핵무반동포 데이비 크로켓 실험
전술핵무반동포 데이비 크로켓
자니 보이Johnnie Boy : 7월 11일, 네바다 실험장 18구역, 지면폭발, 0.15킬로톤
스몰 보이Small Boy : 7월 14일, 네바다 실험장 5구역, 지면폭발, 0.49킬로톤
리틀 펠러 I Little Feller I : 7월 17일, 네바다 실험장 18구역, 지면폭발, 0.005킬로톤, 데이비 크로켓 2차 시험
[롤러 코스터]
더블 트랙스Double Tracks : 62년 5월 15일, 넬리스 공군연습장, 핵물질 보관/운송 안전실험
클린 슬레이트 I Clean Slate I : 5월 25일, 넬리스 공군연습장, 핵물질 보관/운송 안전실험
클린 슬레이트 II Clean Slate II : 5월 31일, 넬리스 공군연습장, 핵물질 보관/운송 안전실험
클린 슬레이트 III Clean Slate III : 6월 9일, 넬리스 공군연습장, 핵물질 보관/운송 안전실험
1963년 8월 5일 부분핵실험금지조약에 의해 가맹국의 대기권내, 대기권외, 수중에서의 핵실험이 금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이후 모든 핵실험을 지중에서 실행했고, 이는 1992년의 마지막 핵실험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이후 미국은 핵실험을 전면 중단하였습니다.
63~92년 사이 실시된 미국의 지중핵실험 숫자는 800회 이상으로 별 특별한 내용도 없는 데다가 여기 싣기에는 너무 많아서 잘라냈습니다.
[출처] 미국의 20세기 핵실험 장면들 III (1957~1963) |작성자 노노봉
출처: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r7820&logNo=120051603516
첫댓글 지구가 멀쩡하길 바란다는게 웃긴 일이네요
핵실험이 이상기온/기후, 지진, 지구자기장 약화등에 영향이 없다곤 할 수 없겠어요
좀비가 나타나도 전혀 이상 하지않을 지구입니다. 핵방사선이나 방사능물질 직접 피폭 또는 음식을 통해 간접
피폭되어 암 질병이 발생되었을때 치료가 불가능한것도 당연하겠어요
피폭으로 암발생했는데 거기다 방사선 치료를 하면 누가 살아남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