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례절차>
1. 재계(齋戒):근신하고 목욕재계하며 안팎을 깨끗이 청소한다.
2. 설위·진기(設位·陳器):차례 지낼 곳의 위치를 정하고 기구를 배설한다.
3. 수축(修祝):평소에 신주가 안 계시면 지방으로, 축문을 읽을 예정이면 축문을 쓴다
4. 척기·구찬(滌器·具饌):제기를 닦고 제수를 마련해서 큰 상에 차린다.
5. 변복취위(變服就位):자손들이 옷을 챙겨 입고 정한 위치에 선다.
6. 설소과주찬(設蔬果酒饌):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먼저 차린다.
7. 신위봉안(神位奉安):웃대부터 차례로 교의 위에 신위를 모신다.
8. 분향(焚香):제주가 읍하고 끓어 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재배한다.
9. 강신(降神):제주가 읍하고 끓어 안자 집사가 강신잔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사기에 세 번 나누어 모두 지우고 재배한다.
10. 참신(參神):제주를 비롯한 모든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한다.
11. 진찬(進饌):적과 함께 식어서는 안될 모든 제수를 웃대 제상부터 차례로 올린다.
12. 헌작·유식(獻爵·侑食):제주가 주전자를 들어 웃대 고위의 잔부터 아랫대 비위의 잔까지 차례로 다르고 주부는 웃대 고위부터 아랫대 비위까지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13. 낙시저(落匙著):7~8분가 조용히 시립해 서 있다가 주부가 웃대 고위부터 차례로 숟가락을 뽑고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담는다.
14. 사신(辭神):모든 자손이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한다.
15. 납주(納主)신위를 원래 자리로 모신다. 지방이 있으면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고, 축문을 읽었으면 축문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16. 철찬(撤饌):제례음식을 제상에서 내린다.
17. 음복(飮福):자손들이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유덕을 기린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 차리는 법
자 그럼 이제 본격 적으로 차례상 차리는 법을 배워보도록 해요~ㅎ
일단 차례상은 5열 상차림에, 홀수로 배열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차례상은 제주가 상을 보고있는 위치에서 왼쪽이 서쪽이며 오른쪽이 동쪽입니다~
1,2,3,4,5열 의 배열은 위 그림에 다 나와있으니 궂이 따로 설명은 드리지 않겠구요~
'차례상 차리는 법 그림' 에나와있지 않은 설명을 추가로 해드리겠습니다~
시접거중이라 하여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 앞 중앙에 놓아야 합니다.
반서갱동이라 하여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아야 합니다.
배복방향이라 하여 닭구이와 생선포는 등쪽이 위를 향하도록 놓습니다.
면서병동이라 하여 국수는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습니다.
그리구 마지막으로 과일,생선,산적수는 1,3,5,홀수로 놓습니다.
tip 차례상 차리는 법에서 유의 할 점.
1.복숭아나 삼치,갈치,꽁치 등의 이름 끝에 '치' 자가 들어가는 것은 쓰지 않습니다.
2.고추가루를 넣거나 마늘 양념을 하지 않습니다.
기차례 지내는 순서.

현고학생.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