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명:표고] [백화고][흑화고][동고][향고][향신]
● 사 용 : 식용(인공재배)
● 학 명 :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 종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절편버섯과, 표고버섯속.
●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뉴질랜드.
● 숙주목 :
봄~가을에 연2회 활엽수(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죽은줄기나 그루터기에 홀로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발생하며, 깊은 산속에서 볼 수 있다.
● 형 태 :
균모의 지름은 4~10cm, 20cm 그 이상인 것도 있다. 둥근산모양에서 편평하게 되며, 때때로 깔때기모양이며, 심하게 갈라져 인편상 또는 거북상이다. 표면은 건조하거나 약간 습기를 품으며, 다갈색 또는 흑갈색내지는 연한갈색이다.
전체가 백색내지는 연한갈색의 면모상의 인편을 부착하지만 나중에 소멸하여 불분명하게 된다. 균모의 하면은 면모상 막질의 피막으로 덮여있지만 피막은 파괴되어 가장자리에 부착한다. 자루에 불완전한 턱받이가 있지만 탈락하기 쉽다.
살은 치밀하고 탄력성이고 질기며, 백색으로 건조하면 특유의 강한 냄새가 난다. 가장자리는 강하게 아래로 말린다. 주름살은 홈파진 또는 올린주름살로 밀생되고 백색이지만 때때로 갈색의 얼룩을 만든다. 주름살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성숙하면 물결형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3~5cm, 굵기는 1~2cm로 원주형이고 기부쪽으로 가늘어지며, 한쪽으로 굽어진 것도 있다. 턱받이 위는 백색이고 아래쪽은 백색 또는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다. 포자는 5~6.5×3~3.5㎛로 좁은 타원형 또는 난원상의 타원형이다. 담자기는 25~30×5~70㎛로 4-포자성이다.
● 참조 :
재배용 표고버섯은 갓의 색깔과 개화정도에 따라 5등급으로 분류되며, 상품기준도 정해져 있다.
-. 갓의 색깔에 따른 분류 : 1.백화고, 2.흑화고.
-. 갓의 개화정도에 따른 분류 : 3.동고, 4.향고, 5.향신.
<상품등급기준>
-. 생표고 : 1.백화고, 2.특품, 3.상품, 4.중품, 5.하품.
-. 건표고 : 1.백화고, 2.흑화고, 3.동고, 4.슬라이스, 5.표고분말.
가장 많이 식용하며, 아름다운 버섯이다.
● 효능 :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값도 싸서 우리식탁에 자주 오르며,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명약이라 알려졌을 만큼 영양이 풍부하다. "동의보감"과"본초강목"에서는 "기를 강하게하고 허기를 느끼지 않게하여 풍을 고치고 혈액순환을 돕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피를 맑게하고 식욕을 돋워주는 효과도 있는데, 돼지고기 요리에 같이 넣으면 흡수가 더 잘된다.
또한 표고버섯에 들어있는 레티난은 강력한 항암물질로 면역체계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암뿐만아니라 감기같은 바이러스질병과 고혈압, 당뇨에도 효과가 있다. 햇볕에 말린 표고버섯은 생표고버섯보다 2배정도 영양이 많은데, 특히 칼슘흡수를 돕는 비타민D가 많아 이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재배용 표고버섯]
<백화고>
[재배용 표고버섯]
<백화고>
<동고>
<향고>
<향신>
#출처:♥모바일-야생버섯백과♥
#출처:오리지날산약초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