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슐랭 스타를 받았다는 것은 경쟁이 치열하기로 악명 높은 레스토랑 업계에서 부러워할 만한 위치처럼 들린다. 하지만 틀렸다. 2019년 말까지 이 레스토랑 중 40%가 영원히 문을 닫았다. 실제로 권위 있는 미슐랭 스타를 받은 레스토랑은 그렇지 않은 레스토랑보다 문을 닫을 확률이 더 높았다. 이 현상에 대해 이코노미스트는 이렇게 설명했다.
미슐랭 스타는 홍보 효과를 높인다. 연구에 따르면, 새로 스타를 받은 레스토랑의 경우 구글 검색 강도가 3분의 1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명성에는 대가가 따른다.
첫째, 레스토랑의 고객이 바뀐다. 각광을 받으면 레스토랑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멀리서도 관광객이 찾아온다. 고객의 더 큰 요구를 충족하려면 새로운 비용이 발생한다.
둘째, 이 상은 레스토랑의 등에 별 모양의 표적을 달아준다. 식재료 공급업체나 건물주 등 레스토랑과 거래하는 업체는 이 기회를 이용해 더 많은 비용을 청구한다. 셰프들 역시 자신의 급여에 이 영예가 반영되기를 원한다. 경쟁업체에 의해 침범될 가능성도 더 높아진다.
이는 결국 기본적으로 로또 당첨자가 파산할 가능성이 높은 것과 같은 이유로 이어진다. 성공은 축복이자 저주가 될 수 있다. 30~40년에 걸쳐 성실하게 돈을 저축하는 사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리지만 확실하게 자신이 축적한 부에 적응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러나 하룻밤 사이에 성공하고 부자가 되는 것은 심리적으로 몰아세워질 수 있다. 사람 자체는 같은 사람이지만, 즉각적인 부와 함께 새로운 압박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3.
명성이나 경제적 변동성 역시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월스트리트 저널은 물가 상승률이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물가 수준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
펜실베이니아주 도일스타운에 사는 54세의 엔지니어인 마릴린 황은 “적응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많은 미국인과 마찬가지로 황의 급여는 2020년 이후 인상되었다. 황과 그녀의 파트너는 여행에 계속해서 돈을 썼고, 심지어 외식의 횟수는 늘어났다. 하지만 그녀도 최근의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늘어났다고 털어놨다.
“평생을 안정적인 물가로 살았잖아요. 정신적으로 힘들죠.”
물론 물가가 안정적이었던 적은 없었다. 다만 2020년대의 인플레이션은 사람들에게 익숙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압축적인 방식으로 발생했다.
2010년대의 누적 인플레이션은 19%로, 2020년대의 누적 인플레이션과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2020년대의 인플레이션은 급격하게 진행되어 사람들이 새로운 물가에 서서히 익숙해질 시간을 주지 않다.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의 누적 인플레이션은 각각 64%, 34%, 28%였다. 물가는 거의 항상 상승한다. 때로는 다른 때보다 더 빨리 오를 때도 있다. 물가 상승이 많은 가정이 재정적으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큰 고통을 주는 이유는, 우리가 이렇게 단기간 동안 벌어지는 경제 변동성에 익숙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격변의 시기를 견디는 것은 결코 즐거운 일이 아니다. 좋은 소식은 이 시기를 통해 마음의 근육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근육은 다음번 경제 변동성이 나타날 때 더 많은 사람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원문: 피우스의 책도둑&
|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