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은 몇가지만 보완하면 장수식단인 지중해식이나
오키나와식에 못지 않은 건강식이자 장수식이다.
◇ 한식의 장점
① 주식이 밀가루가 아닌 밥이다.
밥은 분식에 비해 소화가 잘 되고 당지수가 낮아 포만감을
오래 느끼게 하며 인슐린이 급격히 분비되지 않게 한다.
현미밥 콩밥, 잡곡밥은 쌀밥보다 영양이 풍부하고 섬유소가
많으며 당지수가 낮아 더 좋다.

② 양념들이 노화방지식품이다.
마늘 고추 고추장 된장 간장 등 양념들도 노화방지 성분이 풍부
건강장수에 좋은 식단이 되게 한다.

③ 다양한 채소를 풍부하게 먹을 수 있다.
배추, 무 시금치 콩나물 가지 호박 버섯 등 야채와 산나물은
노화를 막는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 소화를 돕고 변비를 해소.

④ 발효식품이 많다.
김치·깍두기 절임류 간장·된장·고추장·청국장 등과 젓갈 등
수산물, 막걸리 식초 등은 대표적 발효식품이다.
발효식품은 장을 깨끗이 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를 돕고
배설을 쉽게대장암 예방의 건강에 좋다.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어 면역력을 강하게코로나 바이러스에
잘 대처하게 한다.

⑤ 고기를 삶아 먹는다.
수육 편육 백숙 찌거나 삶는 육류 조리법을 개발. 오키나와의
돼지고기 조리법. 지방을 적게 성인병 인자를 줄여준다.
출처=조선일보
◇ 한식의 단점
① 짜고 맵게 먹는다.
소금이 많이 들어가 짜고, 고춧가루 맵게 먹는 데 익숙 건강에 해롭고,
위장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② 국물문화다.
국, 찌개 설렁탕, 곰탕, 매운탕, 육개장 전골 칼국수 냉면 등
모두 국물음식이다.
문제는 소금 간장으로 간을 맞추는데 국물량이 많다보니
염분 섭취량이 많아진다.
고혈압 뇌졸중 발생이 높은 것은 염분 섭취가 많기 때문이다.
염분은 김치 젓갈 청국장 등 많이 섭취한다.
설렁탕, 곰탕 등 진하게 우려낸 국물에는 지방도 많아서
동맥경화와 비만 위험성도 높여준다.

③ 채소를 푹 삶아 익혀 먹는다.
채소는 날로 먹는 것이 좋고, 살짝만 익혀 먹는 것이 좋다.
오래 익히면 비타민 영양성분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④ 육식은 지방 위주... 부족한 단백질
가장 즐겨 먹는 소갈비, 꽃등심, 돼지고기 삼겹살. 모두
지방이 많아 부드럽고 맛이 있다.
하지만 노화방비 건강, 다이어트의 측면에서 지방이 많은
고기를 먹는 것은 좋지 않다.
단백질은 1g당 4kcal의 열량을, 지방은 1g당 9kal의 열량을
내므로 찌고 동물성 지방은 몸에 좋지 않다.
맛은 덜하지만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많은 살코기 섭취를
권장한다.
단백질은 더 먹어야 한다. 서양인들은 고기 유제품가 많아
육류를 줄여야 하지만 우리는 섭취량이 적다.
세계적인 장수지역은 야채, 과일과 함께 생선, 육류 등
단백질 섭취가 많다.

⑤ 과식문화
후한 인심 체면 때문에 푸짐한 상차림이 나온다. 주인은 많이
권하고 손님은 잘 먹어주는 것이 예의 과식.
음식을 여러 사람이 함께 먹는 문화 술까지 이래저래
음식을 많이 먹게 된다.
◇ 보완할 점
① 음식을 짜고 맵지 않게, 싱겁게 만든다.
② 밥, 국수 등 탄수화물을 더 줄인다.
③ 지방이 적은 살코기를 먹는다.
④ 고기를 직접 불에 구워먹는 것은 발암 가능성 있다.

⑤ 콩, 생선, 무지방 우유, 요구르트 섭취 단백질을 보충.
⑥ 채소는 푹 익히지 않고 날로 먹거나 살짝 데처 먹는다.
⑦ 소식한다. 
경음악 - 울어라 열풍아
카페 게시글
게시판
한식의 장 단점
반석 이영석
추천 1
조회 2,465
20.10.20 07:52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