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자연꿀동호회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푸르미
    2. 보름달(포항)
    3. 복받은자 ㆍ무주군
    4. 카사
    5. 이두 고흥
    1. 앞모텡이
    2. 호박꿀
    3. 봉이(부천)
    4. 양봉(고양)
    5. 푸른날개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풀비
    2. 전성원
    3. 강가는데로
    4. 마음스케치
    5. 김교장
    1. 샘샘
    2. 본듯한
    3. 꿀벌과의 대화
    4. 하늘땅벌땅 (김포..
    5. bees
 
카페 게시글
국토 밀원화 운동 seedman에서 제시한 꿀벌을 위한 식물 (추가 번역)
비하이브 추천 0 조회 183 14.12.01 03:28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14.12.01 06:33

    첫댓글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쉬나무가 번쩍 뜨입니다.
    발아도 쉽고 잘 자라는 우리의 토종식물인데 왜 많이 보급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스카보르의 추억 속에 나오는 꽃들이 등장하여 더욱 친근감을 줍니다.
    우리의 십대밀원식물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14.12.01 07:01

    자료 감사 합니다.
    시간이 약이군요.

  • 14.12.01 09:04

    seedman.com 즐겨찾기에 올려놓았읍니다
    감사합니다
    쉬나무 2년생이면 키큰사람보더 더자람니다
    명년에 5년생이 되는데 꽃을 피울련지 모르겠읍니다

  • 작성자 14.12.01 12:20

    @왕서방 혹시 그 방법을 사진으로 보여주실 수 있습니까?

  • 작성자 14.12.01 12:30

    @왕서방 상처가 나지 않게 튜브로 둘러주고 그위에 철사로 단단히 감는군요. 대개 수피로 뿌리에서 나뭇잎으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나무 성장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지요?

  • 작성자 14.12.01 12:32

    @왕서방 무화과나 감나무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요?

  • 작성자 14.12.01 13:11

    @왕서방 잘 이해됩니다. 그런데 왜성화가 무슨 뜻입니까? 혹시 키를 외소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말씀이신지요? 왜성화가 dwarfing 즉 난장이로 만든다는 말이군요. 인터넷 검색을 했습니다

  • 작성자 14.12.01 13:31

    @왕서방 좋은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감나무와 같은 유실수가 해거리를 하는 것은 영양 문제 때문입니까?

  • 14.12.01 22:01

    @왕서방 이론으로 수간과 수간이 중첩되지 안케해 식재거리를 두는데 튜립나무의 경우 크기가 반정도로 작아집니다 20~25m인데 한그루 심을곳에 네그루를 심어서 꽃의 숫자를 확보하나 뿌리의 깊이가 깊지않아서 다량의 미량요소를 일시에 큰 뿌리에서 흡수 하지 안아서 해거름의 현상을 완화한다는 이론입니다. 키가크고 만은 꿀이 생산되는 나무는 일반적으로 해거름이 심할수밖에 없씀니다 그래서 키를 절반으로 줄이고 거리간격으로 2배심으니 면적당 4배를 심어서 균일하고 흉풍의 영향이 적은 방법으로 왜성화와 베게심는 방법을 모색하는것 입니다 . 왜화 처리는 화예원예의 포인세티아의 왜화처리 3회처리하는방법을 준용 왜화처리해서

  • 작성자 14.12.01 21:56

    @왕서방 어렵네요. 다시 한 번 읽어봐야 겠습니다

  • 14.12.01 22:04

    @비하이브 이것이 실험으로 입증되면 적어도 꿀생산을 30%이상 끌어 올릴수 있는 값진 연구 과제 입니다.

  • 작성자 14.12.01 22:31

    @왕서방 땅에 눈이 쌓여 있고 눈이 오고 있는 상태에서 바이텍스 1 년생 묘목 캐도 될까요? 뿌리에 눈이 닿아도 괜찮을까요?

  • 14.12.01 22:36

    @비하이브 하면안됨니다 .중단해야됨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