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제축((虞祭(초우,재우,삼우)祝)) *
우제라함은 초우(初虞),재우(再虞),삼우(三虞)를 말한다. 이때부터 정식으로 제사의례를 행하게 된다.
초우(初虞)는 장사를 지낸 당일 날, 산에서 집으로 돌아온 후에 지내니 오후(저녁)제가 되며,
재우(再虞)는 초우 다음날 지내되, 그날의 일진(日辰)이 강일(剛日)이면 그 다음날
유일(柔日) 아침에 지내게 되며,
삼우(三虞)는 재우 다음날이 되니, 자연 강일(剛日) 아침에 모시게 된다.
결과적으로 삼우제는 3일이 될 수도 있고 4일이 될 수도 있다. 제사를 모시는 방법은,
일반 기제사와 큰 차이는 없으나 단, 기제사의 참신(제관 모두가 올리는 첫절)순서가 없다.
재우제와 삼우제는 초우에 비해 아침에 제를 올린다는 것 외에는, 별 다름이 없으며,
날자가 바뀌니 일진이 바뀌고, 또 축문중에 바뀌는 몇자가 있으나 아래 설명을 보면 이해가 될것이다.
강일(剛日)이란,
일진의 천간(天干)중에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등이 든 날이고,
유일(柔日)이란,
일진(日辰)에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가 들어 있는 날이다.
여기서는 축문을 고자(孤子)와 승중손(承重孫)의 경우만 남긴다.
그 외 처상(妻喪), 아들상(子喪), 자부상(子婦喪), 형제상(兄弟喪), 백숙부상(伯叔父喪)에 해당되는
축문은 개인적 질문에만 답 하겠다.
---------------------------------------------------------------------------------------
(초우축문)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祫事 尙
饗
---------------------------------------------------------------------------------------------------------
(조부승중(祖父承重)의 초우제 경우)
(조부님 초상에 아버지(先亡)가 계시지 않아 손자가 주상(主喪)이 된 경우)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孫 (이름)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初虞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祫事 尙
饗
--------------------------------------------------------------------------------------------------------------
참조)
재우(再虞)때는 奄及初虞를 奄及再虞로, 또 哀薦祫事를 哀薦虞事로쓰고,
삼우(三虞)에는 奄及初虞를 奄及三虞로, 또 哀薦祫事를 哀薦成事로 쓴다.
참고로 소상(小祥)에는 상사(常事)로, 대상(大祥)에는 상사(祥事)로 바뀐다.
초우(初虞)를 마치면 조석(朝夕)의 전(奠)은 올리지 않고, 조석으로 상식(上食)만 올리고 곡(哭)을 한다.
초하루와 보름을 삭망(朔望)이라고 하는데, 삭망 아침에는 전(奠)을 올린다.
가끔 이웃이나 친지에게서 햇과일이나 햇곡식 등 귀한 음식이 들어와도, 먼저 잿상에 올리고 애통해 한다.
----------------------------------------------------------------------------------------------
* 졸곡축(卒哭祝) *
졸곡은 삼우(三虞)를 마친후 석달만에 강일(剛日)을 택하여 지낸다.
쉽게 말하면, 글자 그대로 곡(哭)을 마친다는 뜻이다.이후부터는 조석(朝夕)으로의 곡은 하지 않으며,
삭망(朔望=초하루와 보름날)곡으로 바뀐다. 제사지내는 의식은 우제(虞祭)와 같다.
--------------------------------------------------------------------------------------------------------------------
(졸곡축문)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卒哭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成事 尙
饗
--------------------------------------------------------
(조부승중(祖父承重)의 경우) (조부님 초상에 아버지(先亡)가 계시지 않아 손자가 주상(主喪)이 된 경우)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孫 (이름)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卒哭
夙興夜處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成事 尙
饗
--------------------------------------------------------------------------------------------------------------
참조)
*강일(剛日)이란, 일진(日辰)중에 甲,丙,戊,庚,壬,의 천간(天干)이 들어 있는 날.
*유일(柔日)이란, 일진(日辰)중에 乙,丁,己,辛,癸,의 천간(天干)이 들어 있는 날.
----------------------------------------------------------------------------------------------------------------
* 소상축(小祥祝) *
소상은 졸일(卒日)후 만(滿) 1년이 되는 날에 지낸다. 쉽게 말하면, 첫 기일(忌日)날이다.
그르나 아버지가 살아계시는 어머니의 초상이면, 장기지상(杖朞之喪-父在母喪)이라 하여,
11개월만에 택일(擇日)을 하여 연제(練祭)를 지내고, 13개월에 대상(大祥)을 지내면서
3년상을 마치는 셈이 된다.
--------------------------------------------------------------------------------
(父소상축)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 (이름)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小祥
夙興夜處(小心畏忌 不惰其身)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常事 尙
饗
----------------------------------------------------------------------------------------------------------
참조) * (小心畏忌 不惰其身)= 이 부분은 쓰는 가문과 생략하는 가문이 있다.
* 夙興夜處 哀慕不寧=이 부분을, 아들에게는 悲念相續 心焉如毁로, 형에게는 悲痛無己 至情如何로,
동생에게는 悲痛猥至 情何可處로, 처에게는 悲悼酸苦 不自勝堪,
으로 고쳐 쓴다.
*謹以=이 부분을, 卑幼에는 玆以라 쓴다.
*哀薦=이 부분을 형에게는 薦此 로, 卑幼에는 陳此라 쓴다.
-----------------------------------------------------------------------------------------
*** (소상이전에 神主를 조상곁으로 모시는 "附祭"라는 제사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지금은 신주를 모시는 가정이 거의 없으므로, 여기서 부제에 관한 사항은 생략한다. )***
* 대상축(大祥祝) *
대상은 졸일(卒日)후 만(滿) 2년만에 즉, 소상(小祥)이 지난 1년만에 지낸다.
그르나 남편이 아내의 대상(大祥)인 경우는 13개월만에 지낸다.
그동안 모신 혼백(魂帛)은 대상후 묘역(墓域)에 묻는다.
이로써 3년상(喪)을 벗는것이며, 그동안의 상복(喪服)과 상장(喪杖)은 태워 버린다.
----------------------------------------------------------------------------
(父대상 축)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ᄋᄋ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大祥
夙興夜處(小心畏忌 不惰其身)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祥事 尙
饗
--------------------------------------------------------
(妻대상 축)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夫 (姓名) 昭告于
故室孺人金海金氏 日月不居 奄及大祥
悲悼酸苦 不自勝堪
玆以淸酌庶羞 陳此祥事 尙
饗
---------------------------------------------------
참조) 장자가 죽으면 아들이 있어도 아버지가 주상이 되며,
아내가 죽으면 아들이 있어도 남편이 주상이 된다.
대상을 지낸 뒤 두 달이 되는 날 거행하는 상례로
초상으로부터 27개월째 해당하는 달에 지낸다,
‘담’이란 담담하여 평안하다는 뜻으로 유족이 상복을 모두
벗어버린다는 제복제(除服祭)라고 할 수 있고,
모든 상례를 끝내고 평상의 생활로 돌아가는 제사로서,
복식을 완전히 평상복으로 갈아입는다.
제사가 끝나면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는데 술을 마시기 전 식혜를
먹고 고기를 먹기 전 건육(乾肉)을 먹는다.
*담제(禫祭)
담제는 대상(大祥)후 석달만에 먼저 돌아오는,
일진(日辰)이 해(亥)일이나 정(丁)일에 지내는 제사로서,
삼년(三年)의 상기(喪期)를 무사히 마치니, 마음이 담담하고 평온해진다는 뜻의 제사다.
현실적으로 삼우(三虞)나 백일상(百日喪) 혹은 절(寺)에서의 사구제(四九祭)등이 공공연한 지금에,,
담제,길제까지를 들먹이는 자체가 이상하게 들리는 시절이나, 여기서는 자료상 축문만을 남긴다.
(빨강색은, 수시 수정할 글자)
(담제축문)-달성하씨의 경우
維歲次己丑五月甲子朔十七日丁卯
孤子ᄋᄋ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日月不居 奄及禫祭
夙興夜處(小心畏忌 不惰其身) 哀慕不寧
謹以淸酌庶羞 哀薦禫祭 尙
饗
*(小心畏忌 不惰其身)는 팔례절에 기술되어 있으나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삼헌(三獻)을 하되 무곡(無哭)이다.
고자(孤子),고애자(孤哀子)는, 졸곡(卒哭)제 이후에는 효자(孝子)로 사용하는
가문이 있으니 각 문중의 례에 따른다.
--------------------------------------------------------------------------------
*길제(吉祭)
길제는 담제를 지내고난 다음달의 해일(亥日)이나 정일(丁日)에 모시는제사로,
아버지가 상기(喪期)를 다 마치고 해상(解喪)이 된다는 뜻이며,
그동안 사당(祠堂)에 모셔졌던 고조(高祖)는, 사당제(祠堂祭)를 마치고 묘제(墓祭)로 옮겨지고,
부친(父親)이 입당(入堂)하므로, 고조(高祖)이하 신주(神主)를 개제주(改題主)한다는 뜻이다.
상필부묘고사(喪畢祔廟告辭)가 있으나,
이 역시 담제와 같이 현실적으로, 사당의 존재(存在)가 거의 없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다른 가문의 담제 축문-
유세차간지(維歲次干支) 모월간지삭(某月干支朔)
모일간지(某日干支) 고자모(孤子某) 감소고우(敢昭告于)
현고모관부군(顯考某官府君) 일월불거(日月不居)
엄급담제(奄及담祭)
숙흥야처(夙興夜處) 애모불녕(哀慕不寧)
근이청작서수(謹以淸酌庶羞) 애천(哀薦) 담사(담事) 상(尙) 향(饗)
○○해 ○○월 ○○일에 효자 ○○는 감히 ○○벼슬을 하신 아버님께 고하옵나이다.
세월이 어언간 흘러 ○○벼슬한 아버님이 돌아가신 담사가 돌아오니 밤낮으로
슬프게 애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갖추고
올리니 흠향하소서.
소상과 대상과 담제의 축문
지난3월에 소상을 지냈다면 내년 3월이 대상이 되고 대상을 지내고 한달을 사이에 두고
그 다음달에 날을 받아 담제를 지야야 합니다. 이와 같음이 예법상 맞는 것입니다.
혹 귀하가 착각을 하였거나 아니면 속제로 기일을 단축할 뜻인 듯 합니다.
그렇다 하여도 대상제를 먼저 지내고 그 뒤에 담제를 지내야 하니 대상 축문으로 보내드리겠읍니다.
(예는 아니나 청에 의하여 답합니다.) 참고로 담제 축식도 첨부합니다.
대상축문식
大祥(脫喪)祝文式
대상(탈상)축문식
維
歲次丁亥四月辛亥朔十七日丁卯孝子ㅇㅇ某敢昭告于
세차정해사월신해삭십사일정묘효자ㅇㅇ모감소고우
顯考某官俯君(或顯妣某封某氏承重則顯祖考或顯祖妣妻云亡室弟以下去顯爲亡去府君二字)
日月不居奄及期喪(或百日脫喪則去期喪爲百喪)
현고모관부군(혹현비모봉모씨승중칙현조고혹현조비처운망실제이하운현위망거부군이자)
일월불거언급기상(혹백일탈상칙거기상위백상)
夙興夜處哀慕不寧
三年奉喪於禮至當
事勢不逮魂歸墳墓
謹以淸酌庶羞哀薦祥事尙
숙흥야처애모불영
삼년봉상어례지당
사세불체혼귀분묘
근이청작서수애천상사상
饗
향
禫祭祝文式
維
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孝子(屬稱隨改見上卜日告式某告子見上卜日告式)
敢昭告于(妻去敢字告子但云告于)
顯考(母云顯妣承重云顯祖考或顯祖妣妻云亡室子云亡子)
某官府君(屬稱隨改見上命辭式)
日月不居奄及禫祭夙興夜處哀慕不寧(妻改夙興以下八字爲
悲悼酸苦不自勝堪子云悲念相續心焉如燬)
謹以(妻子云玆以)淸酌庶羞哀薦(妻子云陳此)
禫事 尙
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