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방해 급증하는 이유…"정부 피해의식과 수치심 때문"
경남CBS 이형탁 기자
2020-09-09 18:48
도내 4월부터 감염병예방법 위반 모두 자가격리조치 위반자
8월부터 역학조사방해자 발생
방해자 8.15광복절 관련 확진자뿐 아니라 일반 감염자도 있어
전문가 "정부에 대한 피해의식과 수치심에서 비롯"
(사진=자료사진)
8.15광복절집회 이후 전국의 코로나19 재확진세가 경남에도 이어지면서 감염병예방법 위반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재확산 이전에는 자가격리조치 위반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이동 동선을 숨기며 방역 당국에 혼선을 주고 있는 역학조사 방해자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더구나 도내에서는 집회 참가자와 더불어 다른 지역 감염자도 동선을 숨기고 있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해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지자체가 초기에 이들을 고발하며 강력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앞으로 이같은 현상이 계속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내 코로나 발생 이후 4월부터 꾸준히 감염병예방법 위반자들은 나타났다. 하지만 경남에는 모두 자가격리조치 위반이 대부분이었다. 당시에는 대구경북 신천지와 서울 이태원으로 인한 확진자가 증가하는 추세였다.
(사진=자료사진)
하지만 최근에는 동선이나 접촉자를 숨기며 대놓고 역학조사를 방해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9일 경남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자가격리 위반 건수는 5건, 5월 1건, 6월 3건, 7월 5건으로 나타난 반면, 이 시기까지 역학조사를 의도적으로 방해한 고발건은 없었다. 그러다 8월 광복절 집회 이후 동선을 숨기거나 접촉자를 숨기는 등 도내 역학조사를 방해한 건수가 한달도 안 돼 13건으로 급증했다.
창원 51번 확진자는 지난달 15일 서울 광화문 집회에 다녀오고 일주일 넘게 이를 숨겼다. 그러는 사이 대학생 아들과 고등학생 딸 등 모두 7명이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됐다. 자녀가 다니는 고등학교 학생과 교직원 등 2천여 명이 진단 검사를 받았다. 창원시는 관광버스 인솔자와 함께 51번을 경찰에 고발했고, 3억 원의 구상금도 청구했다.
대구 북구의 동충하초 설명회 참석 사실을 숨긴 확진자 3명도 있다. 창원 63, 64, 66번 확진자는 지난달 29일 같은 차량으로 대구에서 열린 동충하초 설명회에 참석했지만 이 사실을 숨겼다. 창원시는 정확한 역학조사를 방해했다며 이들을 고발했다.
이들이 역학조사를 방해하면서 방역당국이 접촉자 등 동선을 추적하는 동안 코로나가 더 퍼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분노를 자아내게 했다.
(사진=자료사진)
전문가는 동선 공개에 의한 사회적 지탄을 피하려거나, 특정 신념에 치우쳐 정부에 대한 피해의식으로 이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공정식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8.15광복절집회 참가자와 주변은) 기본적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져 있고 자신들에게 공격을 가하려는 의심에서 비롯된다"며 "정부가 탄압한다는 피해의식으로 인해 비슷한 신념을 강화하는 '집단 극화 현상'이 벌어져 동선을 숨긴다"고 진단했다.
또 다른 일반 확진자가 동선을 숨기는 데 대해서는 "동선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서 드러나면 수치스럽게 느끼거나, 다른 사람에게 비난 받을 위험성이 높다"며 "아주 이기적인 생각으로 보여지는데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할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감염병예방법 #역학조사
https://www.nocutnews.co.kr/news/5409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