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하십시오.
앙코르 와트의 사무드라 만타나 얕은 돋을새김에 묘사된 아수라
힌두교
불교
아수라(산스크리트어: असुर)는 인도 종교의 한 부류입니다. 그들은 힌두교에서보다 자비로운 Devas (Suras라고도 함)와 관련된 권력을 추구하는 악마로 묘사됩니다. 불교적 맥락에서 이 단어는 "타이탄", "반신반인" 또는 "반신"으로 번역됩니다. [1]
힌두교 경전에 따르면, 아수라들은 데바를 끊임없이 두려워한다. [2]: 2–6 인도 문헌에서 아수라는 선하거나 악한 자질을 가진 강력한 초인적 반신반인으로 묘사된다. 초기 베다 문헌에서 선한 아수라는 아디티야스(Adityas)라고 불리며 바루나(Varuna)가 이끄는 반면, 사악한 아수라(Asura)는 다나바스(Danavas)라고 불리며 브리트라(Vritra)가 이끈다. [2]: 4 베다 문헌의 가장 초기 층에서 아그니, 인드라 및 기타 신들은 각자의 영역, 지식 및 능력의 "군주"라는 의미에서 아수라라고도 불린다. 후기 베다와 베다 이후 텍스트에서 자비로운 신들은 데바 (Devas)라고 불리는 반면, 악의적 인 아수라 (Asuras)는이 데바 (Devas)와 경쟁하며 "신들의 적"으로 간주됩니다. [2]: 4
아수라는 데바(Devas), 야크샤(Yakshas, 자연의 정령), 락샤사스(Rakshasas, 사나운 식인 존재 또는 악마), 부타(Bhutas, 유령) 등과 함께 힌두교의 일부입니다. 아수라는 힌두교와 불교의 많은 우주론 이론과 전설에 등장했습니다. [3][4][5]
어원[편집]전통적인 어원[편집]
아수라(Asura)는 데바스(Devas)가 다른 종족들에게 부여한 이름으로, 아수라(Asura)는 수라(sura)가 아닌 수라(not-sura)를 의미하며, 여기서 수라는 데바(Devas)의 또 다른 이름입니다.
5세기 불교 철학자인 붓다고사(Buddhaghosa)는 그들의 이름이 샤크라 신의 손에 패배한 신화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합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아수라족은 술에 취해 수메르 산에 던져졌기 때문에 뜨라야스트리샤(Trāyastriṃśa)에서 그들의 지위를 박탈당했다고 한다. 이 일이 있은 후, 그들은 다시는 수라를 마시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일부 불교 문헌에서는 때때로 "고대 신"을 의미하는 pūrvadeva (Pāli : pubbadeva)라고 불립니다. [6]
현대 이론[편집]
모니어-윌리엄스(Monier-Williams)는 아수라(असुर)의 어원적 뿌리를 '영적 세계의 생명' 또는 '떠난 영혼'을 의미하는 아수(असु)로 추적합니다. [7]
베다 텍스트의 삼히타 층의 가장 오래된 구절에서 아수라는 선하거나 나쁜 의도, 건설적이거나 파괴적인 성향 또는 본성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영적이고 신성한 존재입니다. [7] 베다 텍스트의 Samhita 층의 후기 구절에서 Monier Williams는 Asuras가 "악령, 악마 및 신들의 반대자"라고 말합니다. 아수라는 선과 악의 전투에 관한 인도-이란 신화에서 혼돈을 창조하는 악을 암시합니다. [7]
핀란드 인도학자 아스코 파르폴라(Asko Parpola)에 따르면, 아수라(Asura)라는 단어는 초기 접촉 기간 동안 원시 인도-아리아어에서 원시 우랄어로 차용되었으며, *asera-의 형태로 "군주, 왕자"라는 의미를 보여줍니다. [8]
힌두교 문학[편집]리그 베다[편집]
Bhargava는 변형된 asurya와 asura를 포함하여 asura라는 단어가 "Rig Veda에서 88번, 단수에서 71번, 이중에서 4번, 복수에서 10번, 화합물의 첫 번째 구성원으로 3번 발생합니다. 여기에는 여성형인 아수리야(asuryaa)가 두 번 포함된다. 아수리야(asurya)라는 단어는 추상 명사로 19번 사용된 반면, 추상형 아수라트바(asuratva)는 한 찬송가에서 22번, 다른 두 찬송가에서 각각 24번 등장한다." [9]
바르가바(Bhargava)[9]는 모든 베다 신에 대한 단어 사용의 수를 세고 있다: 아수라(Asura)는 "강력한" 또는 "강력한"을 의미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리그 베다(Rig Veda)에서는 두 명의 관대한 왕과 일부 사제들이 아수라(asuras)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한 찬송가는 아수라인 아들을 요청합니다. 아홉 개의 찬송가에서 인드라는 아수라로 묘사된다. 그는 아수리야를 5번 빙의했다고 하며, 한 번은 아수랏바를 빙의했다고 한다. 아그니는 총 12개의 아수라 묘사를 가지고 있고, 바루나는 10개, 미트라는 8개, 루드라는 6개의 묘사를 가지고 있다. [9] 리그 베다의 1권은 사비트르(베다 태양신)를 "친절한 지도자"인 아수라로 묘사합니다. [10]
हिरण्यहस्तो असुरः सुनीथः सुमृळीकः स्ववाँ यात्वर्वाङ् ।
अपसेधन्रक्षसो यातुधानानस्थाद्देवः प्रतिदोषं गृणानः ॥ १०॥ [11]
황금 손을 가진 아수라, 친절한 지도자 그가 도움과 호의를 베풀어 우리에게 오게 하소서.
락사사스(Raksasas)와 야투다나스(Yatudhanas)를 쫓아내고 저녁에는 찬송가를 부르며 신이 현존한다.
– Ralph Griffith[10]
선한 인도와 은혜와 선한 도움의 황금 손의 군주여, 그분이 우리 쪽으로 운전하게 하소서.
악마와 마술사를 쫓아내는 신은 찬송가를 부르며 저녁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 번역: Stephanie W. Jamison, Joel P. Brereton[12]
— 리그 베다 1.35.10
사마베다[편집]
사마베다(SamaVeda)의 세 가지 구절 중 하나인 자이민야(Jaiminya, 3.35.3)에서 '아수라(Asura)'라는 용어는 생명의 공기(아수)의 '휴식'(√램)에서 파생된 것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마음이 '아수라와 같다'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13]
마하바라타[편집]
바가바드 기타(16.6-16.7)에 따르면, 우주의 모든 존재는 신성한 자질(daivi sampad)과 악마적 자질(asuri sampad)을 모두 가지고 있다. [14][15] 바가바드 기타의 제16장에 따르면 순수한 신과 같은 성인은 드물고 순수한 악마와 같은 악은 인간에게 드물며 인류의 대부분은 몇 가지 또는 많은 결점을 가진 다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14] 지닌 파울러(Jeaneane Fowler)에 따르면, 기타는 욕망, 혐오, 탐욕, 욕구, 다양한 형태의 감정이 "평범한 삶의 한 측면"이며, 욕망, 증오, 갈망, 오만, 자만, 분노, 가혹함, 위선, 잔인함, 그리고 그러한 부정성과 파괴 성향으로 변할 때에만 인간의 자연스러운 성향이 악마적인 것(아수라)으로 변모한다고 말한다. [14][15]
브라만다 푸라나[편집]
아수라 군대와 싸우는 마하데비(오른쪽), 데비 마하트미아의 폴리오
브라만다 뿌라나(Brahmanda Purana)에서는 '아수라(Asura)'라는 용어가 다이티야(Daityas)가 우유의 바다(Ocean of Milk)에서 나온 후 바루니(Varuni, 포도주의 여신)를 거부했기 때문에 사용되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즉, '아수라'는 '수라', 즉 '포도주' 또는 더 일반적으로 '술'을 의미함). [16][17] 그러나 다른 전설에서는 아수라가 바루니를 받아들인다(쿠르마 참조).
비슈누 푸라나[편집]
비슈누 푸라나 (Vishnu Purana)에 따르면, 사무 드라 만타나 (Samudra Manthana) 또는 "바다의 휘젓기"동안, daityas는 수라 "포도주"의 여신 인 Varuni를 거부했기 때문에 아수라로 알려지게되었고, devas는 그녀를 받아 들여 수라로 알려지게되었습니다. [18]
시바 푸라나[편집]
알랭 다니엘루(Alain Daniélou)는 인도 신화에서 아수라가 처음에는 선하고 고결하며 강력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의 본성은 점차 바뀌었고 그들은 악, 악덕 및 권력 남용을 대표하게되었습니다. Shiva Purana에서 그들은 반신으로 진화했으며 신을 위협했기 때문에 파괴되어야 했습니다. [18][19]
아수라(반신)는 교만하고, 허영심이 많고, 희생 제사를 중단하고, 신성한 율법을 어기고, 성지를 방문하지 않고, 죄에서 자신을 정화하지 않고, 데바를 부러워하고, 살아있는 존재를 고문하고, 모든 것에 혼란을 일으키고 데바에게 도전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18][19]
알랭 다니엘루(Alain Daniélou)는 아수라의 개념이 고대 인도의 사회 정치적 역학 변화와 함께 진화했다고 말합니다. 아수라는 베다 사람들의 적들이 숭배하는 악마, 영혼, 귀신을 점차적으로 동화시켰고, 이것은 사악한 아수라와 락샤사의 신화를 만들었습니다. 푸라나(Puranas)와 서사시에서 발견되는 아수라(asuras)와 수라(suras) 사이의 비참한 전쟁에 대한 암시는 고대 인도로 이주한 사람들과 이주민들이 직면한 갈등일 수 있다. [19]
문맥[편집]
학자들은 고대 인도 문학에서 아수라 개념의 본질과 진화에 대해 의견이 분분합니다. 아수라 개념에 대해 가장 널리 연구된 학문적 견해는 FBJ Kuiper, W Norman Brown, Haug, von Bradke, Otto, Benveniste, Konow, Rajwade, Dandekar, Darmesteter, Bhandarkar and Raja, Banerji-Sastri, Padmanabhayya, Skoeld, SC Roy, kumaraswamy, Shamasastry, Przyluski, Schroeder, Burrows, Hillebrandt, Taraporewala, Lommel, Fausboll, Segerstedt, Thieme, Gerschevitch, Boyce, Macdonnell, Hermann Oldenberg, Geldner, Venkatesvaran 및 얀 곤다. [2]: 1–37
카이퍼는 아수라를 우주의 창조에 관한 베다의 주요 이론 중 하나에서 특별한 신들의 집단이라고 부른다. [20] 그들의 역할은 땅과 하늘과 생명체가 창조되는 동안과 창조된 후에만 바뀐다. 하늘 세계는 데바의 세계가 되고, 지하 세계는 아수라의 세계가 된다. 인드라 신은 선의 화신이며 데바를 대표하는 반면, 용 브르트라는 악과 아수라의 화신입니다. [20] 선과 악, 창조와 파괴 사이의 싸움에서 어떤 강력한 아수라는 선의 편에 서서 데바라고 불리고, 다른 강력한 아수라는 악의 편에 서서 아수라라고 불린다. 이것은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의 본성에서 출현한 최초의 주요 이원론이다. [20][2]: 1–2 Hale (1999)은 그의 리뷰에서[2] 아수라에 대한 카이퍼의 이론은 그럴듯하지만 약하다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베다가 다른 많은 강력한 존재들을 묘사할 때 브르트라(중심 인물)를 아수라라고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2]: 3 둘째, 리그 베다는 아수라를 결코 "신들의 그룹"으로 분류하지 않으며, 이것은 카이퍼의 추정이라고 헤일은 말한다. [2]: 3
많은 학자들은 아수라를 다양한 전문 지식, 마법의 힘, 특별한 능력을 가진 "군주"로 묘사하며, 나중에야 선하고 건설적인 이유 또는 사악하고 파괴적인 이유로 이를 배치하기로 선택합니다. 전자는 데바의 의미에서 아수라로 알려지게 되고, 후자는 악마의 의미에서 아수라로 알려지게 됩니다. 카이퍼(Kuiper), 브라운(Brown), 오토(Otto) 등이 이 학교에 있다. 그러나 그들 중 누구도 어떻게, 언제, 왜 아수라가 궁극적으로 악마를 의미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2]: 2–4, 10 아수라는 신을 믿지 않으며 자신의 힘을 믿는다. [21]
아난다 쿠마라스와미(Ananda Coomaraswamy)는 데바스(Devas)와 아수라(Asuras)가 그리스 신화의 12명의 올림포스 신과 타이탄과 개념이 유사한 것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둘 다 강력하지만 방향과 성향이 다르며, 데바는 빛의 힘을 나타내고 아수라는 힌두 신화에서 어둠의 힘을 나타냅니다. [22][2]: 20 쿠마라스와미에 따르면, 힌두교에서 "타이탄[아수라]은 잠재적으로 천사[데바]이며, 천사는 여전히 본질적으로 타이탄이다." [23][24]
인도-아리안 문맥[편집]
19세기에 하우그는 아수라(Asura)라는 용어가 인도-아리안족의 아후라족과 조로아스터교 이전 시대와 언어학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생각을 개척했다. 두 종교 모두 조로아스터교 이전의 아후라(인도 종교의 아수라), 부루나(바루나), 다에바(데바)가 발견되지만 그 역할은 반대편에 있습니다. [2]: 3–8 즉, 아후라는 조로아스터교 이전의 선을 대표하도록 진화하는 반면, 아수라는 베다 종교의 악을 대표하도록 진화하는 반면, 다에바는 조로아스터교 이전의 악을 대표하도록 진화하는 반면, 데바는 베다 종교의 선을 대표하도록 진화한다. 이러한 대조적인 역할로 인해 일부 학자들은 원시 인도-유럽 공동체에서 전쟁이 있었을 수 있으며 그들의 신과 악마는 차이점을 반영하도록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론했습니다. [2]: 23–31 이 아이디어는 1885년 피터 폰 브래드케(Peter von Bradke)에 의해 철저히 연구되고 검토되었다. [25][2]: 5–8
인도-아리안 시대의 아후라/ 아수라 (ahuras)와 다에바 (daevas) / 데바 (deva) 사이의 관계는 F.B.J. 카이퍼에 의해 길게 논의되었다. [26] 이 이론과 20세기에 걸쳐 개발된 다른 아베스타 관련 가설은 현재 특히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모두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27][2]: 5–8, 12, 15, 18–19, 37 아스코 파폴라(Asko Parpola)는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이 논쟁을 다시 시작했지만, 그 연관성은 우랄어족의 뿌리로 더 일찍 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28] 인도-아리안 아수라는 수메르 신 아수라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29]
게르만 신들과의 관계[편집]
본문: Æsir
Asko Parpola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Asura라는 단어가 원시 우랄 어 및 원시 게르만 역사와 관련이있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아사 신족-아수라 대응은 베다 산스크리트어 아수라와 고대 노르드어 에시르와 원시 우랄어 *아세라 사이의 관계로, 모두 '주, 강력한 정신, 신'을 의미합니다. [28][30] Parpola는 이 서신이 Asera-Asura를 넘어 Inmar-Indra, Sampas-Stambha 및 각 신화의 다른 많은 요소와 같은 많은 유사점으로 확장된다고 말합니다. [28]
특징[편집]
초기 베다 문헌에서 모든 초자연적 존재는 데바스[7][31][32][33]와 아수라라고 불린다. [2]: 5–11, 22, 99–102 많이 연구된 리그 베다의 찬송가에는 데바브 아수라(Devav asura, 데바가 된 아수라)가 명시되어 있으며, 이를 아수라 아데바(Asura adevah, 데바가 아닌 아수라)와 대조한다. [20][35] 아수라와 데바는 각각 같은 아버지(프라자파티)에게서 태어나고, 같은 거주지(로카)를 공유하며, 같은 음식과 음료를 함께 먹고(소마), 힌두 신화에서 타고난 잠재력, 지식 및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바가 된 아수라"와 "아수라로 남아 있는 아수라"를 구별하는 유일한 것은 신화적인 삶에서 그들이 하는 의도, 행동 및 선택입니다. [24][36]
'아수라로 남아있는 아수라'는 부당한 소마에 대한 갈망과 부, 자존심, 분노, 무원칙한 본성, 힘, 폭력에 집착하는 강력한 존재의 성격을 공유합니다. [37][38] 또한 힌두 신화에서 "아수라로 남아있는 아수라"는 "데바가 된 아수라"에게 질문하고, 도전하고, 공격하여 데바가 가진 것과 아수라가 가지지 못한 것의 일부를 약탈하거나 추출한다.[37][38]
두 집단 사이의 적대감은 힌두교에서 광범위한 전설, 이야기 및 문학의 원천입니다. 그러나 많은 텍스트는 명시적인 도덕적 함축이나 비난 없이 중립적인 용어로 그들의 적대감을 논의합니다. [36] 이러한 이야기 중 일부는 라마야나의 아수라 라바나와 데바 라마의 이야기와 같은 주요 힌두교 서사시와 연례 축제의 배경을 구성하며, 아수라 히란야카시푸와 데바 비슈누의 전설은 나라심하로 [36] 후자는 홀리카와 홀리의 힌두교 봄 축제와 함께 축하됩니다. [39]
불교 신화에서 카마다뚜의 모든 신들은 어느 정도 열정에 지배를 받지만, 특히 아수라들은 특히 분노, 교만, 질투, 불성실, 거짓, 자랑, 호전성에 중독되어 있다. 아수라는 인간보다 훨씬 더 즐거운 삶을 살고 있다고 하지만, 동물이 인간을 인식하는 것처럼 볼 수 있는 데바에 대한 질투에 시달린다. [ 인용 필요 ]
상징성[편집]
에델만과 다른 학자들은 힌두교에서 아수라와 데바의 이원론적 개념이 고대와 중세 문학에서 발견되는 상징주의의 한 형태라고 말합니다. [40][41] 예를 들어, 우파니샤드에서 데바와 아수라는 자아(아트만, 영혼)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깨달을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프라자파티(Prajāpati)로 간다. 쁘라자빠띠가 제시하는 첫 번째 대답은 단순한데, 아수라들은 이를 받아들이고 떠나지만, 인드라가 이끄는 데바들은 받아들이지 않고 의문을 제기하는데, 이는 인드라가 그 의미를 온전히 파악하지 못했고 주어진 대답에 모순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42] 에델만은 우파니샤드에 내재된 이 상징주의는 제시된 아이디어와 씨름해야 하고, 학습은 과정이며, 데바의 본성은 노력과 함께 나타난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고 말합니다. [42] 힌두교의 푸라나스 문헌에도 비슷한 이분법이 존재하는데, 여기서 인드라 신(데바)과 반신 비로카나(아수라)는 자아에 대한 지식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현자에게 질문합니다. [42] 비로카나는 이제 지식을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고 믿으며 첫 번째 대답을 가지고 떠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드라는 계속해서 현자를 압박하고, 아이디어를 휘젓고, 내면의 행복과 힘을 얻는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에델만은 힌두 신화의 데바-아수라 이분법이 "우리 자신 내면의 경향에 대한 서사적 묘사"로 볼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42]
에델만은 신(Deva)과 반신(Antigod, Asura)은 상징적으로 각 개인과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모순된 힘이며, 따라서 Deva-Asura 이분법은 단순한 계보학적 범주나 존재 종(species)이 아닌 영적 개념이라고 말한다. [43] 바가바타 뿌라나(Bhāgavata Purana)에서 성인과 신은 마하발리(Mahabali)와 프라흘라다(Prahlada)와 같은 아수라(Asuras) 가문에서 태어나며, 이는 출생과 가족 상황보다는 동기, 신념 및 행동이 데바와 같은지 아수라와 같은지를 결정한다는 상징성을 전달합니다. [43]
아수리[편집]
아수리(Asuri)는 아수라(asura)의 형용사의 여성형으로, 이후 문헌에서는 '악마와 영혼에 속하거나 그와 관련이 있는'을 의미합니다. [44] 아수리는 "강력한 존재"라는 점에서 아수라와 유사하며 초기 베다 텍스트에는 모든 여신이 포함됩니다. [45] 아수리라는 용어는 인도 문헌에서 락샤시를 의미하기도 한다. [46][2]: 120–133
아수리의 힘은 나병에 대한 치료법을 제공하는 식물에 투영됩니다. [47][48]
첫째, 날개가 강한 새가 태어났으니 그대는 그 새의 쓸개즙이었다.
싸움에서 정복 된 아수리는 식물의 모양과 형태를 취했습니다.
아수리족은 무엇보다도 이 나병약, 이 나병약을 만들었다.
그녀는 나병을 추방하고 피부에 한 가지 일반적인 색을 부여했습니다.
— 나병에 대한 부적, Atharva Veda, 찬송가 1.24, [49]
7권에서 아수리는 약초에 대한 특별한 지식을 가진 강력한 여성으로, 그 지식을 사용하여 아타르바 베다에서 데바 인드라를 유혹합니다. 찬송가는 아수리의 이 특별한 힘을 불러일으키며, 이 찬송가는 여자가 원하는 연인을 얻기 위한 부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50]
나는 내 연인이 나를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게 하는 이 치유의 약초를 파고,
이별하는 친구가 돌아오라고 명하고 그가 오면 친절하게 인사한다.
아수리가 인드라를 신들로부터 아래로 끌어들인 이 약초
, 바로 이 약초로 내가 그대에게 가장 소중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그대를 가까이 끌어당긴다.
그대는 소마의 동료요, 그렇다, 너는 태양과 동등하도다,
모든 신들의 동료는 너이니, 그러므로 우리는 너를 이리로 부른다.
내가 여기서 말하는 자요 네가 아니니 회중이 모이는 곳에서 말하라
너는 내 것, 오직 내 것이어야 하며, 다른 댐은 절대 언급하지 말아야 한다.
네가 강 너머 멀리 떨어져 있고, 사람들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이 약초가 너를 단단히 묶어 내 포로를 다시 데려오는 것 같으리라.
- 처녀의 사랑의 부적, Atharva Veda, 찬송가 7장 38절, [50]
마찬가지로, 아타르바 베다(Atharva Veda)에서는 모든 종류의 의학적 치료법과 부적이 식물과 동물에서 발현되는 아수리(Asuri)로 투영됩니다. [2]: 120–133 아수리 칼파(Asuri Kalpa)는 아수리의 특별한 지식과 마법에서 파생된 다양한 의식을 담고 있는 아비차라(abhichara, 공예품)이다. [51][52]
불교[편집]
일본 나라에 있는 불교 사원인 고후쿠지의 아수라
본문: 아수라(불교)
아수라(고전 티베트어: ལྷ་མིན, 로마자: lha min; 중국어 간체: 阿修罗; 중국어 번체: 阿修羅; 병음: āxiūluó; 일본어 : 阿修羅, 로마자 표기 : 아수라, 아수라)는 전통적인 불교 우주론에서 초자연적 인 존재 (반 신, 반신 또는 비 신이 아닌 거인)의 일종이며 현재 또는 전생의 업에 기반한 환생의 영역입니다. [53] 불교 문헌에서는 수메르 산의 낮은 곳에 살고, 존재의 감각적 측면에 집착하고, 질투심에 사로잡히고, 데바(신)인 생물과 끝없이 전쟁을 벌이는 생물로 묘사됩니다. [54] 불교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로 확산됨에 따라 인도 불교의 아수라 개념은 지역 불교 판테온의 일부로 지역 기존 신을 확장하고 통합했습니다. [54]
아수라 왕국[편집]
아수라(阿桂)의 영역은 불건전한 업보를 지으면서 건전한 업의 열매를 경험한 결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경지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욕망의 영역은 다섯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것으로 인식되며 아수라의 영역은 데바 영역에 포함되는 경향이 있지만 여섯 세계 바바차크라에 아수라가 추가된 것은 티베트에서 제 쫑카파의 권위로 만들어졌습니다.
데바-아수라 전쟁[편집]
아수라들은 짜야스트리샤(Trāyastriṃśa)에서 그들의 지위를 박탈당했는데, 이는 그들이 술에 취해 자타까(Jatakas)에서 언급된 보살에 의해 수메르 산(Sumeru Mount Down)으로 던져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타바팀사의 데바들과 아수라스 사이에 전쟁이 계속되었고, 이 전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아수렌드라[편집]
불교에서는 아수라의 지도자를 아수렌드라(빠알리어: Asurinda, 阿修羅王, 직역하면 "아수라-군주")라고 합니다. 아수라족이 다른 부족이나 파벌로 나뉘기 때문에 이들 중 몇 가지가 있습니다. 팔리어 문헌에는 베빠칫띠(Vepacitti), 라후(Rāhu, 베로카나), 빠하라다(Pahārāda), 삼바라(Sambara), 발리(Bali), 수싯띠(Sucitti), 나무찌(Namucī) 등의 이름이 있다. 『금강경』에 따르면, 아수라의 네 지도자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부처님께 피신했다고 합니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