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태평양의 섬들을 중심으로 하는 이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제도,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하와이 등을 포함하여 1만 개 이상의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해 있는 지역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곳 중
하나이다. 오스트레일리아와 파푸아뉴기니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지역의 대부분의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착어. 어족의 차이를 색으로 구분
유럽인들이 1788년 처음 오스트레일리아에 발을 내딛었을 때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약 700여 원주민 부족이
있었고 이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다른 약 250여 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유럽인들에 의한 무자비한 살육,
환경의 파괴, 전염병의 전파 등에 의하여 원주민의 수가 급속도로 줄어들면서 그들의 언어도 함께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그 결과
현재는 이 중 약 160여 개가 사멸하였으며 70여 개의 언어가 사멸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언어는
다른 지역의 어떤 언어들과도 명확한 관련성이 밝혀진 바 없다. 일반적으로 파마-늉안(Pama-Nyungan)어와 파마-늉안에 속하지 않는
언어들로 나뉘는데 서북쪽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10분의 9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파마-늉안어가 사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언어들은 넓은 지역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공통된 많은 어휘들과 a-i-u 로 이루어진 3모음 체계 등 공통된 음운적 특성들이 나타난다. 또한
전형적으로 접미사가 발달된 교착어적 형태를 보여주며,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의 순서이다. 특이하게는 ‘우리’를 가리키는 대명사가
화자를 포함하느냐, 포함하지 않느냐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오스트레일리아 서쪽의 지와를리어(Jiwarli)에는 ‘우리’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네 가지 형태가 있다:
'ngali'(너를 포함한 우리 둘), 'ngaliju'(너를 제외한 우리 둘), 'nganthurru'(너를 포함한 우리 모두),
'nganthurraju'(너를 제외한 우리 모두).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토착 언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중언어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중부, 북부 지역에만 약 30여 개의 이중언어 교육기관이 있으며 아이들은 학교에 입학하자마자 먼저 토착 언어를 배우고, 그 후에
점차적으로 영어를 배우게 된다. 또한 토착 언어들이 교육 뿐만 아니라 서적, 영화, 방송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2)
파푸아어
파푸아어의 대부분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도 오스트레일리아어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중 뉴기니의 토착 언어들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알려지지 않은 언어들로 그 기원 및 역사를 비롯하여 아직 많은 것들이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대개 개별 언어와 방언의
구분이 어렵고, 자료의 부족 등으로 아직 연구되지 않은 언어도 상당히 있어서 정확한 언어의 수를 가늠하기 어려우나 현재 약 1200여 개의
언어가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세계 언어를 약 6,800여 개로 추정할 경우 대략 6분의 1에 해당하는 반면 전체
화자의 수는 세계 인구의 1000분의 1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이를 고려할 때 이 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소수 언어들이 가장 밀집해 있는
언어적으로 가장 복잡한 지역 중의 하나이다. 이 지역에서 이렇게 다양한 언어들이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는 자연 지형적인 특성으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부족들 사이에 상호 접촉이 어려웠고, 오랜 시간 동안 중앙집권적인 정부가 없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는 공용어로서 영어와
톡피신(Tok pisin) 그리고 남쪽 지역 피진어인 히리모투(Hiri Motu)가 사용되고 있으며, 톡피신을 모어로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뉴기니의 언어들
워낙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까닭에 파푸아 언어들 사이의 공통된 특징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뉴기니에만 약
800여 개의 언어가 존재하는데 서로 다른 60여 개의 작은 어족들에 속하거나 그 계통 관계를 알 수 없는 고립어들이 많다. 다만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대조적으로 대개 주어-목적어-동사(SOV)의 어순을 보여주며, 많은 언어들에 “우리 둘” 또는 “너희 둘”과
같이 단수와 복수 외에 쌍을 가리키는 쌍수 대명사가 존재한다는 점 정도가 공통점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