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이번 청소년 대표팀에 집중을 더 하게 된 이유도... A대표팀이 베트남 .. 몰디브 등과의 경기에서 무기력하게 패하고.. 비기는 시기에 적절히도.. 박주영선수가 청대에서 자주 골을 넣음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2004년 세계청소년 대회에서의 경기력과 이번의 경기력 모두... 박성화 감독의 한계를 느끼게 해준다고 생각한다..
2004년 대회때 우리의 선수 구성은 역대 최고라 불리울 만큼, 테크닉을 갖춘 선수들로 짜여 있었다.. 스트라이커 정조국(FC서울),김동현(수원삼성)오른쪽 윙에 이종민(울산현대)등, 테크니션 최성국을 비롯하여... 독일전에서 골을 기록했던 이호진 선수.. 수비수 임유환(전북현대) 아시아청소년(U20)에서도, 결승전에서 일본에 정조국의 연장 골든골로 우승을 차지하였었고,
그 후 아시아 우승자격으로 출전한 2004년 세계청소년축구대회... 우리나라는 같은조에 미국,독일,파라과이,과 같은 조에 편성되였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그전의 평가전과 아시아 대회에서의 공격적이고 주도적인 경기 운영은 예시당초 박성화 감독은 세계대회에서는 강팀을 의식하여 ,, 역습위주의 수비적인 축구를 구사함으로써,실망스러운 결과를 낳을 뿐이였다...
먼저 첫경기였던 독일전 이호진 선수의 선제골과 역습을 통한 이종민의 추가골로 2:0승리 그러나 아시아 대회때의 모습은 눈씻고 찾아볼래야 찾아볼수조차 없는 경기였지만,승리라는 두글자에 가려 정작 한국축구의 미래를 짊어나갈 청소년 선수들에게... 무의미한 경기가 아니였나 하는게 필자의 생각이다.
그후 파라과이전 미국전 패배... 지고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을 돌리며 토너먼트에 올라가기위해 시간을 벌고있는한국청소년 대표선수들을 보며, 박성화감독은 자기 자신의 성과와 성적에 너무 매달린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앞선다...
나뿐만이 아니라. 모든 대한민국 축구팬은 그런 플레이를 지고 있는 상황에서조차,그것도 청소년 선수들에게 지시하는 박성화 감독의 경기운영을 지지할 사람은 없었다고 본다..
그렇게 일년이 지나고 2005년 한국 청소년 대표팀은 아시아대회(U20)우승 , 카타르 청소년대회(U20)우승,을 이루며, 공격적이고, 많은 골을 만들며 기대를 한껏 할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세계대회에서는 막상 수비위주의 역습전술을 꺼내든 박성화 감독 아래 선수들은 예전 모습은 또 찾아볼수 없게 만들어버렸습니다..
2002년 월드컵때 히딩크와는 전혀다른 감독의 스타일 이였습니다..
선수가 아무리 좋아도 수비전술의 축구는 한계가 있다는 것은 많은 전문가들의 분석 결과 나와있습니다.. 박성화 감독은 2004년 이후, 또 다시 같은 경험으로 시행착오만 겪었을 뿐이라 생각됩니다..
박성화 감독 , 물론 업적은 인정하지만, 조금 더 신중하고 과감했더라면 하는 아쉬운 마음에 글을 적어봅니다..
박성화 감독을 비난하는것은 아니지만,2005년 세계청소년축구대회에서의 실패는 죽음의 조에 맞서는 준비가 적절치 못했다는 점을 꼽고 싶습니다...
수비가 아무리 축구의 시작이라 하지만, 공격없는 수비는 아무런 의미도,좋은 결과도 가져올수가 없는것입니다.. 지더라도 후회없는 한판.. 100%자기기량을 발휘할수 있게끔, 자신감을 주는게 청소년선수들에게 필요한 감독의 몫이 아니였나 하는 아쉬움 또한 남습니다.. 또 하나, 아시아대회에서 우승을 일군 선수들에 오히려 새로운 선수 발탁으로 많은 전술을 시험한것에 또 불편함을 조심스레 표합니다..
오히려..선수들 개개인의 능력을 살렸던 아시아대회의 컨디션과 조직력으로 세계대회를 치루었다면 더 나은 성과가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봄직합니다..
박성화 감독님,, 아무튼 수고하셨습니다... 그러나 아쉬움을 달랠수 없어 이렇게 한 글 적어 봅니다.. 비난한 글은 아니므로, 이글을 읽고 저를 욕하실 분들... 아시아 대회나 카타르 대회의 경기영상보시고, 세계대회 경기를 보시고 비교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아무리 상대가 다르더라 하더라도...확연히 틀린 플레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박성화 감독에게는 죄송하지만 .. 아무쪼록 축구팬으로써.. 아쉬움을 달래보고자, 적은 글이기에, 모두들 이해해주셨으면 하네요...
첫댓글 박감독의 축구스타일이 우리에게 가져다준 득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다음대회에는 박감독스타일이 아닌 우리에게 좀더 나은 스타일을 찾아줄수 있는 감독을 선임해 한국축구만의 스타일을 만들어가는 실험을 계속 해나갔으면 합니다. 더불어 세계축구의 흐름에서 앞서가는 축구를 할 수있는 그런 계기가 되었으면 하고요!
맞아요~박 감독님도 또한, 다른 경험을 하셨을꺼라 생각 됩니다...한국 축구발전ㅇㅔ~기여 하셨다고 생각 되네요~~선수단 여러분들도~다른 발전을 하여서~~국대경기에서 그 한을 풀었음 합니다~~^^V
맞아요~박 감독님도 또한, 다른 경험을 하셨을꺼라 생각 됩니다...한국 축구발전ㅇㅔ~기여 하셨다고 생각 되네요~~선수단 여러분들도~다른 발전을 하여서~~국대경기에서 그 한을 풀었음 합니다~~^^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