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들이 있는데,
이것들을 바탕으로 마이크를 구별하는 아래와 같은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지향성에 따른 분류
지향성이란 것은 마이크의 어떤 부분을 통해 음이 들어와야지 음이 잘 수음되느냐 하는 것입니다.
무지향성 마이크의 경우에는 마이크의 어느 부분에서 음이 들어와도 같은 크기의 음으로 수음이 됩니다.
마이크와의 거리만 같으면 마이크의 어느 방향에서건 같은 레벨로 수음되는 것이죠.
보통 아나운서들이 사용하는 핀마이크들이 그런류입니다.
보통 핀마이크는 가슴에 달게 되는 데 마이크를 눕혀 놓건 거꾸로 달건
아나운서의 입과의 거리가 일정하면 같은 레벨로 수음됩니다. 단점이라면 잡음에 약하죠.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목적음이나 주위의 필요로 하지 않는 잡음의 크기가 같이 수음이 되기 때문입니다.
단일지향성 마이크는 우리가 흔히 쓰는 노래방마이크 같은 것들이죠. 가수가 노래를 부를때 사용하는
마이크들이 그런 것들입니다. 마이크 끝부분의 감도는 좋고 그 외의 주위에서 들 리는 음들은 수음이 잘 안됩니다.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를 때 마이크의 끝부분을 입에 대고 노래를 부를 때 소리가 잘 나는것이 이 때문입니다.
이것은 무지향성과 달리 잡음에 어느 정도 강합니다. 목적음인 노랫소리는 잘 들리지만 주위의 잡음은
수음이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쌍지향성 마이크라는 것이 있습니다. 인터뷰할 때 적합한 마이크죠. 사회자가 마이크를 인터뷰 하는
사람에게 향하고 질문을 해도 답변하는 사람의 목소리 뿐아니라그 반대편에 있는 사람의 질문 목소리도
잘 들리게 됩니다. 물론 그외 주위의 잡음은 적게 들리게 됩니다. 지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초 지향성 마이크도 있습니다. 카메라 렌즈로 생각하면 망원 렌즈입니다. 스포츠 중계 할 때 사용하거나
드라마에서, 또는 잡음이 심한 곳에서의 인터뷰등, 사용하는 곳이 많습니다.
다큐멘터리를 찍을 때에도 요긴하게 사용됩니다.
2>동작원리에 따른 분류
지향성으로 마이크를 나누는 방법외에 마이크의 동작원리로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리본형 마이크,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일렉트릭 마이크등의 마이크들이 있지만,
크게 보자면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세히 구조를 분해해서 이야기 할 수도 있지만 그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마이크의 원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음파가 마이크의 진동막을 울리고 울린 진동막, 그러니깐 그 상하의 움직임이, 학교 다닐 때 달달
외웠던 프레밍의 오른손, 왼손 법칙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거서 만들어진 신호가 음향신호가 되는 것입니다.
다이나믹 마이크의 경우 이러한 방식을 씁니다. 왔다갔다 하는 것만으로 전류가 발생하니깐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잠깐, 지금은 쓰지 않는 LP판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거기에 쓰는 바늘이 있죠. 바늘의 좌우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장치가 카트리지입니다.
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죠. 이 카트리지의 종류엔 MM 타입과 MC타입이 있습니다.
프레밍의 법칙에서 처럼 전류를 만들려면 자석과 전선 즉 코일이 필요하게 되죠.
여기서 MM형은 무빙 마그네틱이라고 해서 코일은 가만있고 자석이 움직여서 전류를 만들고
MC형은 코일을 움직여서 전류를 만들죠... 조금 옆길로 갔나요? 그럼 다시 마이크로 가서..
콘덴서 마이크의 경우는 조금 달라서, 위의 왔다 갔다 하는 상하 움직임이 콘덴서를 가변시킵니다.
콘덴서의 용량이 달라지는겁니다.
물론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만이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펜텀 전원이라고 하는데 12v, 24v,등을 씁니다.
뭐 다른 전압을 쓰는 것도 있지만서리.. 이 두 가지 마이크는 원리 만큼이나 특성이 다릅니다.
이 둘을 비교한다면, 다이나믹 마이크는 콘덴서 마이크에 비해 기계적으로 튼튼하고, 큰 피크음에
잘 견디고 가수의 목소리 수음에 많이 쓰이고 하울링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등이 있습니다.
콘덴서 마이크는 이와 반대로 기계적 충격에 약하고 감도가 매우 좋고 음악 녹음에 좋고 하울링이
잘 생기고 주파수 특성이 좋다는 점입니다. 요즘에는 다이나믹 마이크도 특성 좋은 마이크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어서 그 구분이 점점 약해 지고 있는 추셉니다.
3>형태에 따른 분류
마이크의 종류를 형태별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무선 마이크와 유선 마이크로도 나눌 수 있고,
핸드마이크, 건마이크, 스탠드마이크, 핀 마이크, 스테레오 마이크.. 음..
또..PZM마이크, 스튜디오용 마이크, 테스트용 마이크 등이 있습니다. 또 스테레오 마이크도 종류가 무진장 많습니다.
스테레오 마이크는 종류가 워낙 많아서 담에 날 잡아서 이야기 하죠.. 마이크라는 것이 워낙 종류가 많고
그 특성이 가지 각색이라서 믹서에 있어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 하는 것이 "마이크의 선택"이라고 해도
특별히 뭐라할 사람 없을 겁니다.
음... 마이크는 이름만 들어도 잘 아시겠지만서리 생소한 것 몇가지만 보면 PZM마이크와
스테레오 마이크 스텐드 마이크 등이 있겠죠? 스테레오 마이크는 담에 설명하기로 했고, PZM은 이런겁니다.
아주 납작하게 생겨서 바닥에 딱 붙여 놓는 겁니다. 회의나 스포츠중계 ..
어디든 쓸 수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뭐니뭐니해도 연극이나 뮤지컬입니다. 거의 필수죠..
무선 핀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어떤 상황에서도 간접음으로인한 중첩없이
직접음만 수음할 수 있는 좋은 마이크입니다.
|
첫댓글 공부 좀 하려고 퍼 갑니다.
존도사님 좋아쫑아요 감사해요
좋은 자료를 주시니 항상 감사해요. ^*^
영상음향에 너무무지해서 영상팀을 꾸려가기힘듭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음향정보1] 마이크 알고 사용 합시다 1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
모르던 것을 잘 알고 갑니다,감사합니다
늘 좋은 정보 주시니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그런 마이크류를 참조하여 주시면 더욱 도움이 될듯합니다
ㄳㄳ
마이크에 대해서 잘 알수있는 정보였네요 감사합니다.
공부잘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