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피안사 [到彼岸寺]
피안의 세계에 다다른다 해서 붙여진 이름의 도피안사.
피안(彼岸)이라 하면 저쪽 기슭이라는 말인데 불교에서는 극락정토 또는 깨닳음의 기슭에 건넌다는 뜻이다.
또한 모든 번뇌의 불이 소멸되어 일체의 집착을 벗어나 생사를 초월한다는 뜻의 열반이나 해탈도 비슷한
의미로 쓰여지곤 한다.
도피안사는 강원 철원군 동송읍(東松邑) 관우리(觀雨里) 화개산(花開山)에 있는 사찰로
철원을 대표하는 사찰이라 할 수 있지만 규모는 그리 크지 않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며
865년(경문왕 5)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신도 1,000여 명을 동원해 창건한 유서깊은 고찰이다.
1898년(광무 2) 화재를 입어 당시의 주지 법운(法雲)이 재건하였고, 1914년 다시 개수하였다.
8·15광복 후 공산치하에 들어갔다가 6 ·25전쟁 때 전화(戰禍)로 완전 폐허가 된 것을
1959년 당시 육군 제15사단에서 재건하여 군승(軍僧)을 두어 관리하였으며
"땅속에 있는 불상이 답답하다"는 꿈을 꾼 이명재 장군(당시 15사단장)은 전방시찰 중 우연찮게 불에 타 없어진
도피안사터에서 땅속에 뭍힌 불상을 발견하여 장병들의 노력으로 재건하게 되었다 한다.
여기에는 도선국사가 건립·주조하였다는 높이 4.1m의 화강암으로 된 3층석탑(보물 223)과
도피안사 대적광전에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坐像:국보 63)이 있다.
(대적광전이라는 명칭 자체가 이미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경내에는 수령 550년된 30m높이의 거대한 느티나무가 있다.
설화 (강원전통문화총서 3)에 의하면
통일신라 경문왕 5년(865년) 도선국사가 높이 91㎝의 철조비로사나 불좌상을 제조하여, 철원읍
율이리에 소재한 안양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여러 승려들과 같이 암소등에 싣고 가다가 현 화지리의
암소고개에서 잠시 쉬었다. 그런데 그때 이상한 일이 생겻다. 암소등에 있던 불상이 없어진것이다.
당황한 승려들이 주위를 헤메였으나 밤새도록 찾지못하였다.
다음날 한 스님이 현재의 도피안사 자리에 이르러 보니 불상이 안좌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도선국사는 그자리가 명당임을 알고 조그마한 암자를 짓고 이 불상을 모셨다 한다.
당시 철조불상이 영원한 안식처인 피안에 이르렀다 하여 절이름을 도피안사로 짓고 마을명칭도 도피동으로,
암소가 쉬었던 고개를 암소고개로 명명하여 부르게 되었다.
도선국사는 비보(裨補)풍수를 주장하였는데 비보풍수는 흠 있는 땅의 운명을 인위적인 힘을 가해 약한 곳은
돋우고 보충하여 쓸모 있는 땅으로 만드는 풍수를 말한다.
도피안사가 위치하고 있는 화개산은 물위에 떠 있는 연약한 연꽃의 모습이어서 철불과 석탑으로 산세의 허약함을
보충하였다 한다.
현재 도피안사는 거의 절의 형태를 바꾼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중창불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일주문을 새로 세우고 천왕문, 삼성각, 범종각 등 몇 채의 건물이 짜임새 있게 들어서고 금강문 뒤로
연못을 조성하고 있다.
도피안사가 있는 철월군 동송읍 관우리 지역은 민간인 출입통제지역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었으나
지금은 누구나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다.
화개산을 뒤로 하고 있는 도피안사 최고의 볼거리는 삼층석탑(보물 223호)과 철조비로자나불상(국보 63호)으로
모두 이 절이 세워진 865년(경문왕5)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나 불상과 관련한 이야기로 추측해 보면 불상이
먼저 제조되고 석탑이 나중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불상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부드러운 미소 속에 감춰진 묘한 힘이 느껴져 그 당시의 권력을 갖고 있는
사람의 실제 모습을 그린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긴 얼굴에 입가가 약간 돌출된 모습을 하고 있어 위엄이 있다기보다는 친근한 느낌을 준다.
불상의 얼굴은 한 가지만은 아니다.
불상의 모습은 그 때 그 때 달라서 불상이 만들어진 시대상을 반영하기도 하고 불상을 제조하는 목적과 지역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고 한다.
신라말에서 고려초에는 철로 만든 불상이 크게 유행했는데,
이 작품은 그 대표적인 예로,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臺座)까지도 철로 만든 보기 드문 작품이다.
또 하나의 '촌스런' 볼거리는 대적광전 앞에 서 있는 삼층석탑이다.
촌스럽다고 하였지만 9세기에 경주를 중심으로 한 중앙귀족문화에서 지방호족문화로의 힘의 이동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성적인 호족문화로 세련미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균형이 흐트러진 것 같기도 하다.
도피안사에는 금개구리가 출현해 메스컴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금빛개구리는 1996년 처음 발견될 당시는 16마리가 목격이 됐었는데
9월초부터 10월 하순까지 3층석탑을 지켰다고 한다.
도피안사 삼층석탑 [到彼岸寺三層石塔]
강원 철원군 동송읍(東松邑) 관우리(觀雨里) 화개산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제 석탑.
보물 제223호. 높이 4.1m. 이중기단 위의 3층석탑으로, 사각형 지대석에 8각기단 구조의 특수형식이다.
하대의 8각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고, 상면에는 복판(複瓣) 연꽃이 있으나 단조롭다.
중대석도 8각인데 조각을 장식하지 않았다.
상대석에는 앙련(仰蓮:위로 향한 연꽃)이 새겨져 있으나 복련(覆蓮:아래로 향한 연꽃)보다 중량감이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은 석탑의 것이라기보다는 불상의 기단 양식에서 온 것이라 해석된다.
탑신부의 짜임새는 일반 4각 석탑에 따랐으나, 각층 탑신이 매우 높고 옥개석 받침이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각형(角形)이 아닌 반원형이어서 특이하다.
다만, 옥개석 추녀 및 낙수면은 신라석탑의 본을 간직하고 있다.
상륜부(相輪部)에는 큼직한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탑의 각 부분이 너비에 비하여 높이가 높아 고준한 느낌은 있지만 안정감은 결여되어 있다.
건립 연대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나 이 법당에 있는 비로자나불좌상의 기명(記銘)으로 미루어
865년(경문왕 5)일 것으로 추정된다.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到彼岸寺鐵造毘盧舍那佛坐像]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東松邑) 관우리(觀雨里) 화개산 도피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철조 불상.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63호로 지정되었다. 철로 만든 불상으로 높이는 91cm이다.
대좌 맨 아래에는 8판 연화에 귀꽃이 있는 복련석(覆蓮石)이 깔려 있으며,
그 위에 우주(隅柱)가 있는 8각 중석을 얹고, 다시 단판 중엽의 앙련석을 얹었다.
따라서 불신에 비하여 높고 넓어서 안정감을 준다.
불신의 전면에 칠한 호분(胡粉)은 벗겨졌지만, 옷무늬선과 같은 깊은 곳에는 아직도 남아 있다.
머리털은 나발인데 육계는 뚜렷하지 않으며 얼굴은 달걀 모양이다.
반쯤 뜨고 있는 눈, 작은 코에 입은 다물었고 두 귀는 짧다.
긴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지 않으며, 수인은 *지권인(智拳印)을 하였다.
어깨에 걸쳐 입은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옷무늬는 평판(平板)이 겹쳐진 것 같은 평행선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고려불상과 비슷하다.
신라 후기의 불상으로서는 조형수법이 능숙하고, 각부(各部)의 비례가 훌륭하게 조화되었다.
부처의 등에 조상기가 음각되어 있어 당나라 함통(咸通) 6년, 즉 865년(경문왕 5)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지권인(智拳印)
불, 보살의 공덕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모양을 수인(手印)이라 한다. 원래 불전도(佛傳圖)에 나오는 석가의
손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불의 경우에는 선정인,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시무외인, 여원인의 5가지 수인을
주로 취하나 이 밖에도 천지인 등이 있다.
특히 밀교에서는 수인을 중시하여 대일여래의 지권인을 비롯하여 보살, 천부, 명왕 등에 따른 다양한 손모양이
나오게 되었다.
이와 같이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다.
이(理)와 지(智),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이 원래는 하나라는 뜻의 수인이다.
보리인(菩提印), 각승인(覺勝印)이라고도 한다. 금강정경(金剛頂經)에 기초를 둔 것으로 양손을 가슴 앞에 올리고
집게손가락만 똑바로 세운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서 오른손 엄지가 왼손 집게손가락 끝에 서로 맞닿도록 한
모양이다. 이 수인은 주로 밀교계의 대일여래가 취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보림사 철조비로자나철불(859년)을 비롯하여 동화사 비로자나철불(863년),
도피안사 비로자나철불(865년), 축서사 비로자나철불(867년) 등 고려시대의 불상을 들 수 있다.
*비로자나불 (毘盧자那佛)
비로자나불(毘盧자那佛)은 부처의 진신을 나타내는 존칭으로 법신불임.
화엄경의 주존불로서 밀교의 대일여래와 같은 이름.
지권인의 수인으로 문수,보현보 살 협시 형태와 노사나불,석가모니불 협시 형태가 있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유행하였으며 지리산 내원사 소장 석조비로자나불좌 상이 최고이며 보림사,
도피안사 철조비노자나불 좌상이 있다.
[삼성각]
[종각]
[종각]
[느티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