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생자 행성(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1998)
린 마굴리스, 이한음, 사이언스북스, 2007, P. 239.
- 마굴리스(Lynn Margulis, born Lynn Alexander; 1938–2011) 미국 생물학자.
-이한음: 서울대 생물학과 졸, 번역가
마굴리스 자신이 성장과 학문적 관심,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 생긴 여러 일화들, 그리고 학문적으로 새로운 학설을 끌어내어 풀어가는 과정을 서술했다. 지구역사와 더불어 생물의 변형역사를 조합하여 설명하는 식이다. 둘이 땔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지구의 표면에서 물도 공기도 변하고, 그와 더불어 환경에 맞게 생명체도 변한다. 즉 진화한다.
세균 융합은 볼복스를 생각나게 하였으나 전혀 다르다. 전자는 상대적 관계로서 합치이고 후자는 복잡성에 가깝다. .
마굴리스 학계에 오해를 불러 일으킨 점에서 매클린톡과 비슷한 삶을 살았다. 그런데 두 여인은 다르다. 마굴리스는 노마드인에, 매클리톡은 혈거인에 가깝다.
# 공생자 행성(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1998)
목차
•옮긴이의 말: 과학의 신비화를 경계하라 4-9
그녀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뿐만 아니라 세포 안팎에서 운동에 관여하는 파동모와 방사추 같은 구조물도 생물 간 융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5)
저자는 난자와 정자를 만들고 둘을 합쳐서 새 수정란을 만드는 식의 번식 방식, 즉 성(性)도 공생의 산물이라고 본다. (6)
지구가 생명으로 가득한 생성이 된 것은 공생 덕분이었다. (6)
제임스 러블록[(J. Lovelock, 1919-)]의 가이아 가설과 연관 지어 ... 즉 가이아는 공생의 행성을 일컫는 또 다른 이름이다. 생태학자들은 마굴리스의 이런 주장에 대체로 공감할 성 싶다. 또 이른바 행성과학자들도 인간이 지구를 돌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인간을 돌보는 것이라는 말에 공감할 것이다. (7)
그녀는 변이를 통해 신종이 생기는 것이 관찰된 사례가 드물며, 그 보다는 감염, 섭식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전체를 획득하는 일종의 세포내 공생을 통해 신종이 생성된다는 이론을 전개한다. 생존경쟁이 아니라 협동이 새로운 종 형성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8)
그녀는 세포핵 유전과 다윈주의 대신 세포질 유전과 신라마르크주의를 택했고, 또 식물과 동물 대신 병균이라고 무시되던 세균같은 미생물을 연구 대상으로 택했다. (8)
하지만 그녀는 신비화를 경계한다. (9) - 2007 동지 이한음.
•머리말: 40억 년 역사의 초대형 실험실 지구 10
[그녀는 인간중심주의적 관념이 지배하는 것이 ‘길들여진 무능’이라 한다. 벩송이 순환논증의 오류의 사고라고 비판 한 것과 같다. 인간중심주의 또는 지성주의는 일만 년전에 시작하여 7천년 전에 ‘원국가’ 형태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보는 것이 들뢰즈이다. 우리는 이보다 이를 것으로 본다. 50만년 전에 매장의 문화에서 또는 언어의 형성인 200만 년전에 이런 조짐이 보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47WLB)]
원주: 존슨(Thomas H. Johnson)이 편집한 The Poems of Emily Dickinson: Les poemes d’Emily Dickinson(1955). 여기 인용한 시들의 번호는 이 시집의 시번호이다. (11)[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 1830-1886) 마서츄세츠 출생 미국 여류시인.]
‘고등한 존재’도, ‘하등한 존재’도, 천사도, 신도 없다. 산타클로스와 마찬가지로 악마도 나름대로 유용한 전설일 뿐이다. (15)
나는 다른 모든 영장류들과 마찬가지로 인간 역시 신의 창조물이 아니라 매순간 반응하는 미생물들이 수십억년에 걸쳐 상호작용한 과정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17)
제1장 지구는 공생자들의 행성 21
[린 마굴리스: 재기 발랄한 여성]
[복합체 = 볼복스?]
제2장 정통 견해에 맞서다 35
[새로운 학설: 연속 세포내 공생이론(endosymbiotic theory. SET Serial Endosymbiotic Theory)]
에프루시(Boris Ephrussi, 1901-1979)
멘델(Gregor Mendel 1822-1884) .. 완두콩
초창기에 독일과 영국에 생화학 연구가 이루어진 1930년대 이래로, 효모를 비롯한 균류의 미토콘드리아가 자체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고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50-51)
[1900년에 체르마크(E. V. Tschermak)와] 위고 드 브리스(Hugo de Vries)와 코렌스(Carl Correns) (51)
‘거대한 섬모충’인 나팔벌레를 해부하는 밴스 타타(Vance Tartar, s.d.), 핵의 우월성을 확립한 토마스 모건(Thomas Hunt Morgan, 1866-1945), 생명을 ‘돌연변이, 번식, 돌연변이의 번식’으로 정의한 허먼 멀러(Herman Joseph Muller, 1890-1967), 초파리를 대상으로 유전자, 염책체, 환경, 진화사의 연관성을 끝없이 탐구한 돕잔스키[(Theodosius Dobzhansky, 1900-1975)], .. 염색체의 염기들을 분석하던 앨프리드 스터터번트(Alfred Henry Sturtevant, 1891–1970) (53-54)
돕잔스키(Theodosius Dobzhansky, 1900-1975) “생물학은 진화의 관점에서 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54)
1963년이 되자 난자의 세포질 인자들에 관한 논문들이 많이 나왔다. (55)
루스 세이저(Ruth Sager, 1918–1997)와 프랜시스 라이언(Francis Ryan, s.d)의 세포질 유전자 연구와 이탈리아 연구자 지노 폰테코르보(Gino Pontecorvo)[폰테코르보(Guido Pontecorvo, 1907–1999)]가 수집한 점균류 . (56) .
윌슨(Edmund Beecher Wilson 1856-1939) 미국 동물학자 유전학 개척자. The Cell in Development and Inheritance (1896; second edition, 1915; third edition, 1925) [벩송도 주목한 책이다]
월린(I. E. Wallin, s.d.), 메레슈코프스키(Konstantin Sergeevich Merezhkovsky, 1855–1921), 파민친(A. S. Famintsyn, 1835–1918) .. 카키나(Liya Nikolaevna Khakhina, s.d.) (57)
섬모충의 일종인 짚신벌레 .. 소너본(Morton Tracy Sonneborn 1905–1981) 미국 생물학자. 짚신벌레(protozoan group Paramecium)전공 (59)
서너본과 그의 프랑스 동료인 자닌 베송(Jannine Beisson, s.d.)은 획득 형질이 유전될 수 없다는 보편적인 교리에 완전히 반대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59)
허먼 멀러(Herman Joseph Muller, 1890-1967)는 적어도 원리상 생명의 중심에 벌거벗은 유전자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61)
프랑스 해양 생물학자인 에두아르 샤통(Edouard Pierre Leon Chatton, 1883-1947)과 하버드 교수인 레뮤얼 클리브랜드(Lemuel Roscoe Cleveland, 1892-1969) .. (61)
연속 세포내 공생이론(endosymbiotic theory. SET Serial Endosymbiotic Theory) "On the Origin of Mitosing Cells". 15번쯤 거부당하고 난 뒤 1967년 말 린 세이건 이름으로... 맥스 테일러(Max Taylor, s.d.) (63)
1969년 재혼 ... 마굴리스(Lynn Margulis(32살), (65).. Origin of Eukaryotic Cells, 1970)[세포내 공생이론이 책으로 발표된 첫째 작품이다]
제3장 개체는 합병에서 태어났다 69
[새로운 생명체의 생성에 관하여..]
1873년 독일 생물학자 드 바리(Heinrich Anton de Bary 1831-1888)가 만든 용어인 공생은 종류가 다른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69)
개체 수만으로 따지면, 지구를 지배하는 생명체는 인간이 아니라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이다. (77)
공생발전은 러시아의 혁신적 생물학자인 콘스탄틴 메레슈코프스키(Konstantin Sergeevich Merezhkovsky, 1855–1921)가 주장한 용어로...
섬모에 관하여 .. 맥스 테일러(Max Taylor, s.d.)와 케벌리어 스미스(Tom Cavalier-Smith, 1942-) (79) ...
<막스 테일러는 나의 연속공생설에 대한 대안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70년대 초에 세포소기관의 기원에 대해서 "내생설" 또는 "직접 파생설"을 제안했다. 이것은 나의 견해와 명백히 대립되는 것으로 미토콘드리아, 섬모 그리고 엽록체가 공생에 관계없이 진화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핵에서 뽑은 DNA의 일부에서 발생한 것이며 결코 이상한 박테리아가 아니라 원래 세포의 일부라는 것이다. 이 직접 파생설은 막스의 이론의 귀결이기도 하지만 생물학의 주류적 견해인 분지에 의한 진화라는 암묵적 가정과 잘 부합하는 것이다> - <잃어버린 참신을 찾아서: http://cafe.daum.net/one-god / 카페지기 가을>에는 제3장 번역이 실려있다.
단백질 합성은 자유 생활하는 박테리아에서와 마찬가지로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 내부에서 행해진다. 달하우지 대학(Dalhousie University in Halifax)의 분자생물학자 포드 둘리틀(Ford Doolittle, 1842-)과 마이클 그레이(Michael Gray, s.d.)는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의 염기서열이 자유생활하는 박테리아와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85) [가을 번역]
진핵세포는 공생 발생을 통해 진화했다. (86)
미우주항공국의 에임스 연구소의 연구원인 하이만 하르트만(Hyman Hartman, s.d.) 박사는 세부적 설명없이 핵 그 자체가 자유생활하던 박테리아였다고 주장한다. 핵을 공생체로 보는 견해를 처음 제시한 사람은 하르트만이 아니고 1921년에 사망한 러시아 과학자인 메르츠코프스키였다. (86-87) [가을 번역]
맥마스터 대학의 래드니 굽타(Radney Gupta, s.d.)는 초기 진핵세포의 "키메라적"(chimeric) 본성에 관한 난해하지만 상세한 증거를 제시했다. (87-88)[가을 번역]
진핵세포는 유사분열이라고 하는 염색체의 춤이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둘로 나뉘어 지는데 이런 종류의 세포분열은 스피로헤타의 멈추지 않는 운동습성에서 유래한다. (89) [마굴리스의 염색체의 춤은 매클린톡의 점핑유전자와 비슷한 의미일까? (47WMC)]
많은 세포에서 중심립(centriole)은 유사분열이 완료되자 말자 축을 성장시키기 위해 키네토솜(kinetosome)으로 변형된다. 이것은 이 둘이 동일한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1898년에 파리대학의 생리학 교수인 [엔기] 헤네가이(L.F. Henneguy, 1850-1928)와 부다페스트의 폰 렌호섹(von Lenhossek, 1863-1937)는 동물세포에서 중심립과 키네토솜의 동일성에 주목했다.(92) [가을 번역]
옥스퍼드 대학의 생물학자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 1930-)는 진핵세포의 내부에 있는 스피로헤타 공생체로 여겨지는 흔적을 루이스 캐럴의 『[놀라운]이상한 나라 엘리스』의 체셔의 고양이와 비교하고 있다. 고양이가 서서히 사라지면서 공중에 불가사의한 웃음을 남기고 있는 것처럼, "유기체는 자신의 일부를 상실하면서 배경 속으로 녹아들지만 그 흔적을 통해 그 원래의 모습을 복원할 수 있다." (92) [번역 가을] [
록펠러 대학의 존 홀(John Hall), 데이비드 럭(David Luck) ,그리고 젠타 라마니스(Zenta Ramanis) 등은 녹조(Chlamydomonas) 속에서 중심립-키네토솜을 만들어내는 정보를 코드화하고 있는 특수한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것은 일반적인 핵내의 유전자들과는 별도로 그룹을 이루고 있었다. 나는 이 연구보고서를 읽자말자 "과격한인" SET가 타당하리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84)[가을 번역]
예일 대학의 조엘 로젠바움(Joel Rosenbaum, s.d.) 은 동일한 녹조에서 중심립-키네토솜을 검출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의 존재를 부인했다. 스피로헤타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는 상황적인 증거 조차도 아주 빈약하다. 나는 내가 틀렸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각오하고 있다. .. 칼 뵈제와 막스 테일러의 동료인 캐빌리어 스미스는 모두 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태고의 원생생물의 기원에서 공생이 어떤 기여를 했다고 보지 않는다. (95)[가을번역]
제4장 생명의 덩굴 97
[분류학 ..]
철학자이자 인류학자인 그레고리 베이트슨(Gregory Bateson, 1904-1980)의 유명한 말처럼, “지도는 영토가 아니다” 생물의 이름도 그렇다. 한 생물의 역사는 가계도로 묘사되곤 한다. .. 나무모양이다. (98) [나무모양과 계단모양은 이미 상층을 중심으로 사고 한 것이다. 리좀으로부터 사유는 가로지르기가 있다. 가로지르기는 마굴리스는 공생과 닮았다. (47WMC)]
가지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문합(吻合, anatomosis)이라 한다. 생명의 나무는 지하와 지상에서 뿌리끼리 가지끼리 서로 만나서 기이한 새 열매와 잡종을 형성하는 얽히고 설켜 맥박 치는 존재다.(99)
월린(Ivan Wallin, s.d.) 1920년대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가 공생 세균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을 때, [주류학계는] 공생주의 이론을 비웃었다... 가지들이 융합한다는 말을 꺼낸 사람은 메리슈코프스키뿐이었다. (101)
안톤 반 레렙후크(Antony van Leeuwenhoek, 1632-1723)
생물 분류 체계를 비판하고 수정하는 입장.. 칼린 슈워츠(Karlene Schwartz, s.d.)와 나는 지난 20년 넘게 ... [그 결과로 나온 작품: Lynn Margulis and Schwartz V. Karlene, 다섯 왕국(Five Kingdoms: An Illustrated Guide to the Phyla of Life on Earth, 1997. ]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 1834-1919)
대폴리니우스(Gaius Plinius Secundus, 23–79), 37권으로 된 자연사(Naturalis Historia : Natural History)
분류학은 1686년 영국인 존 레이(John Ray, 1627–1705)가 수천 종의 식물을 집대성한 책을 출간 .. (109) [유럽식물총서(Collection of European plants. 1694)]
스웨덴 식물학자 린네(Carl Linnæus, puis Carl von Linne, 1707-1778) .. 이명법. (109) [Systema Naturæ, les systemes de la Nature, 1735)(1758년 10판) 명명법은 1758년을 원년으로 삼고 있다.]
프랑스 해부학자 퀴비에(Georges Cuvier 1769-1832) 목들을 묶어서“분지(embranchemnt)”[목 강 설정] (111) [ 프랑스의 동물학자. 비교해부학과 고생물학의 창시자이다.]
생물교사 코플런드(Herbert Faulkner Copeland, 1902–1968)는 미국 식물학자. 계(kingdoms)개념을 만들다
호그(John Hogg (1800–1869)
위태커(Robert Harding Whittaker, 1920–1980) (114) [미국 식물 생태학자] 5계(kingdoms)로 분류.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대사에 의존하므로, 최초의 바이러스는 세균[박테리아]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 바이러스는 세균이나 인간 세포와 마찬가지로 ‘병원체’도 ‘적’도 아니라는 것이다. (118-119)
바이러스의 자원이든 다른 무엇의 자원이든 간에, 과잉 성장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뇌의 이마엽에서 벗어날 수 없듯이, 바이러스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우리는 자신이 바이러스다. (119) [동물이 식물없이, 즉 자신스스로 영양을 마련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바이러스인가? (47WMD)]
우즈(Carl Richard Woese /ˈwoʊz/, 1928–2012) 미국미생물연구자. 3영역체계...
마이어(Ernst Walter Mayr /ˈmaɪər/, 1904–2005) 미국 진화 생물학자.
분류 체계는 정보 검색 시스템이어야 한다. (125)
제5장 세포는 생명 탄생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127
[생명체의 기원과 그 발전(진화)의 과정은 초기 세포 연구에서 .. ]
세포핵이 있든 없든 간에, 생명의 기본 단위는 세포다. (127)
지금의 최소 생명 단위이자, 스스로 존속하고 번식하는 세균 세포가 바로 우리의 출발점이다. (131)
모로위츠(Harold J. Morowitz, 1927-) 미국 생물물리학자(American biophysicist) 마요네즈와 생명의 기원(Mayonnaise and The Origin of Life: Thoughts of Minds and Molecules. 1985) (132)
[영국의 생물학자] 프랜시스 크릭(Francis Harry Compton Crick, 1916-2004년) - 원주 생명 그 차제: 생명의 기원과 본성(Life itself: its origin and nature, 1981) .그는 지구라는 행성에 생명의 씨를 뿌리겠다고 결심한 어느 외계 문명이 세균들을 이곳으로 보냈다고 주장했다. (135-136) ,.
독실한 카톨릭 신자인 .. 파스퇴르 실험 ... 자연 발생설이 틀렸다는 것을 극적으로 증명했다. (137)
현대과학자들은 .. 최초의 생명은 태양계의 무생물에서 기원했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역설적 측면이다. (138)
스탠리 밀러(Stanley Miller, 1930-2007)와 헤럴드 유리(Harold Urey, 1893–1981) .. 유기화합물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다... ‘자연 발생’ (140)
밀러.. ‘원시 수프’ 라는 개념(141)
모로위츠는 생물학에 공간, 시간, 인과율 외에 ‘기억’을 추가 한다.
벨루소프-자보틴스키 반응(Belousov-Zhabotinsky Reaction
[러시아 출신 화학자] 벨기에의 노벨 수상자 프리고진(Ilya Prigogine, 1917-2003)는 산개구조들(les structures dissipatives) .. 이 흩어진 구조는 유용한 에너지를 동화하고 쓸모없는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흩어버림으로써 기증을 유지하는 계를 말한다. (144) [체계들의 산개구조들과 자기조직화(les structures dissipatives et l'auto-organisation des systeme)]
생명은 본질적으로 기억 저장시스템이다. (146) [기억저장과 활동이 면역도 생존경쟁도, 적응도 함께 이루어간다. 벩송은 기억, 의식, 생명은 공연적(체계 공통 확장적)이라 한다. (47WMD)]
세포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일을 한다. 첫째[우선], 세포는 유전자를 복제한다. 이 유전자 생성 단계를 DNA합성이라고 한다. 움가 복제된 뒤, 유전 정보 중 한쪽은 그대로 보존된다. 다른 한쪽은 ‘번역’된다. (147-148) [이 설명은 공간적인데, 시간적으로 풀어보면 하나는 과거로 다른 하나는 미래로, 미래의 실행에서 실수 또는 우발로 새로운 실행이 나오고 그 방식을 거꾸로 저장하는 것이 유전자의 확장일 것이다. 또는 마굴리스 말대로 다른 녀석이 들어와 작업하는 것도 수용하여 보존하면 유전자(DNA)의 도약(비약적 확장)이 되는 것이다. (47WMD)]
RNA는 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능력과 스스로를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점 때문에, 생명의 역사에서 DNA보다 먼저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148) [생명에서는 운동이 먼저고 그리고 조용히 쉬는 것이 다음이다. 이것을 자연(질료)주의라고 부르고, 쉬고 있으면서 명령하여 재생이든 복제를 하는 것은 물체주의(소박한 유물론인데 사실은 주지주의이다)이다. 이것은 데모크리토스 원자론와 플라톤의 이데아론이 내가 동일성 이론의 쌍생아와 같다고 보는 이유이기도 하다. (47WMD)]
다이슨(Freeman Dyson, 1923-) 최초의 생명이 상대적으로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단백질 생물’과 초분자인 RNA가 결합함으로써, 즉 분자공생이 이루어짐으로써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 비록 나는 다이슨이 공생이라는 단어르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다. (149)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1967] 아이겐(Manfred Eigen, 1927-)은 RNA분자들이 시험관에서 스스로 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49)
밀스(Don Mills, s.d.)와 스피겔만(Sol Spiegelman, 1914–1983) ... RNA가 돌연변이를 일으켜서 원래의 ‘부모’ 꿈보다 복제 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149)
토머스 체크(Thomas Cech) 시드니 올트먼(Sidney Altman) .. 특정한 RNA분자들이 스스로 복제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처럼 행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이를 ‘리보자임’이라 한다. .. 리보자임은 시험관 안에서 저절로 진화한다. (150)
조이스(Gerald Francis Joyce, 1956-)와 쇼스턱(Jack William Szostak, 1952-)은 리보자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길버트(Walter Gilbert, 1932-)는 “RNA 세계”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51)
모로위츠는 연속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먹이를 만들고 에너지를 생성하는 세균, 즉 독립영양 생물이 막에 둘러싸인 최초의 세포라고 주장한다. (152)
더껑이 같은 화학물질에서 생명이 탄생한 사건은 한 번 일어났을 수도 있고, 여러번 일어났을 수도 있다. (154)
생명이란 책은 탄소화학의 언어로 씌어졌다. .. 유영자[박테리아]와 포도당분해자 사이에 형성된 동반관계는 원생동물을 낳았다. 나머지는 역사가 말해준다. (155)
제6장 섹스의 진화 157
[성을 통해 공생을 넘어서 공생동반자를 만든다. 왜? 여기에서 저자를 답을 내놓지 못했다. 그런데 그 성이 분류상 매우 나중의 종들이라는 점이다]
세균은 유전자를 다른 세균에게 기증함으로써 자신의 유전자를 포기하는 방법을 쓴다. 세균에서는 50대 50으로 기여하는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 이 유전자 획득은 가벼운 시간(屍姦)처럼 보일 수 있다. 이를 테면 받는 쪽이 어떤 죽은 세포(주는 쪽)이 물에 남긴 유전자를 그냥 줍는 것이다.(158) [기증 즉 줄 때는 무상으로 주어, 관여할 수 없다. 그래서 그 속에서 살아남는 것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이다. ]
인간의 성은 세균과는 과정이 전혀 다르다. .. 수컷의 정자 세포가 암컷의 난자 세포에 끌려서 다가가면 융합(fusion)이 이루어진다. 수정은 배아 발생을 자극한다. .. 수정란은 이제 두벌의 염색체를 지닌다. (159)
도리언 세이건과 나는 성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감수 분열 성이, 세균의 성이 생긴지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특정한 원생생물[(protist)]들에서 실패한 동족 살해의 형태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160-161)
유성 생식 생활 방식에서는 어쩔 수 없이 계획된 죽음을 맞이 해야 한다. .. 약 10억년 전에 세균 공생자들이 통합하여 영구적으로 안정한 공동체를 이루었다가 원생생물 개체로 진화했을 때, 지금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예정된 죽음도 함께 등장했다. (162)
동물은 거의 40개문, 약 3000만 종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각 세대마다 단세포 프로티스트와 같은 단계로 돌아간다. (163)
원생생물 형태의 진핵세포는 적어도 10억년 전에 클론(clone)을 만들기 시작했다. 클론은 생물의 사본을 뜻하며, 세포 분열의 산물이다. 그렇다면 성이 출연한 이유는 무엇일까? (167)
캄브리아기는 웨일스의 옛 지명인 캄브리아의 이름을 딴 것이다. (168)
지질학자 프레스톤 클라우드(Preston Cloud, 1910-1992) .. 마크 맥머너민(Mark McMenamin)와 그의 부인 다이애나(Dianna)는 동물의 출현이 그저 한 가지 원인으로 일어난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168-169)
레뮤얼 클리브랜드(Lemuel Roscoe Cleveland, 1892-1969)는 .. 수정이 필사적인 상황에서 벌어진 우연한 사고로 시작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감수분열 성은 동족 섭식의 여파로 생긴 생존 전략의 일종이라는 것이다. 그는 사멸하는 공동체에서 기묘한 긴장관계가 벌어지는 것을 관찰했다. (177)
감수분열-수정 성은 약 10억 년전에 처음 등장한 듯하다. (181)
성(수정란, 접합자)과 공생은 둘 다 공생동반자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존재를 만든다. 짝짓기 행위는 대개 금방 끝난다... 하지만 세포 공생은 그보다 더 깊고 더 영속적이고 독특한 융합이다. 세포 소기관에서 낳은 진화적 순간을 거친 세포공생에서는 짝짓기 행위가 사실상 영구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183-184)
제7장 초바다의 해변에서 184 [Hypersea]
[맥머너민은 매마른 땅을 생명이 살게 만든 초기 육상 생물의 세계를 “초바다(Hypersea)라고 개념을 만들었다. ]
나는 스타 트렉(Star Trek) 시리즈를 한 편도 본 적이 없다(185)
인간이 먼 우주 공간을 항해하려면, 폐기물을 식량으로 재순환할 인간 이외의 다양한 생물드로 이루어진 생태계가 있어야 한다. (186)
보트킨(Daniel B. Botkin, s.d.)은 생태계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너지와 물질을 이용하여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사는 생물 중들의 공동체”라고 정의 한다. (187)
캐나다 식물학자 피로진스키(K.A. Pirozynski)와 맬록(D.W. Malloch)은 4억 7천만년 전 식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곰팡이’ 융합 개념을 창안했다. (189)
피터 애스태트(Peter Astatt)는 식물이 곰팡이와 장기간 관계를 맺다가 곰팡이 유전자를 훔쳤다고 주장한다. (190)
맥머너민(McMenamin) 부부는 육지로 이주한 생물들이 “초바다”(Hypersea)를 형성했다고 말한다. .. 육지의 생물량은 바다의 생물량보다 .. 수백배는 된다. (192)
초바다라고 말한 것은 주로 균근 곰팡이에 의존하는 식물의 뿌리 체계를 가리킨다. (193)
사실 살아있는 식물의 90퍼센트는 균근 공생자를 가지고 있다 .모든 식물의 80퍼센트 이상은 이 곰팡이 협력자가 없어지면 죽고 만다. 초바다는 세상을 지배한다. (194)
러시아 광물학자 베르나드스키(Vladimir Vernadski, 1863-1945)는 생물을 “살아있는 바다(animated water)”라고 했다. (195)
우리가 아무리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해도, 생명은 훨씬 더 폭 넓은 계를 이룬다. 우리 피부 바깥(그리고 안쪽)에 있는 수백만 종들은 물질과 에너지 측면에서 믿을 수 없을 만큼 복작하게 서로 의존하고 있다. 지구의 이 이질적인 존재들은 우리의 친척이자, 우리의 조상이자, 우리의 일부다 그들은 우리의 무질을 순환시키고, 우리에게 물과 양분을 준다. ‘남’이 없다면, 우리는 살아갈 수 없다. 우리는 살아있는 물[생물]을 통해 공생하고, 상호작용하고, 상호 의존하던 과거와 연결된다. (197)
제8장 가이아 199
[지구 표면이 자기 조절하는 듯한(열역학 제2법칙처럼) 체계를 형성해 왔다. 적어도 생명체가 생긴 이래로 35억년이 마치 유기체적 과정과 비교해도 될 정도이다. 그래서 가이아 체계라고 한다.]
의학 용어 중에 몸 안의 자극으로부터 생기는 운동과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뜻하는 고유감각이라는 말이 있다. (199)
나무는 매미나방 애벌레가 잎을 먹고 있음을 이웃들에게 경고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분비한다. 고유 감각, 즉 자기 자신을 감지하는 능력은 아마 자기 자신만큼이나 역사가 오래되었을 것이다. (200)
지구 신경계가 인간의 출현과 함께 시작된 것은 분명 아니다. 생리적으로 조절되는 지구를 뜻하는 가이아는 인간이 진화하기 훨씬 전부터 지구 수준의 고유감각적 의사소통을 했다. .. (201)
‘가이아’ 학회는 1998년 2월 9일 런던 왕립학회 건물에서 개회식을 열었다. (201-202)
내가 볼 때 인간이 살아있는 지구를 책임지겠다고 나서는 모습은 우스꽝스럽다. 그것은 능력은 없으면서 말로만 떠드는 것과 같다. 우리가 지구를 돌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우리를 돌보는 것이다. (202)
1996년 학회의 중심인물은 가이아 가설의 주창자인 제임스 러블록이었다. 러블록은 1970년대 초에 생명 전체가 자신이 이용하는 환경을 최적화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203)
MIT의 셔우드 롤런드(Franklin Sherwood Rowland, 1927-2012)와 [멕시코의 화학자] 마리오 몰리나(Mario J. Molina, 1943-)는 .. 기체들이 오존층을 파괴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1995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205)
또 러를록은 ..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의 주장을 옹호했다. 레이첼은 침묵의 봄(Silent Spring 1962 Printemps silencieux) (205)
러블록은 연구기금없이 혼자서 지구 대기에 대해 연구했다. ... 메탄이 문제였다. 맥클린톡은 메탄은 메탄 생성균이 만든다고 답했다. (206)
가이아라는 용어는 파리 대왕(Lord of the Flies 1954)의 저자인 소설가 골딩(William Golding, 1911-1993)이 러블록에게 제안한 것이다. (208)
지질학과 생물학이 “단단히 결합된” 즉 긴밀하게 연관된, 생물의 몸 같은 행성 표면을 연구하는 분야를 지구 생리학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209)
한 생물의 폐기물은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된다. 그러나 가이아 계는 자신의 먹이와 남의 폐기물을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지구 규모에서 물질들을 재순환 시킨다. .. 이 행성생명은 복원능력이 아주 강하다. (210)
우리는 인간 종 특유의 오만함을 버려야 한다. 인간이 ‘선택’되었다는, 다른 모든 생물들이 오로지 인간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 (211)
가이아는 끊임없이 새 환경과 새 생물을 만들어 내는, 조절이 이루어지는 행성 표면을 가리킨다. (212)
올렌드젠스키(Lorraine Olendzenski s.d.) ... 벳시 블런트 해리스(Betsy Blunt Harris, s.d.) 미국 미생물학자. (215)
러블록은 이런 발견들을 일반화하여 행성의 대기 체계 전체가 ‘준안정상태’ 즉 반응성을 지닌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는 상태에 있다고 주장했다. (216)
가이아 가설은 과학이다. 가이아 이론은, 행성의 표면이 제한된 특정한 방식으로 생리학적 계처럼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217)
옥스퍼드 대학교의 리처드 도킨스(R Dawkins, 1941-)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다른 행성계들과 자연선택을 통해 진화하지 않은 통합된 행성계라는 개념을 거부한다. (218)
키슈너(James W. Kirchner, s.d.)는 ‘강한 가이가’를 비꼬면서 조롱한다. (219)
러브록은 가이아가 행성 환경을 조절하는 데 의식은 전혀 필료 없다고 대답한다. (222) [의식은 생명현상에 있는 것이고, 지구환경은 의식과 연관이 없다. 단지 의식 있는 존재의 필요조건을 형성하는 중이다. 오랫동안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모른다. (47WMD)]
하딩(Stephen Harding, s.d..).. (224)
인간은 이 행성의 동료들과 전혀 다르지 않다. 인간은 자연을 끝장 낼 수 없다. 인간은 오직 스스로에게만 위협을 가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이 원자력 발전소의 온수조나 열수 배출구에 번성하는 세균들을 비롯한 모든 생물을 없앨 수 있다는 말은 듣기만 해도 우스꽝스럽다. (227)
* 부록: 주요 생물집단 228
세균영역 원생동물
곰팡이
동물
식물
* 주(註) 229
* 찾아보기 235
(10:2, 47WMF)
***
올트먼(Sidney Altman, 1939-) 카나다 미국인 분자 생물학자. 체크(Thomas R. Cech)와 1989년 RNA 연구로 노벨 화학상.
피터 애스태트(Peter Astatt, s.d.) 미국 대학교수. 그는 식물이 곰팡이와 장기간 관계를 맺다가 곰팡이 유전자를 훔쳤다고 주장한다. (190)
베이트슨(Gregory Bateson, 1904-1980) 영국 태생의 미국 인류학자. 베이트슨(W. Bateson 1861-1926)의 셋째 아들이다. 이중구속 주창자.
벨루소프(Boris Pavlovich Belousov, 1893–1970) 소련 화학자, 생명물리학자.
보트킨(Daniel B. Botkin, s.d.) "Environmental Science: Earth as a Living Planet", Daniel B. Botkin, Edward A. Keller, p. 186. Daniel B. Botkin, et al. (March 2007). "Forecasting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Biodiversity". BioScience 57 (3): 227–236.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 1907-1964) 미국 동물학자 생물학자. 우리를 둘러싼 바다(The Sea Around Us 1951 Cette mer qui nous entoure) 침묵의 봄(Silent Spring 1962 Printemps silencieux) ,
캐벌리어 스미스(Thomas (Tom) Cavalier-Smith, 1942) 영국 진화생물학자. 옥스퍼드대학교수
체크(Thomas Robert Cech, 1947) 미국 화학자. 올트먼(Sidney Altman)과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
샤통(Edouard Pierre Leon Chatton, 1883-1947) 프랑스 동물학자. 해양생물학자.
레뮤얼 클리브랜드(Lemuel Roscoe Cleveland, 1892-1969) [en.Wiki 없음, 철자때문?]
클라우드(Preston Ercelle Cloud, 1912–1991) 미국 지구과학자. 생명지질학자. 고생물학자.
코플런드(Herbert Faulkner Copeland, 1902–1968) 생물교사, 미국 식물학자. 계(kingdoms)개념을 만들다 저급 유기체의 분류(The classification of lower organisms, 1956)
카를 코렌스(Carl Erich Correns, 1864-1933) 독일 식물학자, 유전학자. 1897년 식물의 교잡으로 F1의 형질이 어미식물의 몸에 즉시 나타나는 크세니아 현상을 발견, 1900년 4월 네덜란드의 H.드 브리스, 오스트리아의 E.체르마크
프랜시스 크릭(Francis Harry Compton Crick, 1916-2004년) 영국의 생물학자 생명 그 차제: 생명의 기원과 본성(Life itself: its origin and nature, 1981) .
퀴비에(Georges Leopold Chretien Frederic Dagobert Cuvier 1769-1832) 프랑스의 동물학자. 비교해부학과 고생물학의 창시자이다. “분지(embranchemnt)”[과 목 등을 설정]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 캠브리지대학교 신학 학사, 1859년 종의 기원 발표, 1836년 남아메리카, 남태평양, 오스트레일리아 항해, 탐사, 1831년 해군측량선 비글호 박물학자
도킨스(Richard Dawkins, 1941-) 영국 인종학자. 진화 생물학자.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1976), The Greatest Show on Earth: The Evidence for Evolution, 2009), An Appetite for Wonder: The Making of a Scientist, 2013)
드 바리(Heinrich Anton de Bary 1831-1888) 독일 생물학자, 1873년 공생 개념 창안자.
드브리스(Hugo de Vries, 1848-1935)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유전학자. 유전학에서 돌연변이(la mutation) 개념 창안. 식물생리학에서는 호흡작용․팽압․원형질 분리 등을 주로 연구하였고, 유전학에서는 식물의 잡종에 관한 연구를 하여 유전현상에 대해서 세포 내 팡겐설을 제창하였다.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 1830-1886) 마서츄세츠 출생 미국 여류시인. - 존슨(Thomas H. Johnson, s,d,)이 편집한 The Poems of Emily Dickinson: Les poemes d’Emily Dickinson(1955). 여기 인용한 시들의 번호는 이 시집의 시번호이다. (11)
돕잔스키(Theodosius Dobzhansky, 1900-1975) 소련 출신 미국 유전학자. 1927년 미국으로 건너와 모건(Thomas Hunt Morgan, 1866-1945)과 합류. 유전학과 종의 기원(Genetics and the Origin of Species. 1937)
둘리틀(W. Ford Doolittle, 1942) 미국 생화학자. 포드 둘리틀과 마이클 그레이(Michael Gray)는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의 염기서열이 자유생활하는 박테리아와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이슨(Freeman J. Dyson, 1923-) 미영 물리학 이론가, 수학자.
아이겐(Manfred Eigen, 1927-) 독일 생물물리학자. 생물물리학화학자. 1967년 노벨 화학상. RNA분자들이 시험관에서 스스로 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에프루시(Boris Ephrussi, 1901-1979) 러시아 출신 프랑스 유전학자.
파민친(Andrei Sergeyevich Famintsyn, ru. Андрей Серге́евич Фаминцын, 1835–1918) 러시아 식물학자. 페테스부르크 과학아카데미 회원(academician of the Petersburg Academy of Sciences, 1884).
로널드 피셔(Ronald Fisher, 1890-1962) (72살) 영국 통계학자, 진화생물학자, 우생학자 유전학자.
길버트(Walter Gilbert, 1932-) 미국 물리학자 생화학자, 분자 생물학자. 노벨상 수상자(Nobel Prize in Chemistry 1980).
골딩(William Golding, 1911-1993) 영국 작가. 파리들의 대왕(Lord of the Flies 1954: Sa Majeste des mouches)
마이클 그레이(Michael Gray, s.d.)는 미토콘드리아와 색소체의 염기서열이 자유 생활하는 박테리아와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래드니 굽타(Radney Gupta, s.d.) 맥마스터 대학. 미국 원시세포 연구자. 그는 초기 진핵세포의 "키메라적"(chimeric) 본성에 관한 난해하지만 상세한 증거를 제시했다.
에른스트 헤켈(Ernst Heinrich Philipp August Haeckel 1834-1919) 독일 생물학자, 박물학자. 철학자. 니체(F.W. Nietzsche, 1844-1900)와 함께 저술한 세계의 수수께끼가 있다. 다윈 진화론을 독일에 전파.
홀데닌(John Burdon Sanderson Haldane, 1892–1964) 영국 스코틀랜드 태생 인도 국적을 선택한 과학자. 생리학, 유전학, 진화생물학자. 공산주의자.
존 홀(John Hall, s.d.), 데이비드 럭(David Luck, s.d.), 젠타 라마니스(Zenta Ramanis, s.d.) 등은 녹조(Chlamydomonas) 록펠러대학 녹조류 연구자.
하딩(Stephen Harding, s.d..) 영국 슈마허 대학교수
하디(Godfrey Harold Hardy, 1877–1947) 영국 수학자, 유전학자.
벳시 블런트 해리스(Betsy Blunt Harris, s.d.) 미국 미생물학자.
하이만 하르트만(Hyman Hartman, s.d.) 미우주항공국의 에임스 연구소의 연구원, 그는 세부적 설명없이 핵 그 자체가 자유생활하던 박테리아였다고 주장한다.
엔기(Louis-Felix Henneguy 1850-1928) 프랑스 동물학자. 1875년 학위논문 Etude physiologique sur l'action des poisons. 꼴레쥬드 프랑스 교수, 의학, 농학, 과학 세분야 아카데미 회원이었다.
호그(John Hogg, 1800–1869) 영국박물학자. 1839년 영국왕립회원.
조이스(Gerald Francis Joyce, 1956-) 미국 촉매 연구자. on in vitro evolution of catalytic RNA molecules and the origins of life.
카키나(Liya Nikolaevna Khakhina, s.d.) 러시아 식물학자.
키슈너(James W. Kirchner, s.d.) 미국 과학철학자. 버클리대학 교수, 지구 형태학, 지구화학, 진화환경학 분야.
라마르크(Chevalier de Lamarck Jean-Baptiste-Pierre Antoine de Monet 1744-1829) 프랑스의 박물학자, 진화론자. 생명이 맨 처음 무기물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유기물로 변화되어 형성된다고 하는 자연발생설을 역설하면서 이것이 필연적으로 여러 기관을 발달시키고 진화시켜 왔다고 주장하였다. 또, 진화에서 환경의 영향을 중시하고 습성의 영향에 의한 용불용설을 제창하였다.
안톤 반 레이우엔훅(Antonie van Leeuwenhoek, 1632-1723) 네덜란드의 현미경학자·박물학자. 상업에 종사하면서 렌즈연마술, 금속세공술 등을 익혀 확대율 40∼270배의 현미경을 만들었다. 직접 제작한 현미경이 400개 이상이다. 자신의 현미경으로 원생동물·미생물 등을 관찰하여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생물이 있음을 밝혔다.
렌호섹(Mihaly Lenhossek, Michael von Lenhossek, 1863-1937) 헝거리 해부학자, [유기체] 조직학자. .
린네(Carl Linnæus, puis Carl von Linne, 1707-1778) 스웨덴 박물학자(자연학자). Systema Naturæ, les systemes de la Nature, 1735)(1758년 10판) 명명법은 1758년을 원년으로 삼고 있다.
러브록(James Ephraim Lovelock, 1919-) 가이아이론을 창시한 영국의 화학자․의학자․생물물리학자․대기과학자. 가이아이론은 지구를 하나의 작은 생명체로 보는 이론으로, 1979년에 출간한 저서 가이아: 지구상의 생명을 보는 새로운 관점에서 주창되었다.
맬록(David W. Malloch, s.d.), 캐나다 식물학자. D. W. Malloch, K.A. Pirozynski & P.H. Raven (1980). "Ecological and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mycorrhizal symbioses in vascular plants (A Review)". Proc. Natl Acad. Sci. USA 77 (4): 2113–2118.
마굴리스(Lynn Margulis, born Lynn Alexander; 1938–2011) 미국 생물학자. 칼 세이건의 첫아내였다. 첫남편(Carl Sagan: m. 1957–1965, divorced), 둘째결혼(Thomas Margulis: m. 1967–1980, divorced). 진핵세포(eukaryotic cell 眞核細胞), 내공생설(Endosymbiotic theory) 1963년 박사학위.
성의 기원들: 30억년의 유전적 조합(Origins of Sex : Three Billion Years of Genetic Recombination, 1986)(with Dorion Sagan), 소우주: 우리의 미생물 조상들로부터 40억년(Microcosmos: Four Billion Years of Evolution from Our Microbial Ancestors, 1987(with Dorion Sagan), 섹스란 무엇인가?(What Is Sex?, 1997)(with Dorion Sagan), 공생자 행성(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1998), 진화적 혁신의 기원으로서 공생: 종별화와 형태생성(Symbiosis as a Source of Evolutionary Innovation: Speciation and Morphogenesis, ed. 1991),
마이어(Ernst Walter Mayr /ˈmaɪər/, 1904–2005) 미국 진화 생물학자.
마크 맥머너민(Mark McMenamin s.d.) 미국 지질학자, 지리학자. 그의 부인 다이애너(Diane L.S. McMenamin) McMenamin Mark A.S. et Diane L.S. McMenamin,,초바다: 땅위에서 생명(Hypersea: Life on Land, 1996)
멘델(Gregor (Johann) Mendel 1822-1884)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 식물실험자. - 완두콩을 이용한 7년의 실험을 정리하여 1865년에서 1866년 사이에 유전학 법칙을 발표. 1900년 유럽의 식물학자 (독일) 칼 에리히 코렌스(Carl Erich Correns 1864-1933), (오스트리아) 에리히 체르마크-세이세네크(Erich von Tschermak-Seysenegg 1871-), (네델란드)휴고 드 브리스(Hugo de Vries 1848-1935) 등이 각각 멘델과 비슷한 결과를 얻어내고 34년 전에 발표된 실험결과와 개괄적인 원리를 문헌에서 찾아냄으로써 그는 죽은 뒤 명성을 얻게 되었다.
메레슈코프스키(Konstantin Sergeevich Merezhkovsky, 1855–1921) 러시아 생물학자. 식물학자.
스탠리 로이드 밀러(Stanley Lloyd Miller, 1930-2007)는 유태계 미국의 화학자, Abiogenesis.[무생물에서 발생학], 「적절한 조건 아래 있는 원시 지구에서 아미노산의 생성(Production of amino acids under possible primitive earth conditions, 1953)」, Science 117 (3046): 528–529.
몰리나(Mario J. Molina, 1943-) 멕시코 화학자. 크루첸(Paul Josef Crutzen), 롤런드(Frank Sherwood Rowland)와 함께 1995년 노벨 화학상.
모건(Thomas Hunt Morgan, 1866-1945) 미국의 유전학자. 생물의 유전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가 쌍을 이루어 염색체에 선상배열을 하고 있다는 염색체지도를 초파리(Drosophila)의 실험으로 입증하였다(1909).
모로위츠(Harold J. Morowitz, 1927-) 미국 생물물리학자(American biophysicist) 마요네즈와 생명의 기원(Mayonnaise and The Origin of Life: Thoughts of Minds and Molecules. 1985)
허먼 멀러(Herman Joseph Muller, 1890-1967) 미국 유전학자. 노벨상 / 헤르만 뮐러(Heinrich Ludwig Hermann Muller, 1829-1883) 독일 식물학자. 다윈 진화론 증명을 제공한 자.
올렌드젠스키(Lorraine Olendzenski s.d.) 마굴리스 제자. / Lynn Margulis, Heather I. McKhann & Lorraine Olendzenski (ed.), Illustrated Glossary of Protoctista, 1993,
피로진스키(K.A. Pirozynski, s.d.) 캐나다 식물학자. D.W. Malloch, K.A. Pirozynski & P.H. Raven (1980). "Ecological and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mycorrhizal symbioses in vascular plants (A Review)". Proc. Natl Acad. Sci. USA 77 (4): 2113–2118.
대폴리니우스(Gaius Plinius Secundus, 23–79), 37권으로 된 자연사(Naturalis Historia : Natural History)
폰테코르보(Guido Pontecorvo, 1907–1999) 이탈리아 유전학자.
프리고진(Ilya Prigogine, 1917-2003) 러시아 출신 벨기에 화학자, 물리학자. 체계들의 산개구조들과 자기조직화(les structures dissipatives et l'auto-organisation des systeme
존 레이(John Ray, 1627–1705) 영국 박물학자.
로젠바움(Joel Rosenbaum, s.d.) 항목에 경력은 나오는데, 1963년 학위(Ph.D.). 출생일이 없다.
셔우드 롤런드(Franklin Sherwood Rowland, 1927-2012) 미국 화학자. 몰리나(Mario J. Molina, 1943-), (Paul Josef Crutzen)와 함게 1995년 노벨화학상.
프랜시스 라이언(Francis Ryan, s.d)의 세포질 유전자 연구.
칼 세이건(Carl Edward Sagan, 1934–1996) 미국 천문학자, 천체 생물학자.
도리언 세이건(Dorion Sagan, 1959-) 미국 과학작가. 칼 세이건과 마굴리스의 첫 아들. 생물권(Biospheres: Metamorphosis of Planet Earth, 1990)
세이저(Ruth Sager, 1918–1997) 미국 여성 유전학자. 여성주의자. 세포질 유전학(cytoplasmic genetics)에서 암 유전학(cancer genetics)으로 발전했다.
칼린 슈워츠(Karlene Schwartz, s.d.) 분류학자. 그와 마굴리스는 지난 20년 넘게 ... [그 결과로 나온 작품: Lynn Margulis and Schwartz V. Karlene, 다섯 왕국(Five Kingdoms: An Illustrated Guide to the Phyla of Life on Earth, 1997. ]
스미스(David Cecil Smith, 1930-) 영국 생물학자. 식물학자.
소너본(Morton Tracy Sonneborn 1905–1981) 미국 생물학자. 짚신벌레(protozoan group Paramecium)전공
스페만(Hans Spemann, 1869-1941) 독일 발생학자.
스피겔만(Sol Spiegelman, 1914–1983) 미국 분자생물학자. RNA 돌연변이 연구
스타 트렉(Star Trek)은 미국에서 제작된 SF 장르의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프랜차이즈이다. 1966년 TV 시리즈가 진 로덴베리에 의해 처음 제작된 이래, 여러 종류의 수많은 모방물들이 만들어졌다. 오리지널 TV 시리즈만으로도 현대의 거대한 컬트 현상으로 부를 수 있으며, 대중 문화에서 수많은 작품들이 이를 참조하였다. / 영화는 11편의 시리즈이다(1979-1998). / 유진 웨슬리 "진" 로든베리(Eugene Wesley "Gene" Roddenberry, 1921-1991) 미국의 텔레비전, 영화 작가, 미래학자다. 유명한 작품은 스타 트렉(Star Trek)이 있다. .
스터터번트(Alfred Henry Sturtevant, 1891–1970) 미국 유전학자.
쇼스턱(Jack William Szostak, 1952-) 폴란드-영국계 카나다 미국인 생물학자. 리보자임 연구.
타타(Vance Tartar, s.d.)
맥스 테일러(Max Taylor, s.d.) 컬럼비아대학교수
헤럴드 유리(Harold Clayton Urey, 1893–1981) 미국 물리화학자. Atoms, Quanta and Molecules (1930), The Planets: Their Origin and Development (1952).
베르나드스키(Vladimir Ivanovitch Vernadski, 1863-1945) 러시아 광물학자 화학자. Biosfera, 1926(146p.)(tra.. The Biosphere, 1986)
월린(Ivan Wallin, s.d.) 1920년대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가 공생 세균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을 때, [주류학계는] 공생주의 이론을 비웃었다.
왓슨(Andrew[Andy] James Watson, 1952-) 영국 해양 대기과학자. 러브록의 제자. 그는 선생인 러브록과 1983년에 “데이지세계”(Daisyworld model) 모델을 개발했다.
바이스만(August Weismann, 1834-1914) 독일의 발생학자․유전학자. 유전의 기능을 맡은 입자가 염색체에 있다는 사실과 그 염색체의 이름을 비오포아라 할 것 등을 제창하였다. (Bergson EC 26)
위태커(Robert Harding Whittaker, 1920–1980) 미국 식물 생태학자. 5계(kingdoms)로 분류.
윌슨(Edmund Beecher Wilson 1856-1939) 미국 동물학자 유전학 개척자. The Cell in Development and Inheritance (1896; second edition, 1915; third edition, 1925) [벩송도 주목한 책이다].
칼 우즈(Carl Richard Woese /ˈwoʊz/, 1928–2012) 미국 미생물학자. was an American microbiologist and biophysicist.
자보틴스키(Anatol Markovich Zhabotinsky, 1938–2008) 벨루소프-자보틴스키 이론(theory of the Belousov-Zhabotinsky reaction) (47WM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