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pds18.cafe.daum.net%2Fdownload.php%3Fgrpid%3DrGRM%26fldid%3D6Ggk%26dataid%3D78%26fileid%3D2%26regdt%3D20060720101909%26disk%3D29%26grpcode%3Dya2004%26dncnt%3DN%26.JPG)
사철쑥더부살이(초종용)
사철쑥(인진)
약재에 대하여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음력 3월경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높지만 4월이후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없다고 한다. 모든 쑥 종류는 봄철에는 독이 없지만 여름에는 독이 생긴다.
인진쑥은 1~1.5m까지 자란다. 줄기의 밑부분은 나무처럼 딱딱하고 잎은 두 번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솜털이 빽빽하게 안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한 번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갈라진 잎 조각은 모두 실오라기처럼 가늘다.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원뿌리 꼴로 모여 피는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이 둥글게 뭉쳐 달걀 꼴을 이룬다. ?育? 8~9월에 피어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
생당쑥, 댕강쑥, 사철쑥, 더위지기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봄철에 줄기가 10cm쯤 자랐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약성 및 활용법
예부터 간을 이롭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또한 황달에 효험이 큰 약으로 이름 높다.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한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결핵균을 비롯한 갖가지 균을 죽인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매우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진쑥은 발암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강해서 항암제로서도 가능성이 있다.인진쑥 달인 물은 암세포를 21%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인진쑥은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장병 치료에 흔히 쓴다. 생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말려서 달여 먹기도 하며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급,만성간염, 황달, 간경화증 등 제반 간질환에 탁월한 효험이 있는 방법으로 인진쑥과 삽주 뿌리를 각각 같은 양으로 두고 거기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10시간쯤 달여서 찌꺼기는 건져 내고 남은 국물을 물엿처럼 될 때까지 천천히 달인 다음 그 양의 1/3쯤 복령가루를 넣고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10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또는 인진쑥 800g, 대황 40g, 치자 40g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한번에 한 사발씩 따뜻하게 데워서 마신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진쑥과 솔잎, 대추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물을 많이 붓고 진하게 달여서 한번에 한 사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셔도 좋은 효과가 있다.
▶ 만성 위염에는 인진쑥 3kg과 삽주 뿌리 3kg을 각각 따로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달인 꽃만을 섞은 다음 다시 물엿처럼 될 때까지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두고 한번에 다섯 알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 변비와 설사에는 인진쑥 20~30g을 진하게 달여서 마신다.
▶ 종기와 부스럼에는 인진쑥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 주근깨가 심한 경우에는 인진쑥 10g, 율무 15~20g을 함께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 복통이 있을 때에 인진쑥 10~20g에 물 반 되를 넣고 반쯤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요통, 천식, 치질로 인한 출혈, 만성 간염 등에도 효험이 있다.
▶ 구내염이나 입에서 냄새가 날 때는 인진쑥을 잘게 썰어 담배처럼 말아서 하루 2~3대 피우되 연기를 빨아 머금고 1~2분 있는다. 인진쑥은 독을 풀고 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구내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cfs1.planet.daum.net%2Fupload_control%2Fpcp_download.php%3Ffhandle%3DMzJVNXl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C8wLzguanBnLnRodW1i%26filename%3D8.jpg)
신비의 선약 - 동충하초(冬蟲夏草)
▶ 항암효과 노화방지 만성피로 환자의 보양 허약체질에 탁월
동충하초는 폐결핵, 당뇨, 전립선염, 진해, 요통, 빈혈, 신장병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아편중독 해독, 항종양, 면역증감, 노화방지, 만성피로에 좋은 효능을 지닌 버섯이다. 겨울에는 벌레 상태로 있다가 여름이 되면 버섯이 된다는 뜻의 동충하초는 신비의 버섯으로 불로초라 불리기도 한다.
불로장생의 비약이라 불리는 동충하초는 어떤 것인가?
동충하초는 겨울에는 벌레 상태로 있다가 여름이 되면 버섯이 된다고 하여 붙은 말이다. 곰팡이의 일종인 동충하초균이 주로 온도 습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살아 있는 곤충의 몸속으로 들어가 발율, 증가하면서 기주곤충을 죽이고 얼마 후 자실체를 곤충의 표피에 형성하는 곤충 기생성 약용 버섯이다.
감염된 곤충은 버섯이 나오기 전까지 죽어도 썩지 않고 미이라 처럼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으로 원래 동충하초는 박쥐나 방과의 유충에서 나온 코디입스시네시스를 지칭하는 것이나 오늘날에는 곤충뿐만 아니라. 거미, 균류 등에서 나오는 버섯을 무두 총칭해서 동충하초라 부른다.
동충하초의 약효에 대한 최초기록은 중국 청나라 <본초종신>에 있으며 주로 신장과 폐질환 치료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또한 <본초강목>에는 허약체질을 튼튼하게 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분명한 효과가 있다고 기록돼있으며 <천연약품대사전>에는 동충하초는 달고 온화하며 신장기능을 돕고 폐를 튼튼히 하며 기침, 가래, 강장, 정력보강, 진정, 빈혈 등에 사용한다고 전해진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항종양, 면역증강, 항피로, 노하방지, 간경화, 치질, 관절염, 위장병 등에 탁월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항암효과, 면역력 증강 등 신체기능 향상에 큰 효과 동충하초는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면역력이 떨어진다 함은 우리 몸에 들어오는 침입자에 대한 방어 및 공격력이 저하되어 곧 질병에 걸리기 쉬워지고 병으로부터 회복이 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만, 반대로 면역력이 증가한다 함은 침입자에 대한 방어 및 공격력이 강해져서 질병에 잘 걸리지 않고 병에 걸렸다 하더라도 회복속도가 빠르다.
폐결핵, 천식, 암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동충하초는 면역력이 강한 코티세핀이나 다당체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동충하초를 복용할 경우 고된 정신적 육체적 노동을 인한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켜 주므로 중년층과 노년층에게 이상적인 천연식품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육상 선수팀 마군단이 세계기록을 속출하는 이유를 묻는 기자들에게 “우리 육상 선수들이 동충하초로 만든 드링크를 매일 마셨기 때문이다. 피로가 빨리 회복되어 강도 높은 훈련을 할 수 있었다?”고 자신 있게 동충하초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 일도 있었다.
또한 주위에서 흔히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보게 되는데 동충하초는 고혈압의 치료에도 빼어난 효과를 보인다. 고혈압은 그대로 방치하면 혈관에 부담을 주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기 쉽고 동맥경화는 협심증,.심근경색, 뇌출혈을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
그 외에도 동충하초에는 혈관을 확장 시키는 물질이 있다. 혈관이 확장되면 혈액이 흐를 때 혈관벽에 주는압력이 떨어져 고혈압이 정상혈압으로 되기 때문에 동충하초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
동충하초의 항피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용 쥐에게 짐을 지우고 일정 거리를 왕복으로 달리게 해 보면 동충하초를 먹은 쥐는 먹지 않은 쥐보다 훨씬 더 먼 거리를 오랫동안 달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동충하초가 확실히 피로회복 효과가 탁월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좋은 실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cfs3.planet.daum.net%2Fupload_control%2Fpcp_download.php%3Ffhandle%3DMzJVNXl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C8wLzYuanBnLnRodW1i%26filename%3D6.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cfs4.planet.daum.net%2Fupload_control%2Fpcp_download.php%3Ffhandle%3DMzJVNXl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C8wLzUuanBnLnRodW1i%26filename%3D5.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cfs5.planet.daum.net%2Fupload_control%2Fpcp_download.php%3Ffhandle%3DMzJVNXl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C8wLzguanBnLnRodW1i%26filename%3D8.jpg)
* 아래 참고: 증세에 따른 효능약초
1. 감기, 천식, 폐관련 질환
가래: 까마중, 천문동, 곰보배추, 참가시나무, 야생도라지
기침감기: 곰보배추, 창이자, 인동덩굴, 생강나무, 돌복숭씨, 도라지
독감: 주목
천식: 창이자, 곰보배추, 작두콩뿌리, 야관문, 돌복숭씨, 잔대, 꾸지뽕나무
백일해: 작두콩, 싸리나무, 마가목
편도선염: 곰보배추, 마가목, 야생돌배
2. 간 장 질환
지방간: 벌나무, 헛개나무, 생강나무, 머루덩굴, 접골목, 민들레, 찔레뿌리
급성간염: 인동덩굴, 만병초, 사철쑥, 접골목, 금은화
만성간염: 벌나무, 노나무, 만병초, 개머루덩굴, 돌복숭씨, 다슬기, 머루덩굴
간경화: 벌나무, 산귀래뿌리, 까마중, 엄나무, 노나무, 만병초, 돌복숭씨
복수가찬데: 벌나무, 노나무, 헛개나무, 어성초, 까마중, 겨우살이, 뱀딸기
3. 위장질환
급성(만성)위염: 민들레, 할미꽃, 지유, 예덕나무, 비단풀, 조릿대, 엄나무
급성(만성)대장염: 엄나무, 지유, 붉나무, 인동덩굴, 금은화, 민들레, 할미꽃
위궤양: 지유, 예덕나무, 조릿대, 개암나무, 백두옹, 아카시아뿌리
과민성대장증후군: 흰민들레
십이지궤양: 가래나무열매
소화불량: 민들레, 산마, 삽주, 번행초
위무력, 위하수: 삽주, 가시오가피, 번행초, 고백반
4. 방광염, 변비, 설사, 치질
방광염: 까마중, 질경이, 용담, 노간주나무, 결명자
변비: 함초, 소리쟁이, 지치, 하수오
설사: 노박덩굴뿌리, 참가시나무, 야관문, 복령
치질: 예덕나무, 소리쟁이
탈항: 까마중
5. 두통, 건망증, 기억력감퇴
두통: 천마, 생강나무, 지치, 비단풀, 싸리나무, 감국
기억력 향상: 석창포, 하수오
건망증: 석창포, 하수오, 삼지구엽초, 천마
간질, 경기: 석창포, 천마, 찔레나무버섯
정신분열증: 석창포, 천마, 산해박
6. 심장질환, 중풍, 혈압
협심증: 겨우살이, 목이버섯
고혈압: 천마, 겨우살이, 환삼덩굴, 조릿대, 지치, 하수오, 만병초
동맥경화: 노박덩굴뿌리, 헛깨나무, 지치, 하수오, 겨우살이
저혈압: 노박덩굴뿌리, 지치, 만병초
중풍: 천마, 노박덩굴, 해방풍, 지치, 석창포
뇌출혈: 천마, 지치
혈액순환장애: 천마
7. 당뇨
당뇨병: 연삼, 겨우살이, 조릿대, 가시오가피, 담쟁이덩굴,
만병초, 삼지구엽초, 쇠비름
8. 근육, 관절, 신경통, 요통
골다공증: 접골목, 홍화씨, 굴
골절: 접골목, 홍화씨, 골쇄보
근육통: 생강나무, 엄나무, 겨우살이, 쑥
관절염: 접골목, 천마, 겨우살이, 엄나무, 청미래덩굴, 꾸지뽕나무
류머티스관절염: 엄나무, 위령선, 천마, 까마중, 노박덩굴, 싸리나무, 수영
신경통: 접골목, 천마, 구룡목
퇴행성관절염: 접골목, 천마, 구룡목
9. 신장염
신장염: 하수오, 까마중, 접골목, 벌나무, 소철
신장병: 벌나무, 천마, 하수오
10. 피부질환
가려움증: 곰보배추, 싸리나무, 접골목, 까마중, 소루쟁이, 만병초
기미, 주근깨: 돌복숭씨, 접골목, 싸리나무, 천문동, 산목련, 함초
무좀, 습진, 건선: 접골목, 싸리나무, 소루쟁이, 만병초
백납(백설풍, 백전풍, 피부의흰반점): 만병초, 지치, 천마, 산해박
대머리: 하수오, 한련초, 광나무
대상포진: 산해박, 비단풀
두더러기: 산해박
딸기코: 삼칠근
피부미용: 천문동, 복숭아꽃, 산목련
화농성피부염: 어성초, 쇠비름, 소루쟁이
화상: 지유, 줄풀, 접골목, 회화나무
아토피성 피부염: 만병초, 지치, 백선피, 잣, 줄풀, 석창포
흰머리검게하는데: 하수오, 한련초, 광나무
11. 여성질환
냉, 대하: 지치, 쇠비름, 겨우살이, 까마중
냉증: 노박덩굴, 생강나무, 냉초, 부처손, 석창포
불감증: 만병초
산후통(풍): 잔대, 생강나무
생리가 없거나 끊겼을때: 노박덩굴, 노박열매, 부처손, 당귀, 꼭두서니
생리불순: 겨우살이, 산해박, 삼지구엽초, 쑥
생리통: 찔레나무, 겨우살이, 노박덩굴
12. 코, 입, 귓병
비염: 작두콩, 창이자, 산목련, 돌복숭잎, 닭의장풀
축농증: 어성초, 산목련, 창이자, 작두콩
인후염: 비단풀, 민들레, 죽염
이명증: 석창포, 광나무, 하수오, 천마
중이염: 어성초, 창이자
13. 기타
통풍: 목천료, 노간주열매기름
노화방지: 지치, 하수오, 줄풀, 산마, 광나무
멍들고 삔데: 싸리나무, 생강나무, 접골목
불면증: 영지버섯, 하수오, 광나무, 산해박
뱀에 물렸을때: 잔대, 노박덩굴, 야관문
비만: 빼빼목, 유진목, 지치, 산뽕나무, 복령, 잣
빈혈: 지치, 하수오, 당귀, 번행초
수은, 중금속해독: 산귀래뿌리
숙취해소: 헛개나무, 벌나무, 천마, 갈근, 줄풀
신경쇠약: 석창포, 천마, 산해박, 마가목, 만병초
어린이 경기때: 찔레버섯, 지치, 천마
어혈푸는데: 생강나무, 쑥, 석창포, 천마
정력감퇴(양, 발기부전): 하수오, 야관문, 까마중, 만병초, 삼지구엽초
화병: 조릿대
피토하는데: 헛개나무, 천문동, 까마중, 인삼
출처 : 우리 땅 약초약산
호장근(범싱아)
호장뿌리(약명;虎杖根). 어릴 때 줄기가 호피같이 생겨서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피자(被子類)식물에 속하는 마디풀(蓼)과의 다년생 초목으로서 1m이상 자라고, 6-8월에 이가화의 백색소화가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호장근(虎杖根)은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다. 잎 끝이 짧게 뾰족하고 밑은 절저(截底)이며 가장자리는 파상(波狀)이다. 떡잎은 막질이고 길이 6mm 정도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2가화이다. 화피갈래조각은 5개이고 암꽃의 바깥쪽 3개는 꽃이 진 다음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며 뒷면에 날개가 생긴다. 수술은 8개,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세모진 난상 타원형이고 흑갈색이며 윤기가 있다. 뿌리를 호장근이라 하며 약초로 쓰는데, 완화·이뇨 및 통경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쓴다. 어릴 때 줄기가 호피같이 생겨서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한국·일본·타이완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호장(虎杖;Polygonum Cuspidatum S.et.Z.)의 뿌리를 호장근(虎杖根) 잎을 호장엽(虎杖葉)이라하여 약용한다.
울릉도에는 왕호장근(王虎杖根)이 자란다. 산지의 계곡에서 자란다. 겉으로 보기에 호장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잎의 밑부분이 심장의 밑처럼 생겼으며 뒷면에 흰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뿌리줄기는 굵고 갈색이나 속은 노란색이며 굵은 대가 모여나서 높이 2∼3m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광선이 닿은 곳은 붉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3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털이 없다. 꽃은 단성화이며 8∼9월에 피고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 수술은 8개이다. 바깥쪽 화피갈래조각 뒷면에 날개가 있으며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암술머리는 3개이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세모진 달걀 모양이다. 호장근과 같이 뿌리를 완화·이뇨·통경제로 사용한다. 한국(울릉도)·일본·사할린에 분포한다.
(약리),
(1)강압작용. (2)강혈지작용. (3)소화기게 작용. (4)미순환계 영향. (5)진해작용. (6)진정작용. (7)평해작용. (8)항기화작용. (9)항균작용. (10)항병독작용. (11)항종류작용. (12)백혈구,혈소판 증강작용. (13)지혈 항염작용.
(기능),
활혈산어(活血散瘀),거풍통락(去風通絡),청열이습(淸熱利濕),해독(解毒).
(주치),
부녀경폐(婦女經閉), 통경(通經), 풍습비통(風濕痺痛), 습열황달(濕熱黃疸), 임탁대하(淋濁帶下), 창양중독(瘡瘍重毒), 독사교상(毒蛇咬傷).
(임상),
(1),급성황달형 전염성 간염 치료.
(가),虎杖根 30g, 鷄眼草 60g을 매일 1제를 다려 먹는다(全國中草藥資料選編).
(나),호장 90g을 물300ml로 다려 매일 3회로 나누어 2-3주 먹는다. 환자325명중, 완치280명, 호전45명으로 완치율86%, 호전율14%(치료기간 5일-48일, 평균25.2일)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다),호장30g(생호장60g)을 다려 매일 3회 나누어 복용, 혹 虎杖浸膏片.2.4-3g(매0.2g당 원생약1g상당)를 38일간 복용한다. 환자 251명중, 치유 213명(황달지수10u이하), 호전 31명, 무효7명, 치유율 84.86%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2),만성 활동성 간염 치료.
虎杖浸膏片 매일3회, 매회6편 내복, (또한 生山渣 30g을 차와 함께 복용) 3개월 먹는 것을 1개 치료요정으로 한다. 환자32명중, 주효 18명, 유효 11명, 무효 3명 유효율 90.63%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3),신생아 황달 치료.
50% 호장(大葉蛇蔥管) 시럽(Syrup)을 매일2회 매회5ml 복용, 환자 175명중,151명이 7일만에 피부의 황달기가 없어짐으로 유효율 86.3%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4),습열 황달 치료.
虎杖,金錢草,板藍根 각30g을 수전복 한다(1982,四川中藥志).
(5),소화기 출혈 치료.
(가),衆虎杖中에서 뽑은 大黃素(Emodin) 및 大黃분(Chrysophenol) 각20mg, 烏賊骨粉1g를 혼합하여 호장지혈분 1포(1회분)를 만들고, 매일 3-4회 1포(중증 2포)을 먹는다, 환자 80명 (12지장궤양30명,위궤양14명,위암4명,위실염16명,출혈성위염 14명,식도정맥곡장 4명)중, 지혈효과 77명(유효율96.2%;최단1일,최장6일), 무효 3명(2명 위암,1명12장궤양)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나),호장분 내복 매일3-4회, 매회4g, 치료된 환자 29명중,위출혈 전부유효, 유효율100% (최단1일, 최장 4일)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6),고지혈증 치료.
虎杖根 乾燥制成片(매편중0.5g)을 매일 3회 매회3편(매일 생약15g 상당)을 복용한다. 환자 26명중 주효33.3%,유효50%,무효16.7%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7),관절염 치료.
호장생약500g,백주1.500g에 담구어 15일 후에 소량의 흑설탕을 넣어 착색시키고, 매일2회,매회15g, 식사와 같이 먹는다(慢性肝病者 禁酒).
관절염 환자 60명(풍습32명,류풍습9명,요추비대9명,골관절10명)중, 顯效 27(풍습18명,류풍습4명,요비대2명,골관절3명), 호전 27명, 무효 6명(류풍습5명,요비대1명)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8),화상(火傷) 치료.
가,호장 100g에 물5,000ml를 넣어 500ml로 다려서 안식향산(安息香酸;Benzoic Acid) 방부제를 넣어, 환자 국부에 세척한다. 환자 142명중 137명 치유의 결과를 얻었다(現代臨床硏究). 나,호장분 1,000g을 70% 에칠알콜 5.000ml에 24-48시간 침적 화상부에 바른다. 환자 103명 모두 치유 되었다(現代臨床硏究).
(9),진균성 질(陰道)염 치료.
가,호장 60g에 물500ml로 300ml가 되도록 다려 질을 께끗이 세척후 마른 분말(함유 0,3g)을 가제에 싸서 매일 1회 질속에 7일 동안 넣는 것을 1개 치료요정이라 한다(1971,新醫學).
나,호장근 100g에 물 1.500ml를 1.000ml로 다려서 따뜻하게 한후 좌욕 10-15분 동안 매일 1회, 7일간의 기간을 1개 치료요정으로 한다. 환자 30명을 치유 했다(現代臨床硏究).
(10),피부습진 치료.
호장(虎杖),산주자근(算주子根) 각24g을 수전복 한다(福建葯物志).
(12),위암 치료.
호장 30g으로 시럽(糖漿;Syrup) 60ml를 만들어, 매일 2-3회 매회20-30ml를 복용한다(實用腫瘤學),
(용량),
내복;탕,12-30g/일. 酒浸 或 入丸,散.
외용;細末,汁 膏藥.
(주의),
임산부(孕婦)는 금복(禁服)한다.
#첨부자료#
(1),(肝炎關節丸).
(방제);
호장근,계혈등,수분초 각30g을 가루내어 밀환을 만들어 매일3회,1회30g을 45일간 복용한다.
(효능).
어혈=산후어혈통,월경불순,진균성질염,복내적취,소화기출혈,외상.
마비=풍습비통,수족마비,사지마비,류풍습관절염,관절염,요추비대.
간염=습열활달,급성활달형전염성간염,HBsAg양성만성활동성간염,신생아황달, 습열황달.
고지혈증=고혈압증,중풍전조증.
암= 위암,유선암,간암,복수암,임파선암,흑색종류.
(치료).
(1),급성전염성황달형간염=환자325명중 완치280명(86%),유효45명(14%)로 유효율100%.
(2),급성간염 만성활동성간염=환자100명중 모두 완치.
(3),HBsAg양성 만성활동성간염=환자32명중, 완치18명(ALT정상56.3%),유효11명(ALT하강34.3%),무효3명(9.4%)로서 유효율90.6%.
(4),신생아황달=환자175명을 7일 치료로서 피부색 정상151명(86.3%).
(5),관절염=환자60명(풍습32명,류풍습9명,골관절9명,요추비대10명)중, 현효27명(풍습18명,류풍습4명,골관절3명,요추비대2명), 호전27명, 무효6일(류풍습5명,요추비대1명)의 결과.
(6),고지혈증=환자26명중,주효33.3%,유효50%,무효16,7%,유효율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