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 위기일발/ From Russia With Love 음악적 리뷰 + 음악과 동영상모음
1963년/각본+감독: Terence Young/주연: Sean Connery + Daniela Bianchi
음악: John Barry /115분
비틀즈 나 해리 포터 도 그렇지만, 영국이 20세기에만 전 세계 문화(계)에
기여한 다섯 가지 큰 자랑거리들에는 ‘007 시리즈’도 반드시 들어간다.
9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한다는 영국 정보부 보안 국(MI 5-6) 소속의
첩보원 일련번호, 이 ‘007’ 이라는 번호 말고 또 부르는 이름은
제임스 본드(James Bond).
소설로는 1953년에, 그리고 영화로는 1962년에 처음 세상에 알려진 이후,
21세기인 지금까지 무려 반세기가 다 되어가는 동안에도 여전히 영화 시리즈가
20편 이상이나 제작이 되고 있는 영화 역사상 전무후무한 주인공의 이름이다.
2차 세계대전 때, 실제로 영국해군의 정보부에서 일을 한바 있는
이언 후레밍(Ian Fleming. 1908-1964, 영국 런던) 이 제대 후에
자마이카(Jamaica)의 ‘골든 아이(Golden Eye)‘라 부르는 저택에서
저술을 하여 1953년에 발표한 ‘카지노 로얄(Casino Royale)’ 이라는
소설에 처음으로 등장을 한 제임스 본드.
그는 불사신이고 초강력 만능 수퍼 맨이지만, 그러나 정작 그를 창조한
후레밍은 전 세계적으로 007이 영화로 알려지기 시작한 1964년에 12편의
본드 시리즈 소설을 완성 한 후인 56세의 그리 많지 않은 나이에 일찍
세상을 뜬다.
(그의 마지막 작업은 소설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나폴레옹 솔로’로 잘 알려졌던
1964년의 TV시리즈 ‘Man From UNCLE‘ 의 자문 역할이었다)
한편, 1950년대 초부터 영화제작을 해오던 미국의
앨버트 브로콜리(Albert R. Broccoli-Cubby Broccoli, 1909-1996, 뉴욕) 는
이언 후레밍의 이 소설에 매료가 되어 1950년대 말서부터 007의 영화화를
시도하면서, 드디어 이언 후레밍의 소설 판권을 소유하고 있던
해리 솔츠맨(Harry Saltzman. 1915-1994, 캐나다) 과 함께
‘이온(Eon)‘이라는 프로덕션을 공동으로 차리는데 성공을 하고 또 UA의 자본을
끌어들이면서 마침내 1962년에 ‘닥터 노(Dr. No-007 살인번호)’를 처음으로
제작하여 개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1989년의 ‘007 살인 면허(Licence To Kill)’ 까지 계속된 007 시리즈의
제작으로 (떼돈을 번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는 무엇보다도 세계 영화계의
역사를 새로 쓴 명예로운 장본인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007시리즈의 1편인 ‘닥터 노(Dr. No)’보다도 더 먼저 개봉이 되면서
007의 매력을 순식간에 국내에 퍼트린 이 작품, ‘007 위기일발’은 한마디로
(전혀 새로운 장르의 영화가 툭 튀어나온 듯한) 신선한 충격 그 자체였었다.
물론 그전에도 첩보 스릴러물이 없었던 건 아니었지만,
2차 대전 종전 후부터 영화를 만들어온 중국 태생의 영국인,
티렌스 영(Terence Young. 1915-1994, 중국)이
직접 쓴 (공동)각본과 그 치밀하고 화려한 연출은 단 한 번에 속편을 만들어도
성공을 할 수 있겠다는 확신을 심어주기에 충분하였고 이후 평균적으로 일 년에
한편씩 007의 후속 작들이 나오는 계기를 만들게 된 것 이다.
(그러나 정작 그는 1965년의 ‘썬더 볼(Thunder Ball)’ 까지 3편의 007시리즈만
감독을 함)
작가인 이언 후레밍이 나서서 직접 캐스팅을 하였다고 하는
션 코넬리(Sean Connery. 1930, 스코틀랜드)는
이 ‘007, 제임스 본드‘역을 빼고는 그의 경력을 이야기 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도 강렬하게 007 로서 각인이 되어있다.
그리고 그와는 너무나도 잘 어울렸던 1971년의 ‘007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Diamonds Are Forever)’까지 의 연속적인 6편(살인번호 +위기일발 +골드핑거
+썬더볼+ 두번 산다+다이아몬드는 영원히)과
비록 007 시리즈의 정식 작품이 아니라 시리즈의 번외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1983년도 그의 컴백작품, ‘네버 세이 네버 어게인(Never Say Never Again)’까지
총 7편의 제임스 본드 역할로 해서 추후 이 션 코넬리 후임으로 등장을 한
조지 레전비(George Lazenby. 1939, 호주 - 총1편 출연)
로저 무어(Roger Moore. 1927, 영국 런던- 총 7편 출연),
티모시 댈튼(Timothy Dalton. 1944, 영국 웨일즈 - 총 2편 출연)
피어스 브로스넌(Pierce Brosnan. 1953, 아일랜드 - 총 4편 출연)
대니얼 크레익(Daniel Craig. 1968. 영국 - 2편 이상 계속 출연 중)등이
모두 다 시시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아직까지는 많다.
(물론 각 사람들마다 최고의 007로 치는 배우들은 제각기 다 각각이기 마련이다)
[데이빗 니븐(David Niven)이 주연한 1967년의 ‘카지노 로얄(Casino Royale)’ 역시
이 시리즈에 포함이 되지 않는다. - 자세한 007시리즈의 역대 개봉내역은 아래 부록 참조]
공상 과학소설에나 나올법한 희한한 본드 카 와 각종 별 난 신무기들은
이 007 시리즈를 더욱 재미있게 한 요소들의 하나이지만,
남성적인 매력이 철철 넘치는 제임스 본드에 걸 맞는 상대 역, 본드 걸 역시
이 영화가 주는 또 다른 즐거움이기도 하다.
연기도 연기이지만 그러나 연기의 능력보다는 얼마만큼 섹시함을 주느냐가
캐스팅의 관점이었던 이들 본드 걸의 패션 역시도 항상 시대의 유행을 주도
하였는데, 그러나 무엇보다도 빼놓을 수 없는 이 007시리즈 의 크나 큰 장점의
하나는 역시 음악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연기가 시원치 않았던 본드 걸 과는 달리 당대 최고의 가창력을 자랑하던
여러 인기가수들이 부른 주제곡들과 오리지널 스코어(OS)야 말로
이 007시리즈 의 3대 성공요인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이런 뛰어난 음악들을 총감독하면서 오리지널 스코어(OS)도 제작한
존 배리(John Barry. 1933, 영국 요크) 역시
제작자인 브로콜리 와 주인공인 션 코넬리 못지않게 이 007 시리즈로
벼락출세를 하게 된다.
이태리를 포함한 남부 유럽 쪽의 영화 음악과는 (들어보면) 단번에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전통적이고 정통적인 관현악 연주를 그 기초로 하는) 존 배리의 작곡
솜씨는 1962년의 ‘닥터 노(Dr. No)’, 한편의 영화로 금방 천재라는 소리를 듣게 되는데.
특히 이 007시리즈의 초기작품들에서 들리는 ‘가슴을 향해 날라 오는 비수와도 같은
느낌‘을 주는 날카로운 관악기 소리는 제임스 본드가 겪는 위기상황에서의
스릴 등을 너무나 강렬하게 전해준다(아래 음악의 전주 부분같이....).
* 제임스 본드의 테마 + 오프닝 타이틀 장면:
007 시리즈의 첫 편인 ‘닥터 노(Dr. No. 1962)’를 제외하고 이 시리즈의 한 편
씩마다 당대의 최고 가수들이 불러주던 주제가(타이틀 송 - 부르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영광이었다) 역시 존 배리의 스코어(OS)와는 별도로 큰 히트를 하였는데,
물론 이 007 시리즈가 셜리 뱃시(Shirley Bassey)같은 가수들의 인기를 더욱 더
상승시킨 것도 사실이지만
어쨌든 이 주제곡들을 부른 가수들을 살펴보면 (한 두 명을 제외하고) 마치
지난 20세기 후반의 최고가수들의 목록을 보는 느낌을 준다.
(Matt Monroe-Shirley Bassey(3곡)-Tom Jones-Nancy Sinatra- Lulu-
Louis Armstrong-Paul McCartney-Rita Coolidge-Carly Simon-
Tina Turner-A-Ha-Sheena Easton-Gladys Knight-Sheryl Crow-
Duran Duran-Lani Hall-Garbage-Madonna)(아래의 부록원고 참조)
존 배리가 만든 또 다른 작품, ‘야생의 엘자(Born Free. 1966)’의 주제가도
나중에 허스키한 음성으로 부른바 있는 맷 몬로(Matt Monroe. 1930-1985, 영국)의
이 영화, 동명 타이틀곡, ‘From Russia With Love’(아래 동영상)는
1960년대에 대단한 반응을 얻게 되는데, 클리프 리처드(Cliff Richard)에게
1959년에 ‘리빙 돌(Living Doll)‘이라는 출세 곡을 만들어준 영국 태생의 유태인,
라이오넬 바트(Lionel Bart. 1930-1999, 영국)가 만든 작품이다.
* 부록: 007 시리즈 의 역대 개봉 내역과 주제가를 부른 가수들:
1962년 - 007 제01편 살인번호(닥터 노)[주제가 없음]
1963년 - 007 제02편 위기일발 [Matt Monroe]
1964년 - 007 제03편 골드핑거[Shirley Bassey]
1965년 - 007 제04편 썬더볼[Tom Jones]
1967년 - 007 제05편 두번 산다 [Nancy Sinatra]
1967년 - 007 (시리즈 번외) 카지노 로열 [Dusty Springfield]
1969년 - 007 제06편 여왕폐하 대작전 [Louis Armstrong]
1971년 - 007 제07편 다이아몬드는 영원히[Shirley Bassey]
1973년 - 007 제08편 죽느냐 사느냐 [Paul McCartney]
1974년 - 007 제09편 황금 총을 가진 사나이 [Lulu]
1977년 - 007 제10편 나를 사랑한 스파이[Carly Simon]
1979년 - 007 제11편 문 레이커 [Shirley Bassey]
1981년 - 007 제12편 유어 아이즈 온리 [Sheena Easton]
1983년 - 007 (시리즈 번외) 네버 세이 네버 어게인 [Lani Hall]
1983년 - 007 제13편 옥토퍼시 [Rita Coolidge]
1985년 - 007 제14편 뷰 투 어 킬 [Duran Duran]
1987년 - 007 제15편 리빙 데이라이트 [A-Ha]
1989년 - 007 제16편 살인면허 [Gladys Knight]
1995년 - 007 제17편 골든 아이 [Tina Turner]
1997년 - 007 제18편 네버 다이 [Sheryl Crow]
1999년 - 007 제19편 언리미티드 [Garbage]
2002년 - 007 제20편 어나더데이[Madonna]
2006년 - 007 제21편 카지노 로얄[Chris Cornell]
2008년 - 007 제22편 퀀텀 오브 솔라스[Alicia Keys+Jack White]
2010년 - 007 제23편 본드 23[?]
* 예고 편 과 동영상모음:

revised. Oct.'09.paran
첫댓글 베리굿
해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