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코스] 2017년 10월 18일 07:21-12:00(4시간39분)
광령1리사무소-간세라운지(반대방향 간세라운지-광령1리사무소로 실시)
새벽 5시경 일어나서 정리를 하고 6시경 나와서 한마음병원 앞에서 소고기해장국으로 아침을 든든히 먹었다.
연수마을 정류장에서 415번을 타고 중앙로타리에 내렸다. 오늘도 북풍이 심하게 불고 있어서 간세라운지에서 부터 시작하여
고내리까지 17, 16코스를 연속할려고 한다. 날씨는 흐려서 빛방울도 한두방울 떨어지지만 걷기는 정말 좋은 날씨다.
중앙로타리를 한바퀴 돌고 간세라운지를 찿아서 인증도장을 찍고 출발하였다.
오늘은 거의 34km 이상을 올레길에 푹 빠져서 걸을려고 기쁜 마음으로 출발한다.
▶ 일자 및 기상 2017년 10월 18일 수요일, 흐림
▶ 세부 일정
06:00-07:20 6시 숙소 이탈, 콩나물 해장국 조식후
연수마을 주차장에서 415번 승차 중앙로타리하차 후 간세라운지 이동
07:21-12:00 간세라운지-광령1리사무소 17.9km 올레실시
07:21간세라운지-0.6-07:30관덕정-1.8(07:48용연다리)-07:54용두암-1.1-08:14용담레포츠공원
-4.2(08:19어영마을,08:29어영소공원 중간인증,08:57도두해수파크)-09:09도두봉-2.7(09:17도두포구,
도두항교)-09:45이호테우해변-2.2(10:13알작지해변)-10:23외도월대-2.9(10:45외도천교)-11:03
무수천터멍길-2.4(11:17도평사리마을,11:20무수천제2교아래,11:45애월읍진입,길건너편해군호텔)-
12:00광령1리사무소
12:00- 점심 식사후 계속 16코스 역코스(광령1리사무소-고내리) 실시
▶ 거리 및 소요시간 17.9km/4h39m

17코스 올레길이다. 올레길 지도는 아기자기하고 사연도 많은 지도만 보아도 정감이 간다.


오늘 걸은 항적이다. 17.9km 거리인데 20.40km를 걸었으니 중간에 길을 헤맨 곳이 있었다.

07:20 간세라운지

홈페이지에서만 보던 간세라운지이다. 아직 이른 아침이라 기척이 없다.

07:21 인증스탬프를 찍고 관덕정을 향하여 17코스를시작한다.
작년에는 17코스 종착지이자 18코스 시작점을 동문로타리 산지천마당이었지만 이곳 간세라운지로 코스가 변경되었다.

07:30 관덕정, 관덕정은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로, 아래에 있는 제주목 관아와 함께 있어 오랫동안 제주도를 상징하는
건물이자 제주 광장 문화의 터전이었다. 세종(世宗) 30년(1448년)에 제주 목사 신숙청이 군사 훈련을 위해 지었다.
관덕(觀德)이란 이름은 유교 경전 《예기》 사의 편에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 활을 쏘는 것은 높고 훌륭한 덕을 쌓는
것이다)의 대목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아래에는 제주 목관아가 자리잡고 있다. 지난 5월 아우와 이곳을 둘러보던 그 때가 어제 같다.

계속 관덕정 뒷길로 올레길이 이어진다. 비가 올것 같아서 편의점에 들어가서 비닐우의와 간식거리를 사서 계속 갔다.

07:42 해변으로 나와서 용연다리쪽으로 향한다. 멀리 용연다리가 보인다.

07:48 용연다리

07:49 용연다리를 건너면 김희선몸국 식당이 있다. 지난 5월 아우와 제주에 도착하여 이곳에서 점심을 먹었다. 아우와의 일정이
자꾸 떠 오른다. 이번에도 같이 올려고 했으나 감기가 걸려 못 왔는데 완쾌되기를 기원한다.

07:54 용두암. 지질학적으로 보면 용암이 분출하다가 굳어진 것으로 높이 10m의 용머리와 같은 형상의 바위이다.

용두암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옛날 용궁에 살던 이무기 한마리가 하늘로 승천 할려고 한라산 산신령 옥구슬을
훔쳐서 용연계곡을 따라와 이 곳 바다에서 승천하려고 하다가 들키고 말았단다. 승천할려고 하는 순간 대노한 산신령의 화살을 맞고 이곳에
떨어져서 승천하지 못한 한과 고통으로 몸을 뒤틀며 울부짖는 모습으로 용머리 형상의 바위가 되었단다.
이와 비슷하게 제주도 곳곳의 지형지물에 대한 전설이 참 많은 것 같다.

08:14 용담레포츠공원. 아름다운 해안을 따라 계속 이곳까지 왔다.

08:19 어영마을. 레포츠공원이후 부터는 바람이 계속 불었으나 뒷바람을 받아서 다행이다.

08:29 어영소공원에서 중간인증 스템프를 찍고 다시간다. 이제 제주공항 옆 담으로 이어지던 자전거길과 만나서 같이 간다.

08:37 멀리 도두항도 보이는 아름다운 해안가를 걷는다.

08:38 옆 공항 활주로에는 연신 비행기가 오르내린다.

08:57 도두해수파크. 처음 제주올레를 계획시 이곳에서 하루 자는 것도 생각해 보았다. 24시간 이용한다고 한다.

08:58 도두해수파크를 조금 지나면 도두봉 입구가 나온다.

09:09 도두봉(도들오름). 도두봉은 도들오름의 한자표기로 섬의 머리라고 한다. 높이
65.3m, 비고 55m, 둘레 1,092m의 오름이다.
제주도 서쪽 끝에 위치하여 낙조와 일출을 동시에 볼 수있는 곳으로
풍광이 아름다워 ‘제주시 숨은 비경 31’중 하나라고 한다.
제주도 각 지역이 그렇듯이 이곳 도두봉도 마을 주민들의 민간신앙 중심지로 예로부터 내려오는 본향당이
있으며, 바로 옆에 불교의
장안사도 있다. 해마다 열리는 포신제단도 이곳에 있어서
전통신앙인 무속과 함께 유교, 불교가 한 공간안에 자리잡고 있단다. 국수나무,
팥배나무,
덜꿩나무, 예덕나무 외에 여러 종류의 새우란, 바람꽃 등의 야생식물이 자라고 있다고 한다.(인터넷 참조)
09:09 도두봉에서 바라본 남쪽 해안

09:17 도두항교

09:17 도두포구. 다리 위에서 바라본 도두포구는 도두봉이 북서풍을 잘 막아주고 안온한 작은 포구이다.

09:45 도두항 바닷가에는 여러 민속 조형물을 해 놓아서 참 정스럽다.

09:37 이호테우 해변 북쪽에는 캠핑장이 마련되어 있다.

09:45 이호테우해변. 우리나라도 이제 해양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파도가 치는 해변에 서핑(Surfing)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09:54 이번에는 내리는 비행기가 눈에 들어온다. 제주도는 자연형태나 시설물 등 모든 것이 국제적이고 수준이 높다.

10:04 이곳에서 당연히 해안가로 나가야 되는데 표식이 없어서 쭉바로 갔다가 돌아와서 왼쪽으로 갔다가 돌아와서 해안가 왼쪽으로 나갔다.

10:13 알작지해변. 표지판은 깨어지고 없어졌지만 이곳 해변이 알작지 해변인 것 같다.

10:22 당연히 가면 나타나는데 외도월대를 얼마나 찿았는지. 해안가에 있는 줄로만 알았다.

10:23 외도월대에 들어서니 정말 오래된 해송 등 경관이 깔끔하고 아름답다.


10:26 오늘은 거꾸로 올레길을 걸으니 마지막에 월대입구를 만난다.

10:28 지도에는 광령천을 따라서 쭉 올라간다. 월대 설명판에는 외도천으로 되어 있다.
이제 부터는 계속 천변을 따라 모든 생각을 잊고 조용하고 아름다운 길을 걸어간다.

10:34 올레길은 99% 길안내가 완벽하다. 오늘은 파아란색(정방향) 표식이 아닌 오렌지색(역방향) 표식을 따라 간다.

10:42 다시 도로를 만나 외도천교 쪽으로 걷는다.

10:45 외도천교를 건너서 앞 건물을 왼쪽에 두고 돌아서 외도천교 아래를 지나 다시 오른쪽으로 건너서 간다.

11:03 앞의 다리가 도평3교, 왼쪽이 장군천교이다. 이제 도평3교를 지나서 오른쪽으로 들어선다. 아래는 어시천이 흐른다.
광령교 아래 광령천 중의 한 곳을 무수천이라도 한다면 무수천 터멍길을 그 곳에서 이정도까지 인지 잘 모르겠다.
어쨌든 아름다운 천변과 숲길을 걷는다.

11:17 도평사리마을

11:20 무수천 제2교 아래에서 쭉 바로 가야하는데 이곳이 광령교 인줄 알고 올라가 보고 다시 내려왔다.
표식이 잠시 끊어지고 나의 생각이 보태지면 엉뚱하게 가게 된다. 오른쪽에는 광령천이 계속 흐른다.

11:25 계곡은 참 아름답다. 물이 많이 고인 곳도 있고, 그냥 아름다운 돌들만 있는 곳도 있다.

11:45 애월읍진입

이제 광령천 위에 서 있는 광령교를 지난다.

11:45 도로 건너편에는 해군호텔이 자리잡고 있다.

광령교에서 바라본 무수천.

11:51 이제 광령1리사무소도 멀지 않은 듯하다.

12:00 광령1리사무소

광령1리 사무소 팻말은 없다. 그냥 보건소와 노인복지회관등이 있고 광령1리 표지석이 있다.
그냥 지나쳐 갔다. 광령1리 표지석을 지나 바로 간세 인증스탬프 위치가 있었지만 보지를 못했다.
길을 묻고 다시 돌아와서 중간인증 스탬프를 찍었다.
그래도 걷기에는 딱 좋은 흐린 날씨에 아름다운 17코스를 완료했다.
인근에 공사가 많은지 일하는 사람들이 점심을 먹고 붐빈다.
주위에 식당도 참 많다. 이제 점심을 든든히 먹고 이어서 16코스를 계속해서 갈 것이다.
* 이어서 16코스를 역코스(광령1리사무소-고내리)로 계속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