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이것을) 끌어 갈까? 하고...”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끄사하 가까? 하고...”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筥箱函 匣筐? はこ
거상함 갑광? 하고 (이두한자의 종성을 없애면)
거사하 가과? 하고 (여기에서는 ‘과’와 ‘가’를 구별없이 사용)
거사하 가가? 하고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꺼사하 가까? 하고
끌어 갈까? 하고... (가 된다)
*** 거사하→ 꺼사하 ; ‘끌어’의 사투리.
(한자에는 ‘꺼’자가 없으므로 ‘거’자로 대용하고 있다.
“가가?→ 가까?”도 같은 변화를 거쳤다)
*** 끄스다→ 끄사다; '끌다'의 사투리.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의 띄어쓰기를
무시하며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はこ[筥.箱.函.匣.筐]; 상자. (筥;광주리 거, 箱;상자 상, 函; 함 함,
匣; 갑 갑, 筐;광주리 광)
**위 단어 “はこ”의 뜻은 ‘筥.箱.函.匣.筐’자를 뜻으로 해석하여 ‘~하고’라는
백제말을 ‘상자’라는 뜻으로 바꾸어버렸다.
이렇게 단어를 만든 결과 “筥.箱.函.匣.筐”자를 “はこ”라고 읽는 웃지 못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명치 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筥.箱.函.匣.筐’자가 없었다면 ‘はこ’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위에서 보듯이 조선(한국)사람들이 ‘이두’인 줄 알아보지 못 하도록
한자 사이에 점을 찍어 두었다.
*** 저들이 “はこ”를 어떻게 발음하든 간에 어원으로 보면 “하고”라고 발음해야 한다.
*** 위에서 보듯이 “백제글자”와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어는
백제어(조선어)를 이리저리 가공하여 만든 언어? 라는 것을 속 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
*** 모든 일본말이라는 것은 이렇게 만들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