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깊은 홈 볼 베어링 |
|
넓은 치수 범위를 가진 깊은홈 베어링은, 구름베어링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식으로, 레이디얼 하중과 어느 정도의 양방향 액시얼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수 있다. |
|
 |
밀봉형 (시일드. 시일부착) 베어링 주변의 밀봉 장치를 간소화 할 수있다. 미리 그리이스를 봉입하였기 때문에, 그리이스 보충이 필요 없다. 주요 시일드 및 시일부착 베어링의 종류와 이들의 성능비교는 아래와 같다. |
 |
스냅링 부착 스냅링을 이용하여, 축방향 위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우징 과의 조립이 간단하다. |
 |
미니어쳐. 소형 볼 베어링 일반적인 개방형 이외에도, 시일드 . 시일을 갖춘 밀봉형과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편리한 플랜지부착 등의 형식이 있다. |
 |
스냅링 부착 스냅링을 이용하여, 축방향 위치 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우징 과의 조립이 간단하다. |
 |
미니어쳐. 소형 볼 베어링 일반적인 개방형 이외에도, 시일드 . 시일을 갖춘 밀봉형과 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편리한 플랜지부착 등의 형식이 있다. |
| |
|
|
앵귤러 볼 베어링 |
|
접촉각을 가진 앵귤러 볼 베어링은, 고정도.고속회전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적합하고, 합성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
|
 |
단열 및 조합 앵귤러 볼 베어링
접촉각은 15°, 30°, 40°를 표준으로 하고 각각 보조기호 [C] , [A(생략)] , [B]를 붙인다. 접촉각이 작을수록 고속회전에 적합하고, 클수록 액시얼하중 능력이 증가한다. 앵귤러 볼 베어링은, 베어링의 강성이나 회전 정도를 높이기 위해 예압을 주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작기계 주축 등에 사용되는 5급 이상의 고정도 조합 앵귤러 볼 베어링에 대해서는, 미예압(S), 경예압(L), 중간예압(M), 중예압(H)의 4종류의 표준 예압량을 설정하고 있다. 이 베어링에 레이디얼 하중이 가해지면 축방향 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2개를 마주보게 하거나, 2개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한다. |
 |
복열 앵귤러 볼 베어링 단열 앵귤러 볼 베어링을 배면조합 하고, 내륜.외륜을 각각 일체화한 구조임. |
 |
4점 접촉 볼 베어링
내륜을 2분할하고, 35°의 접촉각을 가진 구조의 베어링을 표준으로 하여, 순수 액시얼하중 또는 액시얼하중이 큰 합성 하중이 걸리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베어링 하나로 양방향의 액시얼 하중과 어느정도의 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할수있다. 궤도륜과 전동체는, 액시얼하중의 방향에 따라, 좌우 어느쪽 인가의 접촉각 선상의 두점에서 접촉한다.
4점접촉 볼 베어링을 사용할 때는,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 등의 사용조건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 |
|
|
원통 로울러 베어링 |
|
원통 로울러 베어링은 로울러와 궤도가 선접촉을 하고있기 때문에 레이디얼 부하능력이 크고, 중하중.충격하중에 적합하다. 또한 구조상, 고정도 가공을 하기 쉬우므로,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내륜 또는 외륜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해체가 용이하다. |
|
 |
단열 원통 로울러 베어링
 NU.N형은 하우징에 대한 축의 축방향 이동을 일정한 범위내에서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측 베어링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NJ.NF형은 한방향, NUP.NH형은 양방향의 어느정도 액시얼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R타입 원통 로울러 베어링은 표준 시리즈와 같은 주요치수를 갖지만, 내부제원을 변경해서 정격하중을 증대시킨 베어링으로서 보조기호 [R]을 붙이고 있다. |
 |
복열 원통 로울러 베어링
 복열 원통 로울러 베어링에는 내경 원통구멍과 테이퍼 구멍이 있고, 테이퍼구멍 베어링은 압입량을 조정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얻을수 있다. 또한 외륜에 오일구멍.오일홈을 설치한 베어링도 있으며, 호칭번호 뒤에 보조기호 [W]를 붙이고 있다. 이 베어링은 레이디얼 하중에대한 강성이 높기 때문에, 공작 기계의 주축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
|
|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 |
|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은 콘.컵의 궤면과 로울러의 테이퍼면 정점이 베어링 중심선상의 한점에서 교차 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미터 계열품 이외에 인치 계열품도 많다. 중하중이나 충격하중이 걸리는 용도에 적하하다. |
|
 |
단열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 레이디얼 하중과 한방향의 액시얼 하중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이 베어링에 레이디얼 하중이 가해지면 축방향 분력이 생기기 때문에, 2개를 마주보게 하거나 2개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접촉각의 차이에 따라, 보통.중.급구배형이 있고 미터계열의 중구배형에는 보조기호 [C]를 붙인다. 보조기호 [J]를 붙인 베어링은 컵폭,컵소단경 및 접촉각이 ISO355 규정에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호칭번호가 동일한 베어링의 콘조립품과 컵은 각각 국제적으로도 호환성이 있다.
|
 |
복열 테아퍼 로울러 베어링 1개의 더블컵과 2개의 단열콘을 가진 외향형(TDO형)과 2개의 단열컵과 1개의 단열콘을 가진 내향형(TDI형)이 있고, 모두 레이디얼 하중과 액시얼 하중을 지지할수 있다. 또한 모멘트도 지지할수 있지만, 그 부하능력은 작용점 위치치수(접촉각)가 긴 외장형(TDO형)이 크다. 콘스페이서(TDO형) 또는 컵스페이서(TDI형)는 베어링을 조립할 때 소정의 내부 클리어런스 를 가질수 있도록 미리 치수 조정이 되어있다. |
| |
|
|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 |
|
정격하중이 크고 자동조심성을 가진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은, 저.중속에서 중하중.충격하중 걸리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 베어링에는 내부구조의 차이에 따라, R(RR), RH(RHR),RHA의 3가지타입이 있다. 또한 각각 내경 원통 구멍과 테이퍼구멍이 있고, 테이퍼 구멍의 베어링에 어댑터 또는 해체슬리브를 붙여 사용하면 조립.해체가 용이하다. 테이퍼구멍의 테이퍼비는 베어링 계열에 따라 2종류가 있다.
- 1:30 보조기호[K30] ……….240, 241 개열 - 1:12 보조기호[K]………..기타계열
구 조 |
 |
 |
 |
로 울 러 |
비대칭 로울러 |
대칭 로울러 |
대칭 로울러 |
리테이너 |
포크형 동합금 기계가공 리테이너 * (240, 241계열제외) |
강판 프레스 리테이너 |
일체형 동합금 기계가공 리테이너 |
내 륜 (턱의 유무) |
양중앙 안내턱 부착 |
중앙 안내턱 없음 (가이드링) |
중앙 안내턱 없음 (가이드링) |
양단 턱 부착 (로울러 탈락방지용) *(240,241계열 제외) |
양단 턱 있음 |
양단 턱 부착 (로울러 탈락방지용) |
특 징 |
RH, RHR, RHA타입보다 고속성이 뛰어나다 |
R, RR보다 정격하중이 크다. (단, 내부제원에 따라다른것도 있다.) | * 240, 241계열의 R타입 베어링은, 프레스 리테이너 부착 및 내륜 양단의 턱이 없는것도 있다. |
|
 |
진동 스크린용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
비대칭 로울러와 외륜 안내 포크형 동합금 기계가공 리테이너를 사용한 구조로, 진동 스크린용 으로서 최적의 성능을 갖추고 있다. 주로 223계열의 자동조심 로울러 베어링이 채용되어 보조기호 [ROVSW502]를 붙이고 있다. 또 이베어링은 특히 외륜외경 치수 허용차의 산포범위를 정밀하게 관리하고 있다. |
| |
|
|
자동조심 볼 베어링 |
|
외륜의 궤도가 구면으로 되어있고, 그 곡률중심이 베어링 중심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륜.볼.리테이너는 외륜에 대해 어느정도 기울어져도 회전할수 있다. (자동조심성이 있다) 따라서, 축 중심과 하우징 중심의 어긋남이나 축의 휨 등이 생기기 쉬운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테이퍼 구멍의 베어링에 어댑터를 사용하면, 축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