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 정인균 기자] 대만의 초고층 빌딩 타이베이101(TAIPEI101)이 규모 7.4 강진에도 끄떡없자 건물 내부에 설치된 내진용 특수 장치가 재조명받고 있다.
무게가 660t에 달하는 타이베이101이 노란색 강철 구체인 ‘댐퍼보이’ 덕분에 강진을 견딜 수 있었다고 미국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댐퍼보이는 두께 13cm 철판 41개를 겹겹이 쌓아 용접해 공 모양으로 만든 특수 장치다. 이 구체는 42m 길이의 강철 케이블 92개에 매달려 있으며 직경은 약 5.5, 길이는 42m다.
타이베이101은 지상 101층 지하 5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쇼핑몰로 대만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9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댐퍼보이는 이 건물의 87층과 92층 사이에 설치돼 있다.
댐퍼보이는 외부에서 발생한 압력으로 이 건물이 밀려 넘어지려 할 때, 넘어지는 방향의 반대로 움직여서 건물의 균형을 잡는다. 특별한 동력이나 조건 없이 건물의 움직임과 중력만으로 균형을 잡는 방식이다. 댐퍼보이를 고안한 당시 기술자들은 이 구체가 지진 위험을 최대 40%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건물이 지진을 견딘 것은 처음이 아니다. 타이베이101은 지난 2002년 3월 규모 7.1의 강진을 맞았다. 당시 인근 건물 몇채는 흔들림을 못이기고 쓰러졌지만 타이베이101은 온전히 견딘 바 있다.
얼마전 대만에서 규모 7이 넘는 강진이 발생해서 천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지난 달 대만을 다녀왔기에 더욱 마음 아프고, 관심이 많이 갔습니다.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에는 대만을 상징하는 타이베이 101이라는 고층 빌딩이 있는데, 대만 전 지역이 흔들릴 정도로 큰 규모의 지진이 일어났지만 101층 빌딩이 지진을 고스란히 견뎠다는 점이 참 놀라웠습니다. 660톤 규모의 대형추가 매달려 있는데, 이 추가 흔들리는 건물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줘서 균열을 최소화하고 충격을 막아준다고 합니다. 1999년 대지진 후 대만 정부가 내진 설계를 강화하면서 2004년 건설 때 반영된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나라는 부실 설계로 지진이 아닌데도 건물에 균열이 생기고 주차장이 무너지는 등 문제가 많이 생겼는데, 지진이 난다면 어떨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순살 아파트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한 때 뜨거운 감자였으니 우리나라도 대만처럼 내진 설계와 시공 등에 대한 규정을 강화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타이베이 101은 굳건히 버텼지만 지진 피해가 심각한 지역은 아직까지 실종된 사람을 찾지 못하고, 사망자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고 합니다. 더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고, 이 어려움이 빨리 극복되길 바라며 오늘은 애도를 표하며 사견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첫댓글 지진의 강도에 비해 알려진 피해는 비교적 크지 않은 것 같아 다행이구나.
지진 피해를 입은 대만에 심심한 위로를 보낸다.
우리나라도 경각심을 가지고 사고가 발생하고 후속조치를 하는 것이 아닌, 사전에 철저한 대비를 하여 예상치 못한 재해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만 지진과 관련된 기사를 심심치 않게 접하였지만 저의 흥미를 끌지 않아 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해당 게시글을 통해 대만에 101층 고층 빌딩이 있다는 것과 대형 추의 쓰임새를 알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7.4의 지진을 끄떡없이 견뎌낸 것을 보아 건물설계에 큰 주의를 기울였고 그 결과가 성공적이었다는 사례로도 볼 수도 있을거같습니다. 큰 피해가 없었기에 다행이고 우리나라도 지진을 대비해 섬세한 기술로 설계를 하면 좋을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