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차는 이뇨제독, 담배•술독을 풀어 준다. 흑차 속의 카페인의 이뇨작용은 신장으로 하여금 뇨액 속의 수분의 여과•배출를 촉진시킴으로써 진행된다. 동시에 카페인의 방광에 대한 자극작용은 이뇨를 조화롭게 할 뿐 아니라 술을 깨게하고 술독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흑차(黑茶)의 역사적 발전과 제다 및 효능에 관한 고찰차오 보(曹博)*
요약: 본 연구는 흑차의 등장 배경과 발전과정을 이해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흑차 산지의 역사적, 지리적 특수성 및 흑차의 제다와 효능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흑차의 등장에는 변경의 소수민족과 중국 간의 차마무역이란 역사적, 지리적 원인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흑차가 생산되는 지역들은 과거 차마무역을 위해 변경으로 수출하기 위한 차들이 만들어진 지역들이었다.
이들 지역에서 생산된 차들은 차마고도, 실크로드, 차선고도와 같은 교역로를 통해 중국의 변경지역으로 수출이 되었다. 변경지역의 소수민족들은 그들의 생활방식 및 식관습상 차의 섭취가 필수적이었다. 그들은 중국과의 차마무역을 통해 차를 수급하고자 하였으며 중국은 이를 통해 소수민족들을 통제하려 하였다.
변경지역의 차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성숙 된 찻잎을 원료로 한 흑차 제다기법이 발전할 수 있었다. 미생물발효로 만들어진 흑차는 다른 차류보다 높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소수민족에 수출되었던 흑차는 오늘날 그 효능에 주목한 현대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
핵심어: 흑차, 미생물발효, 차마무역, 차마고도, 실크로드 □ 접수일: 2021년 2월 10일, 수정일: 2021년 2월 20일, 게재확정일: 2021년 2월 20일* 원광대학교 한국문화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Wonkwang Univ., Email: adoretea1004@gmail.com)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