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는 단순히 날짜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지혜를 담은 유산으로、농업뿐만 아니라 건강 관리, 생활 리듬 조절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올해도 24절기를 참고하여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계획해 보시고 이를 통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지혜를 배우기를 바랍니다。
입춘 (立春)
유래 : 봄이 시작되는 날, 동양철학에서 양의 기운이 시작된다고 보며, 춘제와 같은 전통 명절과도 연결됨.
특징 : 날씨가 서서히 따뜻해지고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 자연의 재생을 상징하며 새로운 시작을 알림.
풍습 : 입춘첩 붙이기, 농사 시작 준비.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전통 음식과 의식을 치르기도 함.
우수 (雨水)
유래 : 눈이 녹아 비로 바뀌는 시기를 의미. 물의 중요성 강조.
특징 : 얼었던 땅이 녹고 강물이 흐르기 시작. 대지는 농업을 준비하기 좋은 상태로 전환됨.
풍습 : 우물 정화, 물 관리 시작. 물 부족 지역은 물을 절약하고 관리하는 풍습이 있었음.
경칩 (驚蟄)
유래 : 땅속 동물들이 잠에서 깨어나는 시기. 봄의 시작을 본격적으로 알림.
특징 : 본격적으로 따뜻해지며 농사 준비가 활발해지는 시기. 곤충 활동이 시작되고 생명이 활기를 띰.
풍습 : 농기구 점검, 씨앗 준비. 또한 해충을 막기 위한 전통적인 방제 활동 등
춘분 (春分)
유래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 자연의 균형을 상징.
특징 : 기온이 봄에 가까워지고, 꽃들이 만개하며 생태계가 활기를 띠는 시기.
풍습 : 조상의 묘를 정비하는 춘분제 등, 풍년을 기원하는 전통 의식 등이 이루어짐.
청명 (淸明)
유래 : 하늘이 맑아지는 시기. 농사와 관련된 활동이 활발해지는 때
특징 : 맑은 날씨가 지속되고 씨앗을 뿌리거나 모내기를 준비하는 시기
풍습 : 성묘와 조상의 묘 정비. 가족들이 모여 조상을 기리며,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풍습이 있었음
곡우 (穀雨)
유래 : 곡식에 비가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 농업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절기
특징 : 농작물 성장에 중요한 비가 내리는 시기이며 곡식이 자라기 시작함.
풍습 : 씨 뿌리기와 논밭 준비. 농부들은 이 시기에 농작물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을 치르기도 함.
입하 (立夏)
유래 : 여름이 시작되는 절기. 농작물 성장의 시작을 알림.
특징 :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며 본격적인 농사철에 돌입.
풍습 : 논밭을 준비하고 농작물의 상태를 점검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을 치르기도 함.
소만 (小滿)
유래 : 곡식이 알차게 여물기 시작하는 절기
특징 : 날씨가 점차 더워지며 여름의 초입을 알림.
풍습 : 논에 물을 대고 잡초를 제거하며 농작물 관리 시작
망종 (芒種)
유래 :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을 심는 절기. 본격적인 농사철
특징 : 모내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여름철 농사가 본격화 됨.
풍습 :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의 상태를 세심히 관찰
하지 (夏至)
유래 :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시기. 여름철의 중심에 해당.
특징 : 기온이 급격히 올라가며 더위 시작
풍습 : 음식을 보관하거나 여름철 더위를 피하기 위한 전통적인 준비가 이루어짐.
소서 (小暑)
유래 : 여름철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
특징 : 더위가 지속되며 농작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침
풍습 : 농작물 관리에 집중하며 건강 관리를 중요시.
대서 (大暑)
유래 : 1년 중 가장 더운 절기. 한여름의 중심에 해당.
특징 : 폭염이 지속되며 가축과 농작물 관리에 주의 필요.
풍습 : 더위를 피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동원. 시원한 음식을 즐기는 문화.
입추 (立秋)
유래 : 가을이 시작되는 절기. 더위가 한풀 꺾이는 시기
특징 :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수확의 준비가 시작됨.
풍습 : 곡물 수확을 준비하고 가을맞이 의식을 행하기도 함.
처서 (處暑)
유래 : 더위가 물러가고 선선한 가을 날씨가 시작되는 절기.
특징 : 밤낮의 기온 차가 커지며 농작물 수확이 본격화
풍습 : 농작물의 수확과 저장 준비가 활발히 이루어짐.
백로 (白露)
유래 :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절기. 가을의 점점 깊어감.
특징 : 기온이 낮아지며 서리가 내릴 시기가 됨.
풍습 : 가을 경관을 즐기며 풍성한 곡식을 기원
추분 (秋分)
유래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시기. 가을의 중간을 의미
특징 :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자연의 균형을 상징.
풍습 : 추수 감사 의식이 이루어지며 조상의 묘를 돌보는 풍습이 있지요.
한로 (寒露)
유래 : 찬 이슬이 맺히는 시기. 가을이 깊어가는 절기.
특징 :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해 짐.
풍습 : 추수와 김장 준비가 이루어지고 건강 관리를 중요시
상강 (霜降)
유래 :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 겨울이 가까워짐.
특징 : 찬바람이 불고 초겨울의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
풍습 : 월동 준비 시작되며, 따뜻한 음식을 즐기는 풍습.
입동 (立冬)
유래 : 겨울이 시작되는 절기. 추운 날씨를 대비함.
특징 :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며 월동 준비 본격화.
풍습 : 김장 담그기 같은 겨울맞이 활동이 이루어 짐.
소설 (小雪)
유래 : 첫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 겨울철의 초입.
특징 : 차가운 기운이 강해지고 본격적인 겨울로 접어든다.
풍습 : 난방 준비 및 겨울철 식량 준비에 관심을 가짐.
대설 (大雪)
유래 : 큰 눈이 내리는 절기. 겨울철의 중심.
특징 : 폭설로 인해 자연이 잠에 드는 시기라 할 수 있음.
풍습 : 겨울철 놀이가 시작되고 가정에서 따뜻한 음식을 나눔.
동지 (冬至)
유래 : 밤이 가장 긴 시기, 양의 기운이 점차 강해지기 시작. 동양철학에서는 새로운 시작을 상징.
특징 : 기온이 본격적으로 차가워지며, 새로운 계절의 준비가 이루어지는 시기.
풍습 : 팥죽 먹기(액운 방지) - 액운을 막고 건강을 기원하는 전통 음식으로, 많은 가정에서 즐겨 먹는 풍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