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내용 요약>
1) 예시바 대학교 학생 인터뷰 “( )을 할 수 없으면 모르는 것이다.”
2) 유대인의 인구 비율 0.2% -> 노벨상 수상자 비율 22%
3) EBS 실험 이야기 : 조용한 공부방 vs 말하는 공부방 |
2. Hhavruta의 의미는 무엇인가? 친구, 짝 ☞ Friend, Partner
3. 하브루타에 관한 글 읽고 질문에 답하기
하브루타는 나이, 계급, 성별에 관계없이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논쟁을 통해 진리를 찾는 것을 의미한다. 유대교 경전인 탈무드를 공부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이스라엘의 모든 교육과정에 적용된다. 유대인들만의 독특한 교육법이긴 하지만 공부법이라기보다 토론 놀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부모나 교사는 학생이 궁금증을 느낄 때 부담 없이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함께 토론을 이어가지만 답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만 한다. 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완벽하게 체득할 수 있고 새로운 해결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하브루타의 또 다른 장점은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알게 된다는 것이다. 하브루타를 하는 두 사람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찬성과 반대 의견을 동시에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 이스라엘 교육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두 사람이 모이면 세 가지 의견이 나온다’는 이스라엘 격언은 이런 문화에서 나왔다. 탈무드 교육전문가인 헤츠키 아리엘리 글로벌엑셀런스 회장은 “토론의 승패는 중요하지 않다”며 “논쟁하고 경청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
Q1. 하브루타는 공부법이라기 보다는
( )라고 볼 수 있다.
Q2. 하브루타 학습법에서는 답을 ( ) 주지 않고, 스스로 찾게 한다.
Q3. 하브루타 학습법과 관련된 이스라엘의 격언은?
“두 사람이 모이면 ( ).”
-----------------------------------------------------------
4. 하브루타 학습법 개관
1) 질문 중심 하브루타 (질문을 활동노트에 쓰기)
① 학습거리 분량 배정
② 학습하면서 질문(문제) 만들기 [하브루타 활동노트에 기록]
③ 질문을 통해 서로 학습을 확인하기 + 의문 나는 점 해소하기
④ 새롭게 배운 점을 활동노트에 정리하기
2) 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요약하기)
① 가르칠 교과 배분하고 서로 학습거리 배정하기
② 학습 내용을 활동노트에 기록하면서 정리하기
③ 선생님-되기를 통해 짝 가르치기
④ 서로 역할을 교환하여 가르치기
⑤ 새롭게 배운 점을 활동노트에 정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