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경으로 윷판 그리기
제가 작성한 천부경 풀이는
가장 쉬운 "기본풀이"를 완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일시무시

하나의 처음은 無에서 비롯하였고,
일석삼극무진본

無에서 비롯한 "하나"가 셋으로 쪼개지니

이를 三分化라 하고 처음 나온 한 개의 하나가 "세 개"로 늘어납니다.
이 세 개의 "하나"는 모두
① 無가 근본이고
② 三分化의 성질이 있으며
③ 쪼개지든 나눠지든 합쳐지든 무엇으로 化하든 닳거나 없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천일일지일이인일삼

하나가 처음에 하늘을 만들고
하나와 하늘이 땅을 만들고
하나와 하늘과 땅이 사람을 만든다. (위의 그림 설명)

그래서 이와 같은 구도가 형성되고,
하늘의 근원은 하나요
땅의 근원은 둘이요
사람의 근원은 셋이요
이와 같은 설명이 됩니다.
일적십거무궤화
하나를 점차 쌓아 올려 열로 커지며, 이는 无櫃가 자라서 된 것이다.
이런 뜻입니다.
봉우선생님 말씀대로 無를 다듬어 하늘, 땅, 사람을 만든다 하는 것입니다.
(궤는 폰트 문제로 편의상 櫃를 씁니다)
천부경에서 하나를 쌓아 열로 커진다 했으니 쌓아 봅니다.

위와 같이 쌓고,
『하나,둘,셋』 하여 하늘이 나오고
『넷,다섯,여섯』 하여 땅이 나오고
『일곱,여덟,아홉』 하여 사람이 나온다.
라는 뜻입니다.

↑하나의 근본은 無요

↑하늘의 근본은 無요

↑땅의 근본은 無요

↑사람의 근본은 無요
이와 같이 하나, 하늘, 땅, 사람의 모습은 다 달라도 근본은 無입니다.


그래서 천일일~(왼쪽그림) 의 모양대로 갖다 놓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됩니다...
삼천이삼지이삼인이

처음 나온 하나가 일석삼, 3분화(三分化)하여 나온 두개가 각각 일석삼을 한 모습같은데
위의 일적십거무궤화에서 보셨듯이 천지인 각각 3단계씩 이루어지므로
삼천~삼지~삼인~의 三은 一, 二를 거쳐 三이 된거라 三은 "다 만들어진(완성된)"의 뜻으로 보면 됩니다.
그래서
다 만들어진 하늘이 둘이요
다 만들어진 땅이 둘이요
다 만들어진 사람이 둘이요
가 됩니다.
여기에 의미를 붙여 설명하면,
다 만들어진 하늘이 밝은 하늘과 어두운 하늘로 나타나고
다 만들어진 땅이 높고 낮음이 있으며
다 만들어진 사람은 하늘성품과 땅의 성품 두가지를 모두 받음이라.
대략 이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저것은 본질이 아니고, 이에 대한 설명이 삼일신고에
元輔彭虞 蒼蒼非天 玄玄非天... 라고 나옵니다.
예컨대 하늘이 밝게도 보이고 어둡게도 보이나 본질, 근본은 이러하다 하는 내용인데
저렇게 두가지로 나타나는 것은 본질이 아니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적 특징』일 뿐이다
이런 얘기 같습니다.
삼대삼합육생칠팔구

천일일~과 일적십거 에서 나왔던 설명대로,
일석삼으로 나온 세 개의 "하나(三)", 이것이 커져서 하늘(大三)을 이루고
세 "하나"와 하늘이 어우러져 땅(六)을 이루니
그로부터(=하나,하늘,땅) 칠팔구가 생겨난다. 즉 사람(생명)이 생겨난다
즉 세 근원이 하늘을 만들고, 어우러져 땅을 이루어 사람을 낳는다
이런 얘기입니다.
※ 동서남북에 하나,하늘,땅,사람을 표시한건 각각에 대한 설명이고
중앙에 하늘과 땅이 연결됨은 하늘과 땅이 만들어져서 어우러짐을 나타냅니다.
※ 생칠팔구는 칠일묘연으로 설명이 넘어갑니다.(생명이 어디서 어떻게 생기는지)
운삼사성환오

말 그대로 "하나"에서 시작해서, 생겨난 차례대로 (하늘,땅,사람) 셋을 돌아
다시 "하나"에 이르기까지의 네 경로를 다 연결하라는 뜻입니다.
이로부터
하나에서 하늘, 땅, 사람이 생겨 나오고
다시 하나로 되돌아가는 자연의 순환하는 경로가 형성된다.
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한번 생겨나면 영영 존재하는게 아니라 다시금 하나로 되돌아가고
다시 나오는, 순환하는 자연을 설명합니다.
칠일묘연

위에서 7,8,9는 사람이 생겨나는 것이라 했는데
사람의 생명(七)이 하나(一)에서 묘연히 일어난다
하는 뜻입니다.
동쪽 위치에 있는 "하나"에서부터 생명근원이 비롯하여
하늘과 땅이 있는 중앙에서 하늘,땅의 기운과 성품을 받고
하단의 "사람자리"에 도달하는(생겨나는) 과정을 표현합니다.
저는 주역 공부를 해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지만
주역에서는 천지건곤으로 사람이 생겨난다고 알고 있는데
『천부경』에서는 사람은 이 세상 모든 것의 근원인 "하나"에서부터
그 생명이 비롯하고 "그것"이 하늘과 땅의 기운을 받아서 비로소 사람이 생겨남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즉 사람의 『참자아』는 땅(육신)도 아니고, 하늘(영혼)도 아닌 "하나"라는 설명입니다.
만왕만래용변부동본
만왕만래의 萬은 숫자 10.000을 뜻하는게 아니라 "수없이 많음"을 뜻합니다.
백인백색(百人百色)의 百은 직역하면 100을 말하지만 실제 의미는 "모든 사람들"을 뜻하듯이 말이죠...
운삼사성환오에서 형성된 대자연의 순환경로를 타고
천,지,인이 수없이 가고 오되
원래의 모습대로 되돌아 오는게 아니라 用은 계속 변하며
그러나 그 본질만큼은 변치 않는다
하는 뜻입니다.
즉 우리가 과거에 어떤 모습으로 살았든 다시 태어난 지금의 모습은 그 때의 그 모습이 아니며
앞으로의 生도 마찬가지인데, 그렇게 수없이 가고 오고 해도 우리의 본질은 변치 않는다
이런 얘기입니다.
저는 예전엔 전생, 윤회를 믿었다가 지금은 어떤 이유로 인해 믿지 않게 되었지만
어쨋든 이런 설명이 되는 것 같습니다...
본심본태양앙명인중천지일
근본중심(마음)은 본래 크게 밝음이니 이를 높이 우러러 밝히면
밝은 사람은 그 가운데 하늘과 땅과 하나가 온전해 짐이라.
보통 인중천지일을 하늘과 땅이 하나라고 대체로 이렇게 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볼 때 근본마음을 밝게 하면
사람을 구성하는 세 요소, 『하나, 하늘, 땅』이 밝은 사람의 안에서 온전히 갖춰짐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누구든지 바보든 보통사람이든 사람이란 존재 그 자체로
이미 그 안에 하늘, 땅을 받아 생겨난 존재이기 때문에
위의 설명은 아마도 "밝은사람"을 이루었을 때에 대한 설명이 아닐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일종무종일
하나는 끝이 없으니 (하나에서 비롯한) 모든 것이 하나에서 마침이라.
즉 하늘, 땅, 사람 모두 하나에서 비롯하여 만왕만래 하다가
마지막에는 다시금 하나로 돌아감이라 하는 설명입니다.
-----------------------------------------
1.하늘
하늘원(ㅇ) |
하늘의 둘래, 순수 형상, (도형의 테두리) |
하늘방(ㅁ) |
하늘의 바탕, 순수 질료.(도형을 이루는 백(100)개의 점) |
대일신각 (△) |
하늘 자체가 곧 각(△)이므로 설명이 곤란(대일신, 성부, 상제,) |
2.땅
천(天) |
땅 천원(ㅇ) |
땅의 사회의 둘래, 형상,(별들의 사회) |
땅 천방(ㅁ) |
땅의 사회의 바탕, 질료.(별.) |
땅 천각(△) |
땅의 사회의 중심 (태양, 은하의 중심 같은 것) |
지(地) |
땅 지원(○) |
물질적 형상, 별 |
땅 지방(□) |
물질을 이루는 질료,(원자) |
땅 지각(△) |
별의 중력 같은 것 |
인(人) |
소 하늘원(○) |
생태계의 둘래 |
소 하늘방(□) |
생태계의 바탕(분자나 유기물) |
소 대일신(△) |
소 하늘 자체가 곧 각(△)이므로 설명이 곤란(인일신) |
자연계천(天) |
생 천원(○) |
자연계의 둘래( 생명 사회 ) |
생 천방(□) |
자연계를 이루는 생명, 질료(개별 생명) |
생 천각(△) |
자연계를 움직이는 중심,(먹이 피라밋의 최상층) |
자연계지(地) |
생지원(○) |
생명의 형상. 육신 |
생지방(□) |
생명의 질료.세포 |
생지각(△) |
DNA와 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