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편단심 민들레
조용필은 1981년 <일편단심 민들레야> 를 발표합니다.
그런데 이 노래의 작사자는 이주현이라는 당시 72세의 여성이었습니다.
당시 (1981년) 이 여사는 납북된 남편을 그리워 하며 쓴 자전적인 이야기를 신문에 투고하였는데,
이를 본 조용필이 노래 가사로 만들 것을 제안하여 가요곡으로 탄생한 것입니다.
그녀의 사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50여 년 전 그녀는 동아일보 국장이던 남편과 결혼을 하였습니다 .
그러나 남편이 한국전쟁 때 납북되는 바람에 홀로 3남매를 키우며 살았습니다.
노점 좌판 등을 하며 어렵사리 살아온 그녀는 평생 모은 돈을 남편이 다니던 동아일보에 기부하여
남편 이름을 붙인 <수남 장학금> 을 만듭니다.
1981년 4월 28일 경향신문에 실린 기사 <햇빛 본 할머니의 꿈> 은
이주현 여사의 일편단심 스토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수남(水南) 이라 불러 볼 날도 이제 오래지 않겠지요. 어언 나이가 고희를 넘겼으니 살 날이 얼마나 되리까?
당신을 잃은지도 30년 성상, 밟혀도 밟혀도 고개를 쳐드는 민들레 같이 살아온 세월, 몇 번씩이나 지치고 힘에 부쳐 쓰러질 듯 하면서도 그 때마다 당신을 생각하며 이겨왔습니다.>
이 여사는 노구를 무릅쓰고 1년에 걸쳐 집필한 원고 1천여 장 분량의 일편단심 민들레야의 첫 머리에
생사를 알길없는 남편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이렇게 적고 있습니다.
“내가 아무리 끈질긴 생명력의 민들레라 해도 일편단심 붉은 정열이 내게 없었다면 어린 자식들을 못 키웠을 것이고, 지아비에 대한 깊은 그리움의 情이 없었다면 붓대를 들 용기도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런 자전(自傳)의 내용을 다듬어서 쓴 노랫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님주신 밤에 씨 뿌렸네
사랑의 물로 꽃을 피웠네
처음 만나 맺은 마음 일편단심 민들레야! 그 여름 어인 광풍! 그 여름 어인 광풍! 낙엽지듯 가시었나.
행복했던 장미인생 비바람에 꺽이니
나는 한떨기 슬픈 민들레야 긴세월 하루같이 하늘만 쳐다보니 그 이의 목소리는 어디에서 들을까.
일편단심 민들레는
일편단심 민들레는
떠나지 않으리라
가사 중 그 <여름의 광풍> 은 1950년 6월 25일에 터진 청천벽력 같은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낙엽지듯 가시었나> 는 그해 가을 납북된 남편을 가리키는 것이었습니다.
<하늘만 바라보는 것> 은 천국에 간 남편을 바라보며 그리워 함이고,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그 목소리> 는
남편이 떠나면서 "걱정하지마, 잘 다녀올게" 라고 말했던 그 목소리였습니다.
남편 납북시 21세 였던 여인은 그 험한 세월을 이겨냈습니다.
지난 50년의 절망과 피눈물 속에서도 그녀가 말했듯
<일편단심 붉은 정열> 로 버티며 어린 것들을 키워낸 것이었습니다.
■원곡: 조용필 일편단심 민들레
https://youtu.be/O3quibcikbk
■임영웅
https://youtu.be/5d6SgVs1zmY
■이찬원
https://youtu.be/_qAeeLgB2_s
■한강, 김산하
https://youtu.be/UinJjtQ-WdQ
■이미자
https://youtu.be/XKQNVYwQGLs
■주현미
https://youtu.be/JVPGenkSpRA
■임주리
https://youtu.be/w-_7cuG1cyA
■진성
https://youtu.be/0vlixqaq1T4